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인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열린 추도식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석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제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안을 처리하기 위한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다만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 논의에서 여야가 끝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소득대체율과 관련해서는 민주당의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여권은 영수회담이 아니라 여야 합의가 중요하다며 이 대표의 제안은 오는 28일 본회의 강행을 위한 명분을 쌓으려는 정략이라고 비판했다.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를 5일 앞두고 이뤄진 이 대표의 제안을 계기로 여야간 연금개혁안 논의가 재개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민주당은 조속한 개혁안 처리를 위해 소득대체율을 당초 제시했던 50%에서 45%로 낮추겠다는 결단을 내렸다”며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 방안은 윤석열 정부가 제시했던 안이기도 하다”라고 적었다. 이어 “정부·여당이 결단만 한다면 28일 본회의에서 연금개혁안이 처리될 수 있다”며 “이 문제와 관련해 대통령과 영수회담을 개최할 용의가 있다는 말씀도 드린다”고 했다.

이 대표는 앞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이동하는 차 안에서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하며 “오늘 공식적으로 당신들(정부·여당)의 안을 받을 테니 처리하자고 입장을 내겠다”며 “전향적으로 여당이 협력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정부안을 수용해서 제안한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를 여당이 받아들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은 즉각 반박하며 민주당의 정치적 목적을 따져 물었다. 제21대 국회 연금특위 여당 간사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은 SNS에서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 안은 민주당이 주장한 안”이라며 “민주당안이 윤석열 정부안으로 둔갑하다니 기가 찰 노릇”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재차 글을 올려 “여당 간사가 모르는 안이 어찌 여당 안이 될 수가 있나. 거짓말도 정도껏 하기 바란다”고 적었다. 또 “지난 10일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의 연금 개혁 수정안을 공개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며 “수정안에 대해 2주가 다 되도록 침묵하다가, 이제야 21대 국회에서 꼭 개혁해야 한다고 하는 저의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여당 연금특위 위원인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도 입장문을 내고 “윤석열 정부는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를 제시한 바 없다”며 “이 안은 민주당의 제안이다. 민주당 주장을 민주당 대표가 수용한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는 28일 합의 없는 국회 본회의 강행에 명분을 쌓으려는 정략으로 보인다”며 “대통령이 연금 개혁에 명확한 의지를 밝혔는데도 영수회담을 거론하며 압박하는 것은 또 다른 거부권처럼 보이게 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역대 정부 최초로 국회에서 연금개혁 논의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제공했다”면서 “국회의 합의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영수회담 제안에 대해 사실상 거절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21대 국회 연금특위의 어떤 실적이나 성과로서 조급하게 마무리할 것이 아니라 22대 국회로 넘기고, 다만 제 임기 안에는 이것이 확정될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협력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21대 국회에서 여야의 연금개혁안 협상은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연금 보험료율은 13% 인상하는 데 뜻을 모았지만 소득대체율에서 2%포인트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득대체율을 두고 국민의힘은 43%, 민주당은 45%를 주장하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여야는 지난 7일 국회 연금특위에서 막판 타협을 시도했지만 절충안 마련에 실패했다. 당시 주호영 연금특위 위원장은 “최종적으로 소득대체율 2%포인트 차 때문에 입법이 어렵게 됐다”며 “사실상 21대 특위 활동을 종료하게 되는 상황이 왔다”고 밝혔다.

여야는 연금개혁안 마련 주체를 두고도 이견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과 정부가 개혁안 마련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가 윤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을 제안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국회 연금특위 야당 간사인 김성주 민주당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여야 간사는 오늘이라도 만나서 합의할 수 있다. 그런데 대통령이 거부한다면 아무 의미 없지 않나”라며 “국회가 연금개혁에 합의하면 이걸 받아들이겠다는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연금개혁을 위한 구체적 수치는 여야 협의를 통해 풀어갈 문제라는 입장이다.

결국 여야가 현재와 같은 입장을 유지한다면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안 마련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대표의 이날 제안이 소득대체율 44% 절충 등 중재안 합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을지는 주목된다. 막판 극적 타협이 이뤄진다면 국민연금법은 28일 상정될 수 있다. 김성주 의원은 “어제(22일) 김진표 국회의장께 여야 대표·원내대표 중재를 요청했다”며 “특검법을 다루더라도 국민연금법을 처리할 수 있도록 의사일정을 조정하겠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반면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SNS에서 “6일 남은 21대 국회가 그런 무책임한 결정을 해서는 안된다”면서 “22대 국회에서 빠른 시일 내에 제대로 된 연금개혁안의 합의에 이르기를 호소한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47 수명 40년 임박 한빛원전, 부안 지진에 수명 연장 ‘흔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6 정부, ‘대왕고래’ 시추 착수비 100억원 확보…내년 국회 ‘예산 협조’는 불투명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5 민주 초선들, "검찰 받아쓰기 지적한 것"‥이재명 '기자 애완견' 발언 옹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4 내일부터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의료계 휴진 본격화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3 ‘검찰 쿠데타’는 사실이었나 [아침햇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2 10년 만에 꿈 이뤘는데···임용 두 달 만에 삶 꺾여[어느 젊은 공무원의 죽음]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1 공수처 사건 쌓이는데···검사 결원 채우는 데만 ‘최소 3개월’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40 군가 맞춰 춤춰볼까…6살 루이 왕자 英왕실 행사 또 '신스틸러'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9 바이든∙트럼프, 90분 TV토론…펜∙물 1병만 들고 '맨몸 혈투' 한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8 '20억 후반 아파트도 종부세 0원?'...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7 혁신당 "김건희 측근 행정관·딸 인턴 의혹 민정수석, 국회 부를 것"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6 홍준표 "총선 망친 주범들이 당권 노린다"…한동훈 저격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5 ‘윤 대통령 방문’ 우즈벡 고속철 구매 자금 ‘전액’ 한국이 빌려준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4 장인 주가조작 논란에…이승기 측 "결혼 전 일, 가족 건들지 말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3 81세 바이든 vs 78세 트럼프…오직 '맨몸'으로 90분간 붙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2 동해 가스전 첫 시추 착수비 120억 원 우선 확보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1 수습인가, 기름 붓기인가···민주당 초선들, ‘언론은 검찰 애완견’ 논란 가세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30 [단독]종부세 감세에 지방세수 2조6천억 ‘뚝’···“폐지 땐 지방 재정 직격탄”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9 "생지옥 볼 거다, 올림픽 오지 마라" 파리 시민들 잇단 경고 왜 new 랭크뉴스 2024.06.16
44128 ‘새벽 2시’ 외환시장 개방 코앞… “연장시간 거래 활발한 은행에 인센티브” new 랭크뉴스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