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방…경기·인천·통계청·KT 협업 빅데이터
서울선 쇼핑·관광·의료 37분 거리 내 해결…광역정책·연구 기초데이터 확보


서울 세종로사거리 출근길 시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평일 하루 수도권을 오가는 인구 이동(수도권이 출발지이거나 도착지인 모든 이동)이 7천100만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출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59.4분,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데 드는 시간은 71분으로 조사됐다.

시도간 출근시간대 평균 출근시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자체·통계청·KT 협력해 수도권 모든 이동 집계
서울시는 실시간 통신·공공 빅데이터를 융합해 수도권 거주자의 모든 이동을 20분 단위로 집계·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28일 공개했다.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통계청, KT, 수도권 3개 연구원의 기술·인프라 협력을 통해 집계·분석한 데이터로, 출퇴근·등하교 등 정기적 이동은 물론 쇼핑·관광·병원 방문 등 모든 이동을 분석할 수 있다.

서울시는 기존에 공개하던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를 경기·인천까지 확장해 수도권 광역 정책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수도권 광역교통계획, 도시계획, 생활문화 시설 후보지 선정 등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현재 정부의 인구이동 관련 통계는 시·군·구 등 광범위한 공간을 대상으로 1∼5년 간격으로 발표되는데,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공간 단위로 세밀한 분석이 가능해 시의성과 적시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대중교통 이용과 인구 관련 공공 빅데이터와 KT의 휴대전화 데이터를 수도권 4만1천여개(가로·세로 250m 격자 모양) 구역에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이를 통해 이동 주체가(내·외국인) 언제(시간대별) 어디에서(출발지) 어디로(도착지) 어떻게(이동수단) 왜(이동목적) 이동했는지 상세하게 분석이 가능하다.

시도간 출근시간대 수도권 이동 인구 수 및 비율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 쇼핑·관광·의료 37분 거리 해결…경기 40분·인천 41분
데이터 분석 결과, 올해 1월 16일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출발 또는 도착지가 되는 이동은 하루 7천135만건으로 집계됐다.

경기도가 출발 또는 도착지가 되는 이동이 5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38%), 인천(10%), 기타(1%) 순이었다.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출근 땐 평균 59.4분,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 땐 평균 71분이 걸렸다.

특히 출근시간은 인천→서울이 76.5분으로 가장 오래 걸렸다.

이어 경기→서울(65.4분), 서울→인천(64.3분), 서울→경기(54.4분) 순이었다.

같은 지역 내 출근 때 소요시간은 서울 35.3분, 경기 27.6분, 인천 25.9분이었다.

서울시민의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이동현황을 보면, 89%가 서울 내로 출근하고, 10%는 경기도로, 나머지 1%는 인천으로 출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도 내로 출근하는 인구가 81%였으며, 17%는 서울로, 2%는 인천으로 출근했다.

인천은 77%가 지역 내로 출근하며, 경기도와 서울로 출근하는 인구는 각각 12%, 11%로 추정된다.

수도권 시도별 생활권 반경 분석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시도별 출근·등교·쇼핑·병원 등 목적별 이동 평균 시간과 거리를 분석한 결과, 서울은 평균 37분 내 일상과 밀접한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한 도시로 나타났다. 경기는 40분 도시, 인천은 41분 도시였다.

거리로 환산하면 서울시민은 평균 6㎞ 반경 내, 경기와 인천은 9㎞ 반경 내에 생활권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시는 이 같은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광역도시계획, 신도시 수요예측 등 도시개발과 교통인프라·버스노선 최적화 등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정책에 적극 활용 계획이다.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를 통해 일 단위로 공개한다.

시는 민관 융합 데이터 및 실생활과 밀접한 공공 데이터를 지속해 발굴하고 공개해 누구나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활용하는 생태계를 만들 방침이다. 데이터 활용을 위해선 네거티브 규제 방식(원칙적 개방, 예외적 비공개)을 정착시킨다는 구상이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에 대해 "수도권 전체 시민의 삶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과학적 결과물"이라며 "누구나 활용 가능한 공공 분야 빅데이터로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된 연구, 창업, 경제활동 등이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2482 원-달러 환율 15원가량 급등…장중 1380원 넘어 랭크뉴스 2024.05.30
32481 “전공 뭘 골라야 좋을까”…수도권·국립대 신입생 30% 입학 후 고민 랭크뉴스 2024.05.30
32480 [단독] “근육 녹을 정도…” 숨진 훈련병 추정 사인, 윤 일병과 같다 랭크뉴스 2024.05.30
32479 [속보] 서울고법 "노소영, SK에 기여‥주식도 분할 대상" 랭크뉴스 2024.05.30
32478 [속보] 법원 “최태원, 노소영에 재산분할 1조3808억·위자료 20억 줘라” 랭크뉴스 2024.05.30
32477 여자친구 살해 의대생 구속기소…"죄에 상응 형 받게 최선" 랭크뉴스 2024.05.30
32476 [속보] 법원 “최태원, 노소영에 재산분할 1조3800억·위자료 20억 줘라” 랭크뉴스 2024.05.30
32475 [속보]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재산분할 1조3800억·위자료 20억" 랭크뉴스 2024.05.30
32474 [2024 유통포럼] “장르에는 우열이 없어… 유행 좇기보다 그레이드 높여야” 랭크뉴스 2024.05.30
32473 애플 뒤쫓는 엔비디아, 고점 멀었다?… ‘250% 더 오른다’ 전망도 랭크뉴스 2024.05.30
32472 “희망퇴직 무더기 탈락”… 한전 직원들, 경영진 배임·업무방해로 고발 추진 랭크뉴스 2024.05.30
32471 "성인 셋 죽을 용량"…강형욱 레오 안락사한 수의사, 고발당했다 랭크뉴스 2024.05.30
32470 신상 털린 '얼차려' 중대장 심리상담에…"가해자가 피해자 둔갑" 랭크뉴스 2024.05.30
32469 [속보] 최태원-노소영 이혼 2심 재판부 “1심 위자료 너무 적어…주식도 분할 대상” 랭크뉴스 2024.05.30
32468 [속보] 서울고법 "노소영, SK에 기여…주식도 분할 대상" 랭크뉴스 2024.05.30
32467 "마오타이 마시고도 죽는데요 뭘"... 중국 공무원이 강물 오염에 뱉은 말 랭크뉴스 2024.05.30
32466 “중국 회사 아니에요”...美 ‘안보 블랙리스트’ 오른 中 기업의 위장술 랭크뉴스 2024.05.30
32465 소니, 퀸 음악 저작권 살까…최대 '1조4000억원'에 팔릴 수도 랭크뉴스 2024.05.30
32464 日 압박..."라인야후 '네이버 단절' 대책, 6월 말까지 내라" 랭크뉴스 2024.05.30
32463 [속보] '유우성 보복기소' 안동완 검사 탄핵 기각 랭크뉴스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