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민주, 워크숍 끝나고 곧장 김해로
與 황우여·추경호 봉하마을 찾아
'비명 구심점' 기대 김경수도 귀국
與 "입법독재" 野 "검찰독재 저지"
정치대립 책임 놓고 서로 날 세워
더불어민주당 박찬대(맨 앞줄 왼쪽부터) 원내대표와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고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에서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김해=연합뉴스

[서울경제]

여야 정치권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인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집결했다. 여야 모두 노 전 대통령이 추구한 ‘사람 사는 세상’과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언급하며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극심한 정치 갈등의 책임을 놓고 여야는 서로를 향해 ‘입법 독재’와 ‘검찰 독재’를 공격하며 네 탓 공방을 이어갔다.

이날 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 일대에서 엄수된 노 전 대통령의 15주기 추도식은 ‘지금의 실천이 내일의 역사입니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22대 국회 당선인 대부분이 참석했다. 여당을 대표해서는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자리를 함께했다. 정부 측 인사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등이 참석했다. 이밖에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와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 등 22대 국회에 입성하는 모든 정당의 대표단이 한자리에 모였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 문재인 정부 인사들도 함께했다.

그중에서도 대중의 관심은 영국 유학 도중 추도식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에게 가장 많이 쏠렸다. 김 전 지사가 이번 귀국을 계기로 민주당 내 ‘친문(친문재인계)’ 세력의 새로운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김 전 지사는 전날 경남 양산 평산마을에서 문 전 대통령을 만나 2시간가량 대화했다. 이날 추도식에서는 김 전 지사와 이 대표가 가볍게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한 달간 국내에 머무는 동안 ‘친문·비명계’ 인사들을 두루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독일로 출국한 김 전 지사는 올해 말 완전 귀국할 예정이다. 김 전 지사 측은 정치권 안팎의 확대 해석에 대해 경계하고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복권을 받아 피선거권을 되찾을 경우 ‘친명(친이재명) 일극 체제’인 민주당 내 권력 구도가 충분히 요동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지난 총선 기간 동안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을 물밑 지원한 문 전 대통령은 이날도 이 대표와 조 대표, 김 전 지사를 따로 불러 별도 환담을 나눴다. 조 전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문 전 대통령이 두 정당(민주당·혁신당)의 공통 공약이 많은 만큼 서로 연대해 성과를 빨리 내달라는 취지의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여야는 이날 한목소리로 ‘노무현 정신’ 계승을 외쳤지만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견제구를 날리며 팽팽한 신경전도 지속했다. 여당은 거대 야당의 ‘입법 독주’를 경계했고 야당은 ‘검찰 독재’를 외치며 윤석열 정부의 실정을 부각했다. 황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과 의정 활동을 함께했던 당시를 떠올리며 “정치 분야에서는 통합과 상생의 정신, 타협의 정치를 강하게 주장하셨다”며 “민주당의 새로운 지도부도 우리와 함께 노 대통령이 꿈꾸셨던 정치를 실행해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황 위원장은 추도식 참석 직후 문 전 대통령 예방을 위해 평산마을을 찾기도 했다. 다만 김민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거대 야당은 다수당의 권력으로 민의를 왜곡하고 입법 독재를 반복하겠다는 선전포고로 국회를 또다시 혼란의 소용돌이로 빠뜨리려 하고 있다”며 “어느 때보다 노 대통령이 바랐던 협치의 정신이 절실한 때”라고 민주당을 향한 날을 세웠다.

반면 이 대표는 권양숙 여사 예방 직후 “대화와 타협을 통해 원만히 해결하려 노력하되 마지막 순간에는 국민이 지향하는 뜻에 맞춰 다수 의견에 따른 의사 결정을 해나가야 한다”며 22대 국회에서도 다수 의석을 앞세운 강력한 대여 투쟁을 예고했다. 최민석 민주당 대변인도 서면 브리핑을 통해 “집권 3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권은 ‘노무현 정신’을 짓밟고 대한민국을 ‘그들만 사는 세상’으로 만들고 있다”면서 “거부권을 남발하는 고집불통 윤 대통령과 대통령의 거수기로 전락한 집권 여당은 권력을 사유화하고 민주주의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법 권력을 등에 업은 ‘검찰 독재’는 전 정부 보복과 야당 탄압에 골몰했다”며 “노 전 대통령이 말했던 대로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으로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634 與의원 앞 눈물 흘린 해병대원‥"왜 우리가 조아려야 합니까"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5.28
31633 민주유공자법·세월호피해지원법 등 국회 통과…野 단독 처리 랭크뉴스 2024.05.28
31632 [속보] 민주유공자법 등 4개 쟁점법안 본회의 통과…野 단독처리 랭크뉴스 2024.05.28
31631 고양이 목에 방울 달았다가…법원서 ‘실형’ 철퇴 랭크뉴스 2024.05.28
31630 “의료공백 막았더니 ‘범법자’ 위기”…‘간호법’ 또 물건너가나 랭크뉴스 2024.05.28
31629 "개방형 AI모델 늘리고 정보 규제 등 완화해야" [서울포럼 2024] 랭크뉴스 2024.05.28
31628 '특검법 부결'에 안철수 "소신껏 의견 밝힌 대로 투표했어" 랭크뉴스 2024.05.28
31627 [속보] 민주유공자법 등 4개 쟁점법안 국회 본회의 상정 랭크뉴스 2024.05.28
31626 [속보] "이스라엘 탱크, 하마스 최후 보루 라파 중심가 진입" 랭크뉴스 2024.05.28
31625 300억弗+α 기대…UAE대통령 만난 재계 총수들 랭크뉴스 2024.05.28
31624 한예슬 "진심으로 기분 상해"…伊신혼여행 중 '인종차별'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28
31623 구하라법 또 좌절됐다…법사위 계류 법안 1778개 다 폐기 랭크뉴스 2024.05.28
31622 ‘채상병 특검법’ 부결…찬성 179, 반대 111, 무효 4 랭크뉴스 2024.05.28
31621 국토부 장관 “‘선구제 후회수’ 전세사기특별법 거부권 행사 건의할 것” 랭크뉴스 2024.05.28
31620 ‘탈덕수용소’ 운영자, 강다니엘 명예훼손 혐의로도 재판 중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5.28
31619 “3천 장 인쇄” SK하이닉스 중국인 직원 구속…반도체 기술 화웨이 유출 혐의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5.28
31618 [속보] 박상우 국토부 장관 “전세사기 특별법 거부권 건의할 것” 랭크뉴스 2024.05.28
31617 전세사기 특별법, 본회의 통과했지만... 尹 거부권에 '폐기' 수순 밟을 듯 랭크뉴스 2024.05.28
31616 [속보] "이스라엘 탱크, 라파 중심가 진입" 로이터 랭크뉴스 2024.05.28
31615 "방관 죄송…이대로면 尹도 손가락질 받아" 울먹인 의대 교수들 랭크뉴스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