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李 "21대 처리" 尹 원포인트 회담 제안
盧 추도식 가는 길 유튜브서 깜짝 발언
尹과 차별화...  민생 주도권 드라이브
대안 없이 압박만... 與 "정치쇼" 비판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에 참석하고 있다. 김해=연합뉴스


"남은 시간이 정말 얼마 없지 않냐. 그래서 (윤석열 대통령과) 담판을 짓겠다고 나선 것이다." 이재명 대표 측 관계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연금개혁 원포인트 영수회담'을 고리로 정부·여당을 몰아붙였다. "9부 능선까지 온 연금개혁 판을 이대로 깨트릴 수 없고", "이번을 넘기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절박감"(이 대표 측 관계자) 때문이라고 한다. 21대 국회는 28일 마지막 본회의가 남았다.

'여의도 대통령'으로 불리는 이 대표 주도로 국정을 끌고 가겠다는 의도도 담겼다. 윤석열 대통령이 22대 국회로 연금개혁을 넘기며 소극적으로 나오는 것과 차별화된 지점이다. 다만 이 대표가 별다른 대안 없이 기존 민주당안(소득대체율 45%)을 고수하면서 정부·여당에 전격 양보한 것처럼 압박한 것을 두고 '정치적 쇼잉'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이날 발언은 예상치 못한 시점과 장소에서 튀어나왔다. 첫 메시지는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 참석을 위해 봉하마을에 내려가는 차 안에서 진행된 유튜브 방송이었다. 당원의 중요성을 설파하던 이 대표는 뜬금없이 연금개혁을 화두로 띄웠다. 지난 7일 국회 연금개혁 특위가 사실상 빈손으로 종료된 이후 이 대표가 공개석상에서 별도의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이 대표는 "사람들이 돈(보험료)을 더 내기는 싫고, 돈(연금)을 덜 받는 건 더 싫어한다. 정치인들도 표가 떨어지는 의제라 잘 나서지 않는다"며 "그럼에도 개혁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운을 뗐다. 이어 "공식적으로 당신들(정부·여당)의 안을 받을 테니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처리하자는 입장을 내겠다. 여당이 협력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여야는 '보험료율 13% 인상'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소득대체율을 놓고 민주당 45%, 국민의힘 43~44%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이 대표는 "사실 1%포인트 차이다. (협상하면) 21대 국회가 끝나기 전 타결할 수 있다"고 정부·여당의 협조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5,000만의 미래가 달린 건데 장난하듯 해서 안 되지 않느냐"고도 했다. 이 대표가 소득대체율을 1% 낮춰 여당 안을 받는 것으로 해석됐다.

그런데 이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은 달랐다. 그는 "민주당은 조속한 개혁안 처리를 위해 소득대체율을 당초 제시했던 50%에서 45%로 낮추는 결단을 내렸다"며 "이 방안은 윤석열 정부가 제시했던 안"이라고 부연했다. 민주당은 충분히 양보를 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사실관계가 달랐다. 여권에서는 "정부가 45%를 제시한 안 자체가 없다"며 "여야 합의가 중요한 것"이라고 맞받았다. 민주당이 소득대체율을 45%에서 더 낮추는 것도 아니었다. 이에 "얕은 속임수"(유승민 전 의원)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그러자 이 대표 측 핵심관계자는 "45%냐, 44%냐 수치를 따지기보다 21대 때 반드시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며 "일단 대통령이 (21대에 처리하겠다고) 결단하면 담판 지을 수 있다"는 것이라고 한 발 비켜섰다.

이처럼 정제되지 않은 메시지로 인해 혼선을 빚었다. 반면 이 대표 입장에선 '잃을 게 없다'는 해석이 나왔다. 윤 대통령과 정부·여당에 책임을 떠넘기고 이 대표는 연금개혁을 어떻게든 완수하려는 해결사 이미지를 챙겼기 때문이다. 민생 이슈 주도권을 치고 나간다는 점도 부각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표가 손해를 본 건 없지 않으냐"고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481 고민정 종부세 폐지 주장에···국민의힘 “적극 환영” 랭크뉴스 2024.05.28
31480 검찰, 남현희 전 연인 전모씨 아동학대 혐의로 추가기소 랭크뉴스 2024.05.28
31479 '근본 없는 것들' 맨스티어와 QWER의 반란...힙합과 록을 놀래키다 랭크뉴스 2024.05.28
31478 대리 시험 본 '간 큰' 쌍둥이 형제‥재판행 랭크뉴스 2024.05.28
31477 전기요금 부담금 7월부터 인하…12개 부담금 개편 랭크뉴스 2024.05.28
31476 '반도체 자립' 노리는 중국의 세 번째 베팅...64조 빅펀드 조성 랭크뉴스 2024.05.28
31475 네타냐후, 뒤늦은 사과? 라파흐 45명 사망 “비극적 실수” 랭크뉴스 2024.05.28
31474 “사망 훈련병 ‘패혈성 쇼크’ 의심...병원 이송 당시 열 40.5도” 랭크뉴스 2024.05.28
31473 포르쉐 카이엔 만든 '이 사람' 현대차 왔다...정의선, 파격 인재영입 ‘초강수’ 랭크뉴스 2024.05.28
31472 알리·테무·쉬인 해외 직구 제품 10개 사면 4개는 ‘유해물질 범벅’? 랭크뉴스 2024.05.28
31471 "늦은밤 감사했다"…빅5 병원장이 전공의에 보낸 환자 메시지 랭크뉴스 2024.05.28
31470 한예슬 기사에 '날라리 양아치' 댓글... 법원, 모욕죄 인정 랭크뉴스 2024.05.28
31469 與, 5번째 이탈표… 김근태 “이대로는 野 ‘내로남불’에서 자유롭지 못해” 랭크뉴스 2024.05.28
31468 “이제 자유로워져” 모야모야병 앓던 40대 딸, 장기기증 결심한 노모 랭크뉴스 2024.05.28
31467 새가 되고 싶었던 40대 장애인…5명 살리고 하늘로 랭크뉴스 2024.05.28
31466 "뒤쳐지면 안돼" 미취학 자녀 처음 사교육 받는 나이 생후 55개월 랭크뉴스 2024.05.28
31465 ‘20억 차익’ 래미안 원베일리 만점 당첨자, 무주택으로 15년 버틴 7인 가구 랭크뉴스 2024.05.28
31464 이준석 “한동훈, ‘채상병 특검법’ 입장 안 밝히고 당권·대권 꿈꾸지 마라” 랭크뉴스 2024.05.28
31463 '찬성파'의 막판 호소‥안철수 "총선 민의 받들자" 김웅 "부끄럽지 않나" 랭크뉴스 2024.05.28
31462 원베일리 '20억 로또' 당첨자는 만점 통장 보유자 랭크뉴스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