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본 정부, 매달 66만원 ‘처우 개선 수당’
내·외국인 구분 없이 동일 기준으로 지급
한국은 ‘최저임금 차등 적용’ 도입 논의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10년차 개호복지사(요양보호사) A씨(37세)는 매달 일본 정부로부터 약 7만5000엔 가량의 지원금을 받는다. 개호(돌봄) 노동자의 낮은 급여를 보전하기 위한 이른바 ‘처우 개선수당’이다. 처우 개선수당은 외국인과 일본인 구분 없이 동일한 기준으로 지급된다. 내·외국인의 급여 수준도 다르지 않다. 진급 역시 똑같은 요건을 적용해 이뤄진다. A씨는 “개호 업종에서는 국적에 따라 임금을 달리 주지 않는다”며 “동일 노동·동일 임금 구조가 정착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본 오사카 요양시설에서 개호복지사 A씨가 돌봄 업무를 하고 있다. A씨 제공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가 시작된 가운데 정부와 재계가 ‘최저임금 차등적용’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돌봄·가사 등 이른바 취약업종에는 최저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적용해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다. 해당 업종에 외국인력을 도입하되 급여는 최저임금을 밑도는 수준으로 책정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최저임금 차등제 도입 논의가 나오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내국인과 외국인 노동자간 처우 격차를 없애는데 정책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개호 업종의 경우 고령화 사회에 필요한 필수 노동으로 받아들여 국적 차별없이 동등한 대우를 하고 있다. 극심한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처우를 개선해 인력의 이탈을 막고 정착을 유도한다는 의도다.

일본 내 외국인 개호노동자 도입 업무를 맡고 있는 니몬지야 오사무 AHP네트웍스 이사는 “개호는 일본 전산업 업종 중 가장 임금 수준이 낮은 업종”이라며 “시설 자체적으로 처우 개선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모든 개호노동자에게 처우개선 수당을 지급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2022년 일본 개호노동안정센터 조사에 따르면 일본 개호노동자의 월 급여는 평균 20만2401엔으로 일반 노동자(31만2000엔)보다 낮다.

후생노동성은 내년에 32만명, 2040년에 약 69만명의 개호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2025년까지 55만명의 외국인 개호 노동자 수용을 목표로 노동자 처우개선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일 “G7국가로서 임금차등제 같은 정책 안해”

한국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저출생·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2030년에는 약 9만명의 요양보호사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돌봄 노동 인력 상당수를 차지하는 조선족 노동자들이 고령화되면서 인력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 정부도 돌봄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돌봄 인력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다만 ‘최저임금 미만 적용’ 등 저임금을 전제를 달았다.

니몬지야 오사무 이사는 “타국 정책에 대해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일본에 한해 말하자면 일본은 일단 G7국가로서 외국인 임금 차등제와 같은 정책을 논의 테이블에 올리지 않는다”며 “국가가 운영하는 사회복지 체제인 개호 영역에서 노동자에 대한 임금 차등이나 차별대우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개호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는 그간 유지해온 지역별·업종별 최저임금 차등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

일본의 최저임금은 중앙최저임금심의회의 기준액을 참고로 47개의 지역최저임금심의회에서 당해 지역의 최저임금을 결정한다.

그동안 중앙최저임금심의회는 47개 도도부현을 A, B, C, D 4개 등급으로 나눠 최저임금 인상 기준을 결정했는데, 지난해부터는 등급을 A~C 3개로 줄였다. 지역간 최저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다.

2014년의 경우 인상 기준액이 가장 높은 A등급(19엔)과 최하위인 D등급(13엔)간 격차가 6엔이었지만, D등급이 사라진 지난해 A등급과 C등급간 격차는 2엔으로 줄었다.

업종별 최저임금도 효력이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일본의 업종별 최저임금은 226개로 적용 노동자수는 291만명이다. 전체 노동자 6041만명의 4.8%에 그치는 수준이다. 업종별 최저임금의 가중 평균액은 942엔으로 지역별 최저임금 1004엔을 밑돈다.

다만 업종별 최저임금은 지역별 최저임금액보다 낮게 책정할 수 없다. 업종별 최저임금이 지역별 최저임금보다 낮은 경우에는 지역별 최저임금을 적용한다. 업종별 최저임금도 사실상 무효화된 것이다.

오학수 일본 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 특임연구위원은 “장기간 차등적용을 유지했던 일본의 최저임금제는 한국의 단일 최저임금제 모델로 변화하고 있다”며 “최저임금 차등적용제 도입은 시대 흐름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격차·대중소 기업 간 격차를 심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37 김정숙 여사 수사 본격화된 날…文 올린 의미심장한 사진 4장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36 국민의힘 전당대회 돌입‥"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참패 책임져야"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35 야6당, 윤 대통령 거부한 ‘노란봉투법’ 더 강화된 버전으로 발의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34 "구청 직원인데 망하게 해줘?" 갑질 의혹에... 대구 중구청 진상 조사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33 “중국, 핵탄두 500기 보유 추정…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늘려”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32 [푸틴 방북] 미리보는 푸틴의 평양 1박2일…카퍼레이드 등 극진대접 예상(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31 평균 420억 상속하는 955명에게 세금 깎아주자는 대통령실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30 기자협·언론노조·방송기자聯 “이재명, ‘언론은 檢 애완견’ 망언 사과하라”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9 "군인이세요?" 케이크 건넨 시민…외박 나온 현역병 울컥한 사연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8 최 회장 "SK 명예 바로잡겠다"‥재계 2위인데 '자수성가'는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7 野, 22대서도 ‘노란봉투법’ 발의…양대노총 지지 기자회견 예고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6 100원이냐 1000원이냐…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 새국면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5 ‘콘크리트’ 동서분열 상징에서 ‘역사’가 된 베를린 장벽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4 "의대 교수 휴진은 전공의 파업과 달라…엄청난 고통 뒤따를 것"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3 서울아산병원마저 7월 4일부터 1주일 휴진한다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2 최태원 "판결에 치명적 오류"‥"침소봉대‥사법부 판단 방해"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1 ‘무기한 휴진’ 환자는 ‘불안’…“환자 손해보면 배상 청구”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20 만취한 중국 여성 객실 들어가 성폭행한 호텔 직원 체포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19 푸틴, 내일 24년 만에 방북…'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할 듯(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17
44718 북, 군사분계선 세부 경계선 두고 신경전…군, 사격지침 9.19 이전으로 환원 new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