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민주, 워크숍 끝나고 곧장 김해로
與 황우여·추경호 봉하마을 찾아
'비명 구심점' 기대 김경수도 귀국
與 "입법독재" 野 "검찰독재 저지"
정치대립 책임 놓고 서로 날 세워
더불어민주당 박찬대(맨 앞줄 왼쪽부터) 원내대표와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고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에서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김해=연합뉴스

[서울경제]

여야 정치권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인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집결했다. 여야 모두 노 전 대통령이 추구한 ‘사람 사는 세상’과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언급하며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극심한 정치 갈등의 책임을 놓고 여야는 서로를 향해 ‘입법 독재’와 ‘검찰 독재’를 공격하며 네 탓 공방을 이어갔다.

이날 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 일대에서 엄수된 노 전 대통령의 15주기 추도식은 ‘지금의 실천이 내일의 역사입니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22대 국회 당선인 대부분이 참석했다. 여당을 대표해서는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자리를 함께했다. 정부 측 인사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등이 참석했다. 이밖에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와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 등 22대 국회에 입성하는 모든 정당의 대표단이 한자리에 모였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 문재인 정부 인사들도 함께했다.

그중에서도 대중의 관심은 영국 유학 도중 추도식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에게 가장 많이 쏠렸다. 김 전 지사가 이번 귀국을 계기로 민주당 내 ‘친문(친문재인계)’ 세력의 새로운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김 전 지사는 전날 경남 양산 평산마을에서 문 전 대통령을 만나 2시간가량 대화했다. 이날 추도식에서는 김 전 지사와 이 대표가 가볍게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한 달간 국내에 머무는 동안 ‘친문·비명계’ 인사들을 두루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독일로 출국한 김 전 지사는 올해 말 완전 귀국할 예정이다. 김 전 지사 측은 정치권 안팎의 확대 해석에 대해 경계하고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복권을 받아 피선거권을 되찾을 경우 ‘친명(친이재명) 일극 체제’인 민주당 내 권력 구도가 충분히 요동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지난 총선 기간 동안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을 물밑 지원한 문 전 대통령은 이날도 이 대표와 조 대표, 김 전 지사를 따로 불러 별도 환담을 나눴다. 조 전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문 전 대통령이 두 정당(민주당·혁신당)의 공통 공약이 많은 만큼 서로 연대해 성과를 빨리 내달라는 취지의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여야는 이날 한목소리로 ‘노무현 정신’ 계승을 외쳤지만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견제구를 날리며 팽팽한 신경전도 지속했다. 여당은 거대 야당의 ‘입법 독주’를 경계했고 야당은 ‘검찰 독재’를 외치며 윤석열 정부의 실정을 부각했다. 황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과 의정 활동을 함께했던 당시를 떠올리며 “정치 분야에서는 통합과 상생의 정신, 타협의 정치를 강하게 주장하셨다”며 “민주당의 새로운 지도부도 우리와 함께 노 대통령이 꿈꾸셨던 정치를 실행해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황 위원장은 추도식 참석 직후 문 전 대통령 예방을 위해 평산마을을 찾기도 했다. 다만 김민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거대 야당은 다수당의 권력으로 민의를 왜곡하고 입법 독재를 반복하겠다는 선전포고로 국회를 또다시 혼란의 소용돌이로 빠뜨리려 하고 있다”며 “어느 때보다 노 대통령이 바랐던 협치의 정신이 절실한 때”라고 민주당을 향한 날을 세웠다.

반면 이 대표는 권양숙 여사 예방 직후 “대화와 타협을 통해 원만히 해결하려 노력하되 마지막 순간에는 국민이 지향하는 뜻에 맞춰 다수 의견에 따른 의사 결정을 해나가야 한다”며 22대 국회에서도 다수 의석을 앞세운 강력한 대여 투쟁을 예고했다. 최민석 민주당 대변인도 서면 브리핑을 통해 “집권 3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권은 ‘노무현 정신’을 짓밟고 대한민국을 ‘그들만 사는 세상’으로 만들고 있다”면서 “거부권을 남발하는 고집불통 윤 대통령과 대통령의 거수기로 전락한 집권 여당은 권력을 사유화하고 민주주의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법 권력을 등에 업은 ‘검찰 독재’는 전 정부 보복과 야당 탄압에 골몰했다”며 “노 전 대통령이 말했던 대로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으로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52 국민의힘 "이재명, 사법부에서 뺨 맞고 언론에 화풀이" 맹공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51 송다은 "승리 클럽 한 달 일했는데 마약 꼬리표…풍문 사실 아냐"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50 "생지옥 볼 것, 올림픽 오지 마라" 파리 시민들, 경고 영상 유포, 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9 평양서 푸틴·김정은 만날 때, 서울선 한·중 손잡는다…한반도 요동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8 이재명 두둔 나선 민주당 초선들 ‘언론은 검찰 애완견’ 논란 가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7 수명 40년 임박 한빛원전, 부안 지진에 수명 연장 ‘흔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6 정부, ‘대왕고래’ 시추 착수비 100억원 확보…내년 국회 ‘예산 협조’는 불투명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5 민주 초선들, "검찰 받아쓰기 지적한 것"‥이재명 '기자 애완견' 발언 옹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4 내일부터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의료계 휴진 본격화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6.16
44143 ‘검찰 쿠데타’는 사실이었나 [아침햇발] 랭크뉴스 2024.06.16
44142 10년 만에 꿈 이뤘는데···임용 두 달 만에 삶 꺾여[어느 젊은 공무원의 죽음] 랭크뉴스 2024.06.16
44141 공수처 사건 쌓이는데···검사 결원 채우는 데만 ‘최소 3개월’ 랭크뉴스 2024.06.16
44140 군가 맞춰 춤춰볼까…6살 루이 왕자 英왕실 행사 또 '신스틸러' 랭크뉴스 2024.06.16
44139 바이든∙트럼프, 90분 TV토론…펜∙물 1병만 들고 '맨몸 혈투' 한다 랭크뉴스 2024.06.16
44138 '20억 후반 아파트도 종부세 0원?'...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랭크뉴스 2024.06.16
44137 혁신당 "김건희 측근 행정관·딸 인턴 의혹 민정수석, 국회 부를 것" 랭크뉴스 2024.06.16
44136 홍준표 "총선 망친 주범들이 당권 노린다"…한동훈 저격 랭크뉴스 2024.06.16
44135 ‘윤 대통령 방문’ 우즈벡 고속철 구매 자금 ‘전액’ 한국이 빌려준다 랭크뉴스 2024.06.16
44134 장인 주가조작 논란에…이승기 측 "결혼 전 일, 가족 건들지 말길" 랭크뉴스 2024.06.16
44133 81세 바이든 vs 78세 트럼프…오직 '맨몸'으로 90분간 붙는다 랭크뉴스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