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온다습한 올여름 '곤충 대발생' 가능성↑…시민들, 포충기 구매·방충망 교체
전문가 "곤충도 생태계 일부…박멸 아닌 공존 대상"…서울 등 지자체 친환경방제


'팅커벨' 때문에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정진 홍준석 기자 = 매년 이맘때쯤이면 강원도 양양에서 캠핑을 즐긴다는 직장인 이모(33)씨는 지난 17일 캠핑장을 찾았다가 한여름처럼 많아진 모기 때문에 숙박을 취소하고 인근 호텔에서 잠을 잤다.

이씨는 "원래 캠퍼들은 모기가 많은 8월부터는 캠핑을 잘 다니지 않아 5∼6월이 '캠핑 시즌'인데 지난주부터 모기가 너무 많아졌다"며 "떼로 달려드는 모기에 캠핑장에선 고기만 구워 먹고 근처 호텔에서 숙박했다"고 말했다.

13년째 프로야구 키움 히어로즈 팬이라는 최모(29)씨는 몇 년 전부터 5월이면 나타나는 '팅커벨'(동양하루살이) 떼로 인해 고민이 많다.

키움의 홈인 서울 고척스카이돔은 실내 돔구장이라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야외에서 치르는 원정 경기는 응원하러 가기 꺼려질 때가 적지 않다.

팅커벨이 극성이라는 비 온 다음 날에는 직관을 피하고 곤충 기피 스프레이에 얇은 긴소매까지 챙겨가며 벌레의 습격을 막아보려 했지만 역부족이었다고 최씨는 말했다.

그는 "본격적으로 더워지기 전에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야구 보는 걸 굉장히 좋아하는데 팅커벨 때문에 잠실경기장은 5월 초부터는 피하게 된다"며 "야구의 낭만을 온전히 느끼지 못해 슬프다"고 했다.

유리창에 달라붙은 팅커벨(동양하루살이) 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게시물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나타난 팅커벨과 평년보다 일찍 찾아온 모기에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씨처럼 벌레 때문에 캠핑 등 취미생활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경우도 늘었다.

이에 일부 시민은 가정용 포충기를 구입하거나 방충망을 교체하는 등 저마다 대응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주말마다 캠핑을 즐긴다는 직장인 조모 씨는 최근 한강 근처에서 '팅커벨' 떼를 마주한 뒤 가정용 포충기를 샀다.

조씨는 "생김새도 징그럽고 크기가 꽤 있어 무서운데 불빛을 좋아해 밤에 램프를 켤 수도 없었다"며 "캠핑은 즐기고 싶고 팅커벨에게 습격당하긴 싫어 포충기를 샀다"고 했다.

서울 은평구에 거주하는 김모(30)씨는 지난해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에 시달렸던 경험 때문에 방충망을 교체했다.

그는 "평소 벌레를 너무 무서워하는데 작년에 러브버그 때문에 정말 괴로웠다"며 "작년엔 뜯어진 방충망에 스티커를 붙여 버텼지만 올해는 아무래도 불안해 방충망을 갈고 살충제도 다양한 종류로 구비했다. 100% 예방은 안 되겠지만 조금은 안심이 된다"고 했다.

도심 점령한 '러브버그'에…방충용품 수요 급증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처럼 시민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올여름 '곤충 대발생'이 예년보다 더 잦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는 평년보다 덥고 비가 많이 내릴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6월과 8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50%, 7월은 40%다. 강수량의 경우 6월은 50% 확률로 평년과 비슷하지만 7월과 8월은 40% 확률로 평년보다 많을 것으로 추산됐다.

국립생물자원관 박선재 연구관은 "일반적으로 온도와 습도가 올라가는 기후가 되면 곤충이 활동하기 좋은 조건이 된다. 기존 실험 결과를 보면 개체수가 늘어나거나 크기가 커져 대발생에 좋은 환경이 된다"고 설명했다.

떼로 나타난 곤충에 시민이 불편을 겪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익충(인간 생활에 이로움을 주는 곤충)으로 분류되는 동양하루살이와 붉은등우단털파리를 박멸 대상보다는 공존 상대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고 제언했다.

러브버그 방역
[연합뉴스 자료사진]


붉은등우단털파리 성충은 꽃꿀을 먹는 과정에서 수분을 매개한다. 유충은 흙바닥에 살며 낙엽과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양하루살이 유충은 부식질 유기물을 분해하며 2급수 이상에서만 살기 때문에 수생태계 건강성을 보여주는 지표종으로 꼽힌다.

두 곤충은 상위 포식자인 물고기와 새에게 먹이가 돼 생태계 균형에 도움을 준다. 사람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지도 않는다.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는 방제 효과를 보기 어려운 살충제를 쓰기보다 빛에 이끌리는 습성을 고려해 포충기를 설치하는 등 친환경 방제법을 활용하고 있다.

환경부와 서울시는 이달부터 빛에 이끌리는 동양하루살이 습성을 고려해 한강에 조명 보트를 띄워 방제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고려대 한국곤충연구소 강지현 교수는 "곤충이 대발생할 때 겪을 수 있는 불편을 방지하는 방법을 고도화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이들이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점도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787 상급종합병원 못가 한달 허송세월… “3~4개월밖에 못 산대요” 랭크뉴스 2024.05.29
31786 성심당, 월세 4억 원 날벼락에 대전역서 떠나나... "1억 넘으면 철수" 랭크뉴스 2024.05.29
31785 “이젠 논의할 때” 나경원이 쏘아올린 개헌론, 與 ‘화들짝’ 랭크뉴스 2024.05.29
31784 한밤중 놀래킨 영어로 온 재난문자…"외계인 나타난 줄 알았다" 랭크뉴스 2024.05.29
31783 ‘임기 단축 개헌론’ 꺼낸 나경원, 하루 만에 “정권 흔들기 반대” 랭크뉴스 2024.05.29
31782 尹, 국빈 방한 UAE 대통령 위해 전투기 띄우고 창덕궁 산책 랭크뉴스 2024.05.29
31781 尹, 첫 국빈 방한 UAE대통령과 창덕궁 산책…전투기4대 띄웠다 랭크뉴스 2024.05.29
31780 WHO "라파 전면침공 땐 유일한 병원마저 기능 상실" 랭크뉴스 2024.05.29
31779 122m 높이 철교서 추락한 10대 팔만 다쳤다…어떻게 이런일이? 랭크뉴스 2024.05.29
31778 강형욱 “반려견 레오 회사에서 안락사” 해명에…수의사들 일제히 반발 왜? 랭크뉴스 2024.05.29
31777 김호중 소속사 “사건 관련 임직원 전원 퇴사…사과드린다” 랭크뉴스 2024.05.29
31776 “삐라 때문에?”…한밤중 울린 합참 ‘위급 재난 문자’ 랭크뉴스 2024.05.29
31775 尹대통령, 채상병 기록 경찰 이첩 후 이종섭과 3차례 통화(종합) 랭크뉴스 2024.05.29
31774 [사설] 기술 패권 시대, 초격차 기술·인재 육성 전략 서둘러야 생존한다 랭크뉴스 2024.05.29
31773 합참 "북한 대남전단 추정 미상물체 접적지역서 식별" 랭크뉴스 2024.05.29
31772 ‘채 상병 특검법’ 끝내 폐기…야, 전세사기특별법 등 5개 법안 단독처리 랭크뉴스 2024.05.29
31771 [단독] 윤, ‘우즈벡 출장’ 이종섭에 3차례 전화...박정훈, 통화 중 해임 랭크뉴스 2024.05.29
31770 청년의 ‘울산탈출’…‘킹산직도 여성도 없는 도시’ 랭크뉴스 2024.05.29
31769 '오물짝 경고' 김정은, 냄새나는 분변 뿌렸다…풍선 10여개 식별 랭크뉴스 2024.05.29
31768 22대서 재발의 예상되는데… 변수는 법사위원장 ‘쟁탈전’ 랭크뉴스 2024.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