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민주, 워크숍 끝나고 곧장 김해로
與 황우여·추경호 봉하마을 찾아
'비명 구심점' 기대 김경수도 귀국
與 "입법독재" 野 "검찰독재 저지"
정치대립 책임 놓고 서로 날 세워
더불어민주당 박찬대(맨 앞줄 왼쪽부터) 원내대표와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고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에서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김해=연합뉴스

[서울경제]

여야 정치권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인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집결했다. 여야 모두 노 전 대통령이 추구한 ‘사람 사는 세상’과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언급하며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극심한 정치 갈등의 책임을 놓고 여야는 서로를 향해 ‘입법 독재’와 ‘검찰 독재’를 공격하며 네 탓 공방을 이어갔다.

이날 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 일대에서 엄수된 노 전 대통령의 15주기 추도식은 ‘지금의 실천이 내일의 역사입니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22대 국회 당선인 대부분이 참석했다. 여당을 대표해서는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자리를 함께했다. 정부 측 인사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등이 참석했다. 이밖에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와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 등 22대 국회에 입성하는 모든 정당의 대표단이 한자리에 모였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 문재인 정부 인사들도 함께했다.

그중에서도 대중의 관심은 영국 유학 도중 추도식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에게 가장 많이 쏠렸다. 김 전 지사가 이번 귀국을 계기로 민주당 내 ‘친문(친문재인계)’ 세력의 새로운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김 전 지사는 전날 경남 양산 평산마을에서 문 전 대통령을 만나 2시간가량 대화했다. 이날 추도식에서는 김 전 지사와 이 대표가 가볍게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한 달간 국내에 머무는 동안 ‘친문·비명계’ 인사들을 두루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독일로 출국한 김 전 지사는 올해 말 완전 귀국할 예정이다. 김 전 지사 측은 정치권 안팎의 확대 해석에 대해 경계하고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복권을 받아 피선거권을 되찾을 경우 ‘친명(친이재명) 일극 체제’인 민주당 내 권력 구도가 충분히 요동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지난 총선 기간 동안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을 물밑 지원한 문 전 대통령은 이날도 이 대표와 조 대표, 김 전 지사를 따로 불러 별도 환담을 나눴다. 조 전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문 전 대통령이 두 정당(민주당·혁신당)의 공통 공약이 많은 만큼 서로 연대해 성과를 빨리 내달라는 취지의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여야는 이날 한목소리로 ‘노무현 정신’ 계승을 외쳤지만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견제구를 날리며 팽팽한 신경전도 지속했다. 여당은 거대 야당의 ‘입법 독주’를 경계했고 야당은 ‘검찰 독재’를 외치며 윤석열 정부의 실정을 부각했다. 황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과 의정 활동을 함께했던 당시를 떠올리며 “정치 분야에서는 통합과 상생의 정신, 타협의 정치를 강하게 주장하셨다”며 “민주당의 새로운 지도부도 우리와 함께 노 대통령이 꿈꾸셨던 정치를 실행해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황 위원장은 추도식 참석 직후 문 전 대통령 예방을 위해 평산마을을 찾기도 했다. 다만 김민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거대 야당은 다수당의 권력으로 민의를 왜곡하고 입법 독재를 반복하겠다는 선전포고로 국회를 또다시 혼란의 소용돌이로 빠뜨리려 하고 있다”며 “어느 때보다 노 대통령이 바랐던 협치의 정신이 절실한 때”라고 민주당을 향한 날을 세웠다.

반면 이 대표는 권양숙 여사 예방 직후 “대화와 타협을 통해 원만히 해결하려 노력하되 마지막 순간에는 국민이 지향하는 뜻에 맞춰 다수 의견에 따른 의사 결정을 해나가야 한다”며 22대 국회에서도 다수 의석을 앞세운 강력한 대여 투쟁을 예고했다. 최민석 민주당 대변인도 서면 브리핑을 통해 “집권 3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권은 ‘노무현 정신’을 짓밟고 대한민국을 ‘그들만 사는 세상’으로 만들고 있다”면서 “거부권을 남발하는 고집불통 윤 대통령과 대통령의 거수기로 전락한 집권 여당은 권력을 사유화하고 민주주의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법 권력을 등에 업은 ‘검찰 독재’는 전 정부 보복과 야당 탄압에 골몰했다”며 “노 전 대통령이 말했던 대로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으로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31 수습인가, 기름 붓기인가···민주당 초선들, ‘언론은 검찰 애완견’ 논란 가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0 [단독]종부세 감세에 지방세수 2조6천억 ‘뚝’···“폐지 땐 지방 재정 직격탄”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9 "생지옥 볼 거다, 올림픽 오지 마라" 파리 시민들 잇단 경고 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8 ‘새벽 2시’ 외환시장 개방 코앞… “연장시간 거래 활발한 은행에 인센티브”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7 "이 추세면 10년 후 성장률 0%대 진입"...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자세[차은영의 경제돋보기]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6 의사 집단휴진에 정부 초강수..."구상권 청구, 건강보험 선지급 제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5 이정재 10억·송강호 7억…‘억소리’ 출연료에 넷플릭스도 日으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4 "많이 지쳤다" 피 묻은 휴지 공유하며 후원금 계좌 남긴 정유라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3 서울 면적 5.6배가 불탔다···세계 최대 습지 판타나우, 최악의 화재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2 5대은행 가계대출 보름 새 2조 원 증가‥주택담보대출 1조 9천억 원↑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1 해외보관 내정보 안전할까…태그호이어·中쇼핑몰에 커진 불안감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0 이승기 장모 견미리… 남편 ‘주가조작’ 무죄판결 뒤집혔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9 의협, 3대 대정부 요구안 발표 “정부가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투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8 '만점 통장' 또 보나… '20억 로또' 원펜타스 분양 임박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7 “안 받아들이면 집단 휴진” 의협 ‘대정부 요구안’ 제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6 '중산층 집한채' 상속세 줄인다…과표·공제·세율 '일괄 손질'(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5 "설마 아니겠지?"…식당서 부부가 놓고 간 '노란 페트병'의 정체는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4 [단독] "돼지 먹일 사료도 없다"... 북한군 내부 문건에 담긴 굶주림 실태[문지방]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3 ‘휴진 반대’ 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의사 1% 늘면 의료 망합니까”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12 [단독] “양아치같이 뭐 하는 짓” 한 마디에 수십억 증액…KT ‘고가매입’ 민낯 new 랭크뉴스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