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월드프리미어 영상 첫 공개
1회 충전 주행거리 무려 501㎞
인니 합작 공장에서 NCM 조달
저렴한 값에 고성능 배터리 확보
글로벌 판매목표 年 20만대 기대
기아가 전기차 대중화를 이끌 콤팩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EV3를 23일 전 세계에 처음 공개했다. 사진 제공=기아

[서울경제]

기아가 전기차 대중화 시대의 선봉장 역할을 맡을 콤팩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EV3를 전 세계에 최초로 공개했다. 삼원계 배터리를 채택해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501㎞까지 확보했고 보조금을 반영한 실구매가를 3000만 원 중반대까지 낮췄다. 시장이 기대했던 주행거리와 가격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가성비를 갖춘 EV3 출시를 계기로 중저가 보급형 전기차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기아는 23일 월드프리미어 영상을 통해 ‘더 기아 EV3’의 실차와 상세 제원을 공개했다. EV3는 기아가 2021년 EV6, 지난해 EV9에 이어 국내시장에 선보인 전동화 전용 플랫폼(E-GMP) 기반의 세 번째 전용 전기차다.

업계는 기대 이상이라는 반응이다. 우선 주행거리가 길다. EV3(롱레인지 모델 기준)는 1회 충전 시 산업통상자원부 인증 기준 501㎞를 달릴 수 있다. 유럽(WLTP) 기준으로는 주행거리가 600㎞를 넘는다. 주행 성능이 뛰어난 NCM(니켈·코발트·망간) 기반의 삼원계 배터리를 채택한 결과다. 롱레인지(81.4㎾h)와 스탠다드(58.3㎾h) 2개 모델 모두 NCM 배터리가 탑재된다. 차량 가격을 3000만 원대로 맞추기 위해 한때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지만 기아는 NCM 배터리를 최종 선택했다.

기아가 전기차 대중화를 이끌 콤팩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EV3를 23일 전 세계에 처음 공개했다. 사진 제공=기아


송호성 기아 사장은 “전기차에 대한 고객들의 기대를 심층 분석한 결과 주행거리는 450~500㎞가 심리적 마지노선이었다”며 “대중화 모델이건 고급 모델이건 그 정도의 주행거리는 나와줘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보급형 전기차는 주행거리를 늘리려면 가격이 비싼 NCM 배터리를 써야 해 차량 가격이 오르는 문제가 있었다”며 “EV3는 현대차그룹이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해 인도네시아에 세운 배터리 공장에서 NCM 배터리를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조달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충전 속도도 우수한 편이다. 배터리를 10%에서 80%까지 충전하는 데 31분이 걸린다. 충전 속도가 최근 출시한 신형 EV6(18분)보단 길지만 동급 차종 가운데에서는 빠르다.

외관은 EV9를 닮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에 기반해 역동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디자인을 갖췄다. 미지향적 느낌의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과 수직으로 배치한 헤드램프로 대담한 인상의 ‘타이거 페이스’를 형상화했다.

EV3는 현대차그룹 최초로 ‘아이페달 3.0’을 적용했다. 기아 전기차 가운데 최초로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를 탑재했고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와 디스플레이 테마에 혁신적인 커넥티비티 사양을 적용했다.

기아의 전기차 대중화를 이끌 EV3의 차량 내부에는 기아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를 비롯한 혁신적인 커넥티비티 사양이 대거 탑재됐다. 사진 제공=기아


기아는 EV3 출시를 앞세워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할 방침이다. 연간 판매 목표도 공격적으로 설정했다. EV3의 연간 글로벌 판매 목표량은 20만 대다. 지난해 현대차·기아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한 전기차는 45만 1000대다. 현대차그룹이 EV3에 대해 거는 기대감이 그만큼 높다는 얘기다.

기아는 6월 초 국내 고객을 대상으로 계약을 실시하고 정부 부처 인증 절차가 끝나는 7월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다. 가격은 롱레인지 모델 기준 전기차 보조금과 각종 인센티브를 더하면 3000만 원 중반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30 [단독]종부세 감세에 지방세수 2조6천억 ‘뚝’···“폐지 땐 지방 재정 직격탄”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9 "생지옥 볼 거다, 올림픽 오지 마라" 파리 시민들 잇단 경고 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8 ‘새벽 2시’ 외환시장 개방 코앞… “연장시간 거래 활발한 은행에 인센티브”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7 "이 추세면 10년 후 성장률 0%대 진입"...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자세[차은영의 경제돋보기]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6 의사 집단휴진에 정부 초강수..."구상권 청구, 건강보험 선지급 제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5 이정재 10억·송강호 7억…‘억소리’ 출연료에 넷플릭스도 日으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4 "많이 지쳤다" 피 묻은 휴지 공유하며 후원금 계좌 남긴 정유라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3 서울 면적 5.6배가 불탔다···세계 최대 습지 판타나우, 최악의 화재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2 5대은행 가계대출 보름 새 2조 원 증가‥주택담보대출 1조 9천억 원↑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1 해외보관 내정보 안전할까…태그호이어·中쇼핑몰에 커진 불안감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0 이승기 장모 견미리… 남편 ‘주가조작’ 무죄판결 뒤집혔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9 의협, 3대 대정부 요구안 발표 “정부가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투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8 '만점 통장' 또 보나… '20억 로또' 원펜타스 분양 임박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7 “안 받아들이면 집단 휴진” 의협 ‘대정부 요구안’ 제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6 '중산층 집한채' 상속세 줄인다…과표·공제·세율 '일괄 손질'(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5 "설마 아니겠지?"…식당서 부부가 놓고 간 '노란 페트병'의 정체는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4 [단독] "돼지 먹일 사료도 없다"... 북한군 내부 문건에 담긴 굶주림 실태[문지방]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3 ‘휴진 반대’ 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의사 1% 늘면 의료 망합니까”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2 [단독] “양아치같이 뭐 하는 짓” 한 마디에 수십억 증액…KT ‘고가매입’ 민낯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1 이스라엘군, 가자 남부서 "낮시간 군사활동 중단…인도적 목적" new 랭크뉴스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