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기업 유일 별도 면담 가져
전자·SDI·디스플레이 임원 배석
19년 만 재회···파트너십 재확인
미중 갈등 속 中 인맥 강화 행보
이재용(왼쪽) 삼성전자 회장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만나 면담을 가진 뒤 악수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서울경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중국의 경제 사령탑인 리창 국무원 총리(서열 2위)와 면담했다. 미중 갈등이 최고 수준으로 격화하는 가운데 ‘첨단 제조업 굴기’를 외쳐온 리 총리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삼성만 콕 찍어 대화에 나선 것이다. 삼성전자로서도 중국은 최대 수요처이자 생산기지로 결코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26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리 총리와 회동하고 면담을 가졌다. 리 총리는 27일 열리는 한일중정상회의를 위해 방한했으며 이날 중국 측에서는 우정룽 국무원 비서장, 진좡룽 공신부 부장, 왕원타오 상무부 부장, 쑨예리 문화관광부 부장,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 등이 면담에 참석했다. 삼성 측에서는 이 회장 외에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부회장,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 사장,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사장,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 등이 배석했다.

리 총리는 이 자리에서 “삼성의 대(對)중국 협력은 양국 호혜·협력 발전의 생동감 있는 축소판”이라며 “양국 기업이 첨단제조·디지털경제·인공지능(AI)·녹색발전·생물의약 등 새로운 영역에서 협력의 질을 높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전했다.

그는 이어 “중국의 큰 시장은 언제나 외자기업을 향해 열려 있다”며 “삼성 등 한국 기업이 계속해서 대중국 투자·협력을 확대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코로나 시절 삼성과 삼성의 협력사들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와주신 점 깊이 감사한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19년 전인 2005년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에서 처음으로 만난 뒤 인연을 이어왔다.

미국 봉쇄에 맞서 첨단 제조업을 육성해야 하는 중국 입장에서는 삼성의 도움이 절실하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중국은 그야말로 고립무원 상태에 빠진 상황”이라며 “중국이 생존하기 위해서라도 반도체부터 전자 부품, 배터리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첨단 제조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삼성과의 동맹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삼성 역시 최근 중국 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어 이를 풀어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1분기 중국 매출은 7조 9153억 원으로 전년 동기(14조 8607억 원) 대비 반 토막이 났다.

반도체 생산기지로서의 입지도 중요하다. 특히 중국 시안은 삼성전자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유일한 해외 생산기지다. 전체 낸드 생산량의 약 40%를 중국 시안 공장이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메모리 가격이 바닥을 찍고 반등하면서 시안에 제3 공장을 지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 회장은 그동안 중국 네트워크 확대에 총력전을 펼쳐왔다. 중국 고위 인사가 방한할 때마다 직접 면담하면서 네트워크 구축에 각별한 관심을 쏟아왔다.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는 2005년 그의 방한을 시작으로 2013년에는 중국 보아오 포럼의 이사로 직접 나서며 신뢰 관계를 쌓아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3월에는 중국의 대표적 대외 경제 교류 플랫폼인 ‘중국발전고위층포럼’에 참석하기도 했다.

사업과 별도로 중국에서 삼성의 사회 공헌 활동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삼성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현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2013년부터 중국 중고생 및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경진대회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중국 빈곤퇴치기금과 농촌 관광 사업을 육성해 마을의 자립을 돕는 ‘나눔빌리지 사업’을 진행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회사는 중국사회과학원이 발표하는 중국 외자기업 기업사회적책임(CSR) 평가 순위에서 2013년부터 지금까지 11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재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의 공식적 외교 기조가 미국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하더라도 중국의 잠재성이나 시장을 놓칠 수는 없다”며 “이 회장의 네트워크 등 개인기를 통해 사업 반작용을 최소화하고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시도를 강화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95 “다 벗은 엉덩이 후임 얼굴에 문질러”…군대 추행 수준 랭크뉴스 2024.03.16
44094 ‘소멸위기’ 시대에 만연한 자살을 생각한다[젠더살롱] 랭크뉴스 2024.03.16
44093 "전투원 우박같이 가상적진 쏟아져"…김정은, 공수부대 훈련시찰 랭크뉴스 2024.03.16
44092 [격전지 르포] “추미애씨 하남이 만만해?” “이용이 누구에요?” 랭크뉴스 2024.03.16
44091 “초딩 담임 고작 8시간 근무, 맘에 안들어”…되레 뭇매 랭크뉴스 2024.03.16
44090 [르포] ‘용적률 400% 허용’ 들뜬 영등포… “기대감 크지 않고, 10년은 바라봐야” 랭크뉴스 2024.03.16
44089 [시승기] 650마력 슈퍼 전기차, 현대차 아이오닉5N 랭크뉴스 2024.03.16
44088 美 팝스타 로드리고 콘서트서 피임도구 배포…논란 끝에 중단 랭크뉴스 2024.03.16
44087 맥도날드 전산장애로 세계 곳곳에서 매장 운영 차질 랭크뉴스 2024.03.16
44086 스페이스X "스타십 발사 성공적…올해 시험비행 횟수 늘릴 것" 랭크뉴스 2024.03.16
44085 “여긴 비싼 땅”… 경리단길 회복이 요원한 이유 [핫플의 추락②] 랭크뉴스 2024.03.16
44084 김정은, 공수부대 훈련시찰‥"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전쟁준비" 랭크뉴스 2024.03.16
44083 “강풍 불어” 단양 패러글라이딩 추락사고…조종사 사망 랭크뉴스 2024.03.16
44082 "페이스북 마음껏 털어라"…'막말' 장예찬 진정성 논란 랭크뉴스 2024.03.16
44081 한소희, 류준열과 열애 인정 "환승연애 아냐, 혜리에 사과할 것" 랭크뉴스 2024.03.16
44080 박용진 ‘공천 승계’ 불발···민주당, 강북을 전략경선키로 랭크뉴스 2024.03.16
44079 美 방문한 정인교 통상본부장 "IRA 세부규정 등 애로사항 해소" 랭크뉴스 2024.03.16
44078 "짜장면 비싸서" 짜장라면 매출 21% 급등…생선 반마리만 산다 랭크뉴스 2024.03.16
44077 갤S24 위약금 8만원 할인…구형폰엔 최고 13만원 전환지원금 랭크뉴스 2024.03.16
44076 ‘엣취’ 비염·결막염·아토피…위험 1위 ‘집먼지 진드기’ 랭크뉴스 2024.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