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의역 사망 사고 8주기 추모제 진행
서울역·광화문 인근서 채 상병 특검 관련 집회

토요일인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정부의 해외 직접구매(직구) 규제 대책 발표 등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지는 등 서울 도심 곳곳에서 집회가 열렸다.

직구규제반대소비자회가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연 '직구 규제 반대 시위'에서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직구규제반대소비자회는 이날 오후 12시 직구 규제 반대 집회를 열고 해외직구 급증에 따른 소비자 안전 강화 및 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한 정부를 지탄했다.

이들은 “정부가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정책을 명확한 법적 근거도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면서 “정부의 해명대로라면 행정부의 수장인 대통령도, 해당 정책을 집행하는 일선 기관인 관세청도 모르는 사이에 정책이 결정되고 발표되는 심각한 공직기강 문란이 자행된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책 발표에 따른 혼선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한편 직구 제한을 비롯해 소비자의 권익을 침해하는 규제를 향후 재추진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약속할 것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집회 측 추산 700여명이 참여했다.

집회 닷새 전인 지난 20일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정부의 해외 직구 규제 대책 발표로 혼선이 빚어진 데 대해 “국민께 혼란과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면서도 “대통령실은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조정한 해외직구 TF(태스크포스)에 참여하지 않았고, 이 문제는 대통령께 보고되지 않았다”고 했다.

공공운수노조와 서울교통공사 등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광진구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 대합실에서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 8주기 추모제를 열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8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사고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우리가 매일 이용하는 이동 수단인 공공교통이 참사의 현장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않기 위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해 “구의역 사고의 교훈을 망각하고 시계를 거꾸로 되돌리려 하고 있다”면서 “오세훈 표 죽음의 열차에 맞서 구의역 사고의 교훈을 다시 한 번 되새기고 모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교통을 만들기 위한 투쟁에 나서겠다”고 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이날 오후 3시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 의사당대로에서 전교조 창립 35주년 전국교사대회를 열었다. 전교조는 결의문에서 “지난 2년간 교육 당국은 그럴듯하지만 실속없는 빈껍데기 교육 정책들을 남발했다”며 “정작 현장에서 교육의 질을 담보할 교사 정원은 일방적으로 감축하고 끊임없이 연금과 임금 개악을 시도하며 교사 노동자의 삶을 위협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는 주최측 추산 약 3000명이 참가했다.

서울역과 광화문 광장 인근에서는 채 상병 특검법과 관련한 집회가 열렸다. 이날 오후 1시 광화문 광장에서는 자유통일당을 중심으로 채 상병 특검법에 반대하는 보수 성향 집회가 열렸다. 이 집회에 참여한 인원은 집회 측 추산 1만5000명이다.

더불어민주당 등 범야권 정당은 이날 오후 3시 서울역 인근에서 해병대원특검법 거부 규탄 및 통과 촉구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 22대 국회 당선인들이 모두 참석하며 조국혁신당에서도 조국 대표를 비롯한 당선인 전원이 나선다. 이석현 새로운미래 비상대책위원장, 장혜영 정의당 원내대표 직무대행,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법률대리인 김규현 변호사도 발언한다. 이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약 1만명이 참여했다.

25일 오후 서울역 앞에서 열린 야당·시민사회 공동 해병대원특검법 거부 규탄 및 통과 촉구 범국민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14 톡 쏘는 강렬한 향…전라도 ‘홍어 식문화’ 인류무형유산 될까?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13 네타냐후, 군이 발표한 낮시간 ‘인도적 전투 중단’ 돌연 반대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12 반려동물 11마리인데.. 순방 도중 '동물 선물' 받은 대통령 부부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11 뒤통수 맞은 김봉현…세탁 맡긴 횡령금 34억 가로챈 후배 조폭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10 윤 대통령 지지율 30.1%, 10주 연속 30% 초반대[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9 새것과 옛것의 공존이라는 가치[EDITOR's LETTER]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8 '파업 불참' 의사 "의사 수 1% 늘어난다고 한국 의료 망하나"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7 히딩크 관상 논란에 참전?... 한 채권 애널리스트 “지금은 고용지표보다 관상이 중요”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6 "쉬는 날 약속 없으면 '쓸모없는 사람' 된 것 같아 짜증이 나요" [정우열의 회복]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5 “결혼식 밥 안 먹으면 안 되나”…‘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4 "성수보다 합정?" 20대부터 넥타이부대까지 다 잡은 마포 상권[마포구의 비밀③]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3 형제복지원 수사 검사의 추락 [현장에서]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2 푸틴 24년 만에 평양으로... 시진핑 넘어서는 北 '역대급' 환대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1 2011년생 동갑내기 발전소… 왜 석탄은 살아남고 풍력은 삽도 못 떴나 [창간기획: 초당적 '30년 전략' 짜자] new 랭크뉴스 2024.06.17
44400 尹대통령 지지율, 1.4%p 떨어진 30.1%…10주째 횡보만 new 랭크뉴스 2024.06.17
44399 서울대병원 교수, 오늘부터 집단 휴진… 환자·의료계 불안감 new 랭크뉴스 2024.06.17
44398 "尹대통령 지지율 30.1%…10주 연속 30% 초반대"[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4.06.17
44397 7만 명이 춤췄더니 땅이 '흔들'…지진까지 일으키는 스위프트 '위엄' new 랭크뉴스 2024.06.17
44396 양육비 떼먹는 아빠의 직업은 ‘아동 학대’ 전문 인권변호사 [창+] new 랭크뉴스 2024.06.17
44395 ‘50도 육박’ 사우디 메카 성지순례서 요르단인 14명 숨져 new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