메뉴 건너뛰기

[집단행동 100일- 의료개혁, 가보지 않은 길] ① 밀려나는 환자들
국민일보 DB

지난 2월 19일 시작된 전공의 집단행동이 28일로 100일째를 맞았다. 전공의 1만501명 중 9662명(23일 기준)이 일시에 병원을 떠나면서 ‘전공의 없는 병원’은 현실이 됐다. 이들이 떠난 자리에는 환자 불안만 남았다. 상급종합병원이 의사 인력 부족으로 신규 환자 외래를 중단하는 등 조치에 나서면서 환자들은 진단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포기하는 등 병원 밖으로 내몰리고 있다.

A씨(80)는 지난 3월 오전 11시쯤 ‘빅5’로 꼽히는 상급종합병원을 응급실을 찾았다. 알 수 없는 통증이 심해지면서 앉아있기도 힘든 상태가 되자 A씨는 응급차를 타고 병원에 갔다. 응급실에서는 “암이 의심되니 혈액종양내과를 가라”고 안내했다. 의사는 “전공의가 없어서 우리 병원에서는 신규 환자를 받지 않으니 다른 병원을 알아보라”고 했다. A씨의 딸이 “응급으로 온 환자니까 암인지 진단이라도 받을 수 있게 도와달라”고 했지만, 의사는 “내 가족이어도 지금 상황에서는 해줄 게 없다”며 A씨를 돌려보냈다. 10시간 만에 귀가한 A씨는 다른 병원을 수소문했지만 당장 외래 예약을 잡아주는 병원이 없었다.

지난달이 돼서야 한 상급종합병원 노년 내과를 찾은 A씨는 “혈액종양내과에서 신규 환자를 받아주질 않으니 제발 협진으로 검사라도 받을 수 있게 도와달라”고 말했다. 결국 겨우 의사를 만났고, 지난달 22일 다발골수종 3기 진단을 받았다. 의사는 A씨에게 “3~4개월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다.

A씨 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진단을 받기까지 한 달 동안 병원을 수소문하면서 ‘의사가 없어서 예약이 안 된다’는 말만 반복적으로 들었다”며 “집단 행동을 하는 의사들한테 화가 나지만, 하루하루 암과 싸우느라 우리는 의사들 하고까지 싸울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전공의들의 집단 행동 100일째인 28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사 집단행동 이후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는 평시의 73%에 그치는 수준이다. 경증환자가 줄어들면서 우려했던 의료 대란이 벌어지진 않았지만, 병원 밖으로 내몰리는 환자들도 발생하고 있다.

70대 남성 B씨는 희귀암의 일종인 신경내분비종양 4기 환자다. 항암 치료를 받던 병원에서는 “의사가 부족하니 요양병원으로 가는 게 좋겠다”고 권했다. 진미향 한국신경내분비종양 환우회 회장은 “B씨는 지금 ‘의료공백 사태로 인해 버림받았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며 “집에서 생을 마감할지, 요양병원으로 갈지 고민하는 상태”라고 말했다.

B씨처럼 희귀암으로 분류되는 환자들의 경우 이를 다룰 의사나 병원은 한정돼 있다. 이 때문에 병원에 가는 일정이 미뤄지는 사이 암이 빠르게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진 회장은 “의료 공백 이후 진료 일정에 차질을 빚으면서 특히 지역에 있는 환자들은 여러 다른 약을 제안해줄 의사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특히 신경내분비종양을 진단하기 위한 도타톡(갈륨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 검사를 하는 병원은 국내에 한정적이어서 진단을 받는 진입장벽 자체가 너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나경 대한뇌종양협회 대표도 “뇌종양은 수술의 시기를 놓치면 아주 위험한 병인데, 외래 통로가 좁아지면 병 자체 진단을 받을 수 없으니까 병명을 모른 체 지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24일 서울 한 대형병원 전공의 전용공간에 출입 자제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 부족으로 병원에 입원하지 못해 집에서 ‘가방 항암’ 치료를 하는 환자들도 있다. 가방에 직접 항암 치료제와 케모포트(정맥 주입 기구) 등을 챙겨 직접 치료를 한다는 의미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는 “집단행동 전에는 췌장암 환자의 경우 항암치료 후 열꽃이나 부종, 섬망 증상 등 다양한 부작용에 대비해 3~4일간 병원에 머물렀는데, 지금은 아무 의료 지식이 없는 가족이 의료진을 대신하는 상황”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2830 9살 손녀 성폭행 후 영상까지…항소심서 ‘감형’, 왜?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5.31
32829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총리 “라인야후 외교적 문제 될 수 없어” 랭크뉴스 2024.05.31
32828 사방서 "선재야"...카메라 울렁증 있었던 변우석, 눈물의 인생역전 랭크뉴스 2024.05.31
32827 정부 “대학별 증원 규모 고려, 2027년까지 국립대 의대 전임교원 천 명 증원” 랭크뉴스 2024.05.31
32826 김호중 檢송치…다리 절뚝이며 “죄송, 조사 뒤 말씀드리겠다” 랭크뉴스 2024.05.31
32825 김호중 검찰 송치…음주운전·범인도피교사 혐의 추가(종합) 랭크뉴스 2024.05.31
32824 소비자에 안 알리고 '깜깜이 인상'…식품업체는 "고지 의무 없어" 배짱 랭크뉴스 2024.05.31
32823 경찰, 서울 강남서 모녀 살해한 60대 남성 검거…밤사이 사건·사고 랭크뉴스 2024.05.31
32822 태영건설 워크아웃 본격화…채권단과 기업개선계획 MOU 체결 랭크뉴스 2024.05.31
32821 김용민 "한동훈 정치 복귀시 채상병특검법 이탈표 늘 가능성" 랭크뉴스 2024.05.31
32820 "번역기 돌려야 하나"…강남 아파트에 붙은 '當選謝禮' 뭐길래 랭크뉴스 2024.05.31
32819 ‘문제는 차량 통행이 아니야’···신촌 쇠락 20년, 차가 다니면 나아질까? 랭크뉴스 2024.05.31
32818 “죄송합니다”…‘음주 뺑소니’ 김호중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4.05.31
32817 트럼프 ‘성추문 입막음 돈’ 형사재판 유죄평결…7월 형량 선고 랭크뉴스 2024.05.31
32816 더 세진 ‘채상병 특검’…박 대령 항명죄 재판 중단 권한도 담아 랭크뉴스 2024.05.31
32815 [여의춘추] 댓글 조작 유죄 ‘김경수 역할론’ 유감 랭크뉴스 2024.05.31
32814 경기 연천서 규모 2.8 지진 ... 고층 건물서 느낄 정도 랭크뉴스 2024.05.31
32813 정부 “비수도권 의대 지역인재 선발 60%…지역 근무하도록 지혜 모을 것” 랭크뉴스 2024.05.31
32812 [단독] '맡긴 돈' 김옥숙 메모, 딸 판결 뒤집다…SK측 "비자금 유입 없었다" [최태원·노소영 이혼 2심] 랭크뉴스 2024.05.31
32811 트럼프 유죄 평결 소식에 ‘트루스 소셜’ 주가 급락 랭크뉴스 20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