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AI 열풍에 다방면 수요 확대
메모리 공급은 그에 못 미쳐"
인공지능(AI) 반도체가 탑재된 로봇 가상 이미지. 그래픽=윤주영·달리


한국은행이 이번 반도체 경기 상승기가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공지능(AI) 열풍에 따른 수요 확대, 그에 못 미치는 제한적인 공급이 맞물린 결과다.

24일 한은 조사국 경기동향팀 최영우 과장과 최종호 조사역은 '최근 반도체 경기 상황 점검' 보고서를 내고
"금번 반도체 경기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판단되며 더 길어질 여지도 있다"
고 평가했다.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저조한 1분기 실적, 반도체 제조업체 TSMC의 글로벌 파운드리(위탁 생산) 성장 전망 하향 등으로 업황 둔화 우려가 제기됐으나 물리친 것이다. 이번 보고서는 한은의 수정 경제전망(5월)에 수록됐다.

보고서는 수출 측면에서 볼 때, 이번 상승기가 클라우드 서버 증설과 가상자산 투자 확산으로 서버와 개인용컴퓨터(PC) 수요가 함께 늘었던 2016년 상승기와 유사하다고 진단했다. 반도체 경기는 '수요 증가→상승기 시작→투자·공급 확대→추가 수요 약화로 인한 공급 과잉→하락 국면' 주기를 반복하는데, 다양한 부분에서 수요가 확산되는 경우 상승폭이 더 컸다. 반도체 수요가 스마트폰에 국한됐던 2013년 상승폭은 8%포인트였고, 2016년에는 26.3%포인트에 달했다.

경기국면별 국내 반도체 수출 비교. 한국은행 '최근 반도체 경기 상황 점검' 보고서 캡처


이번 상승기 역시
다방면에서 수요 회복 조짐
이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이다. 먼저 AI 서버 부문은 "빅테크 간 경쟁 심화로 관련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실제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기술 기반 반도체에 대항해, AMD가 AI 반도체를 출시했고, 구글, 메타 등도 자체 반도체 개발에 나서고 있다. 보고서는 "일반 서버는 기존 설비의 노후화, 그간의 투자 부족 등이 수요 회복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모바일·PC 부문은 "온디바이스 AI 기술1 적용으로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공급 측면, 특히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공급 확대가 원활하지 않을 것
으로 내다봤다. AI 서버용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고성능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높은 생산 난도로 인해 수율(투입 대비 완성도)이 낮기 때문이다. 메모리 기업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소수에 불과해 "점유율보다 수익성 확보를 중시할 가능성이 큰 것"도 공급 제약 요인이다.

보고서는 "현재 글로벌 반도체 경기 상승기에 국내 반도체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우리 경제의 성장 흐름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설비 및 건설투자, 데이터센터 건설투자 등도 국내 경기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1
온디바이스 AI 기술기기 자체에 탑재돼 직접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모바일 부문의 경우 온디바이스 AI가 탑재된 갤럭시 S24가 올초 판매 호조를 보인 가운데,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도 같은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64 텅 빈 채 '빙빙'…전국 곳곳 수백억짜리 '아이'가 늘고 있다 [하상윤의 멈칫] 랭크뉴스 2024.03.16
43763 김정은 ‘푸틴 선물’ 아우루스 타고 등장…김여정 “모스크바에 감사” 랭크뉴스 2024.03.16
43762 오타니 "한국은 가장 좋아하는 나라… 아내와 좋은 추억 될 것" 랭크뉴스 2024.03.16
43761 이재명 “차점자가 우승자 되지 않아” vs 박용진 “순천은 차점자 승계” 랭크뉴스 2024.03.16
43760 “사과는 비싸서 사지도 못해”...직접 느끼는 체감 물가 ‘살인적’[위클리 이슈] 랭크뉴스 2024.03.16
43759 '사생활 논란' 트럼프 특검 사임… '대선 뒤집기' 재판 차질 불가피 랭크뉴스 2024.03.16
43758 전국의대교수 비대위 “‘2천 명’ 수치 풀어야…사직 결정은 고육지책” 랭크뉴스 2024.03.16
43757 언제든 탈 수 있던 지하철 1호선, 영원히 운행 멈췄다 [어쩌다, 커튼콜] 랭크뉴스 2024.03.16
43756 여당이 장예찬 날린 날... 이재명, '노무현 비하' 양문석 "표현의 자유" 옹호 랭크뉴스 2024.03.16
43755 한소희 “찌질·구차했다”···류준열과 열애 인정, ‘환승’ 부인 랭크뉴스 2024.03.16
43754 총선 다급한 與, '친윤' 장예찬 막말 악재에 공천장 회수 랭크뉴스 2024.03.16
43753 퇴근길 지하철 좌석에 가방 올린 여성… 승객들 분통 랭크뉴스 2024.03.16
43752 고소 엄포까지 나온 김행·진중권 설전, 결국 라디오 마이크 꺼졌다 랭크뉴스 2024.03.16
43751 ‘환승연애’ 부인, ‘재밌네’ 사과…류준열·한소희, 그리고 혜리 랭크뉴스 2024.03.16
43750 ‘3만 대나’… 현대차 제네시스 美서 리콜, 왜? 랭크뉴스 2024.03.16
43749 함운경 등 與 총선 후보 8명 “이종섭, 자진귀국 하라” 촉구 랭크뉴스 2024.03.16
43748 윤 대통령, 김하성·어린이들 만나 "룰의 경기 야구 사랑하면 좋은 리더 돼" 랭크뉴스 2024.03.16
43747 '비만약 신드롬' 주가 500% 폭등…한국선 이 기업 제일 앞섰다 랭크뉴스 2024.03.16
43746 국민의힘 "민주당 최대 리스크는 이재명‥저질 언어, 유권자에 폭력" 랭크뉴스 2024.03.16
43745 "노무현은 유사불량품" 양문석 논란에‥이광재·임종석 "당 결단해야" 랭크뉴스 2024.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