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의힘 "여야정 협의체 구성 제안"
유경준 의원 "민주당 21개월간 구조개혁 언급 없어"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전경.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2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연금 개혁안을 21대 국회에서 처리하자고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거듭 요구한 데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국민연금 개혁안은) 졸속적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국민 전체의 의견, 특히 청년세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결정하자"며 이 대표의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앞서 이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국민연금 개혁 소득대체율 44%를 "전격 수용하겠다"고 나섰다. 다만, 국민의힘이 제시한 '구조개혁 및 재정 안정화 조항을 포함한 소득대체율 44%'에 대해선 일단 중요한 두 가지인 연금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부터 처리하고 세부적인 문제는 다음에 논의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통령실 관계자는 "연금은 국민 모두에게, 국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사안"이라며 "오래 끌자는 것이 아니다. 이 대표가 여당안을 받겠다고 양보할 의사를 이미 밝혔으므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이제 곧 22대 국회가 시작된다. 조속히 연금개혁을 위한 여야정 협의체와 연금개혁특위를 구성해 연금개혁에 관한 논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장 대변인은 "의지만 있다면 더 나은 개혁안을 올해 안에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연금 개혁 문제는 21대 국회를 5일 남겨둔 상황에서 정쟁의 소재로 사용할 문제가 절대 아님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고 강조했다.

장 대변인은 "무엇보다 국민연금 개혁안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은 단순히 소득대체율 1% 차이 때문이 아니다"며 "국민의힘에서 제안한 개혁안에는 연금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구조개혁을 포함한 부대조건이 포함돼 있다. 그런 부대조건을 쏙 빼놓고 소득대체율 44%만 수용하면서 국민의힘이 제안한 연금개혁안을 받아들이는 것처럼 말하는 것 자체가 사실과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 대변인은 "국민연금 개혁은 국민의 노후와 미래세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며 "이 대표도 언급한 것처럼 국민연금 개혁은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이 추진하는 핵심 국정과제이고, 가장 큰 민생현안"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만큼 국민적 합의를 모아 70년 앞을 내다보고 제대로 된 개혁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21대 국회가 채 일주일도 남지 않은 지금 갑자기 국민연금 이슈를 던지면 국민적 합의는 차치하고 당내 의견을 모으기도 힘들다는 것은 이 대표도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연금개혁특위 간사인 유경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국민의힘 모수개혁 공식안은 보험료율 13%에 소득대체율 43%"라며 "소득대체율 44%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통합을 일부라도 포함하는 구조개혁이나 연금개혁의 다른 부대 조건들이 합의됐을 때의 조건부안"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유 의원은 '구조개혁을 포함한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4%'인 연금개혁안을 22대 국회에서 마무리하자고 제안하면서 "다음의 이유로 대표님과 민주당을 믿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도 밝혔다.

그러면서 "21대 국회에서 21개월간 25억을 들여 3차례 거친 국회 연금특위에서 민주당은 구조개혁 논의는 일체 언급조차 안하다가 이제와서 22대에 구조개혁을 하자고 한다"며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민이 원치 않는 국민연금개혁을 하지 않겠다'고 아예 모수개혁 마저도 하지 않은 전과가 있다. 따라서 정말 민주당과 이 대표의 머리 속에서는 연금 구조개혁은 아예 들어가 있지 않다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쏘아붙였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672 군, 경찰에 ‘얼차려’ 혐의자 2명 이첩…증상에 따른 사인 분석 중 랭크뉴스 2024.05.28
31671 박봉에 숨막히는 문화까지… 공무원들 민간 이동 러시 랭크뉴스 2024.05.28
31670 삼성전자 노사 임금협상 진통…'노노 갈등'으로 비화하나(종합) 랭크뉴스 2024.05.28
31669 [단독] 02-880 대통령실 전화 확인‥168초 통화 랭크뉴스 2024.05.28
31668 [단독] 윤 대통령, 8월 2일 이첩 직후 이종섭에게 연달아 3차례 전화 랭크뉴스 2024.05.28
31667 인천 송도 길거리 패싸움 중 흉기로 찔러···남녀 4명 검거 랭크뉴스 2024.05.28
31666 22대 국회로 넘어간 연금개혁... 민주당, 소득대체율 44% 재검토 불가피 랭크뉴스 2024.05.28
31665 구태정치로 끝난 21대 마지막 본회의…고성·삿대질에 반쪽파행(종합) 랭크뉴스 2024.05.28
31664 여당 이탈표 예상했더니…되레 야권서 최소 6명 이탈했다 랭크뉴스 2024.05.28
31663 巨野 재표결 강행에도 결국 불발…또 '尹 거부권' 유도 입법폭주 랭크뉴스 2024.05.28
31662 위성 공중 폭발에 무너진 '김정은과 푸틴'..."재발사? 당분간 어려울 듯" 랭크뉴스 2024.05.28
31661 윤 대통령, 이첩 당일 이종섭에 3차례 전화‥이후 박정훈 보직해임 랭크뉴스 2024.05.28
31660 “아들들 두 번 세 번 죽여”…군 사망 유가족, 채상병 특검법 부결에 랭크뉴스 2024.05.28
31659 [단독] ‘선박왕’ 권혁, 45억원대 횡령 혐의로 경찰 수사 중 랭크뉴스 2024.05.28
31658 1단 비행중 2분만에 폭발…성공한 엔진 두고 왜 새 엔진 서둘렀나 랭크뉴스 2024.05.28
31657 김호중, 경찰에 아이폰 3대 중 일부 비밀번호만 제공 랭크뉴스 2024.05.28
31656 ‘채 상병 특검법 찬성’ 김웅 “나를 징계하라” 랭크뉴스 2024.05.28
31655 ‘2천명 매몰’ 맨손으로 수습…추가 산사태 우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5.28
31654 "섹시댄스 춰…계집X들 빵댕이나 흔들어" 고교 단톡방 논란 랭크뉴스 2024.05.28
31653 채 상병 특검법 부결에 “당신 아들이어도 그럴건가” 고성·항의 오간 국회 랭크뉴스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