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日, 구조화 채권 투자로 고령층 등 피해
구조화 채권, 투자 위험성 큰 파생상품
일본 금융사, 상품 권유 금지 고객 설정
고위험 상품 판매 과정에 CEO 참여 의무

금융사기예방연대 회원들이 지난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홍콩 ELS 사태와 관련해 은행권을 규탄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 당국이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해 고위험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 대상을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홍콩 ELS 사태와 유사한 금융사고가 발생한 일본의 판매 권유 가이드라인을 참고한 대책이다. 일본은 안정적인 상품만 투자한 고객이나 투자 손실이 발생할 경우 안정적인 생활이 어려운 고객은 투자 권유 대상에서 원칙적으로 제외하도록 판매 관행을 고쳤다.

23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홍콩 ELS 불완전판매 사태를 막기 위해 일본의 ‘구조화 채권(仕組債·시쿠미사이) 판매 권유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홍콩 ELS 사태와 굉장히 유사하게 일본에서도 고위험상품에 대한 불완전판매 사태가 발생했다”라며 “일본이 먼저 판매 권유 가이드라인을 개정해 이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구조화 채권은 파생상품을 이용해 높은 수익률을 책정하는 금융상품이다. 옵션 거래가 편입돼 있어 가격이 하락하면 큰 손실이 날 수 있다. 이 상품은 구조가 복잡해 기존에는 전문가를 대상으로만 판매됐으나, 개인까지 판매 가능 대상이 확대됐다.

일본 금융청과 자율규제기구인 일본증권업협회가 지난해 개정한 구조화 채권 판매 권유 가이드라인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고위험상품에 투자하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다.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의 홍콩 ELS 사태와 유사하게 금융기관이 고객의 투자 경험·투자 목적에 비춰 상품을 판매해야 하는 ‘적합성의 원칙’을 어기고 구조화 채권을 무분별하게 판매해 투자자의 피해가 커진 사례가 발생했다. 일부 지방은행을 중심으로 현지 금융기관은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금융소비자나 퇴직급여를 받는 고령층에게 구조화 채권 투자를 권유해 이들이 투자 손실을 봤다는 민원이 늘어났다. 일부 고객은 조기상환을 통해 반복적으로 구조화 채권을 구입해 투자금 전액을 날린 경우도 있었다.

그래픽=정서희

일본은 이 사태를 계기로 마련한 가이드라인에 판매를 권유할 수 있는 고객을 선별하는 기준을 세웠다. 우선 구조화 상품 판매를 권유할 수 없는 고객을 설정했다. 투자 손실 발생하면 생활 유지나 노후생활에 문제가 발생하는 고객과 자산이 충분하더라도 일정한 투자 경험이 없는 고객은 판매 권유 대상에서 원칙적으로 제외했다.

대신 판매 대상 고객은 투자경험 및 보유금융자산 기준, 파생상품거래 지식을 판매 조건에 추가하는 등 사실상 부유층으로 한정했다. 보유 금융자산 규모와 전체 보유 자산 중 위험자산의 비중 등도 확인하도록 했다. 도카이도쿄증권의 경우 구조화 채권 판매 대상을 금융자산 1억엔(약 9억원) 이상으로 제한했다.

일본 금융기관은 판매 적정 고객이더라도 고객 자금의 성질, 즉 투자금이 여유 자금인지, 또는 노후 자금인지를 확인하고, 위험에 따르는 수익성과 유동성 등을 설명해야 한다. 상품의 구조에 대해 투자자가 알기 쉽게 설명해야 하고, 고금리·정부 보증, 확정금리 등 고객을 현혹할 수 있는 부분을 강조해서도 안 된다. 상품을 조기 상환한 후에 투자를 재권유할 때도 상품에 대한 설명을 간소화해서도 안 된다.

이 가이드라인은 대표이사 등 최고경영진의 책임도 강화했다. 위험이 큰 상품을 판매할 시 판매의 적절성, 판매 대상 고객의 선정, 판매 체계의 재검토 등에 최고경영진이 참여하도록 했다.

이외에도 금융위는 투자자가 제대로 된 상품에 대한 이해 없이 고위험상품에 가입하는 것도 막을 방침이다. 투자 손실의 책임은 최종적으로 투자자에게 있는 만큼 사전에 투자자가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투자의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금융감독원도 홍콩 ELS 사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낸다.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실무선에서 고위험상품 판매 관행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에서 확정된 대책은 금융위에서 검토 과정을 거쳐 확정되는 만큼 올해 하반기 최종 대책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509 난동 취객 뺨 때린 경찰 해임…"다른 방법 제지 가능" 랭크뉴스 2024.05.28
31508 "성관계 문제로 짜증나서 장난"…'계곡살인' 이은해가 전한 그날 랭크뉴스 2024.05.28
31507 ‘코인 논란’ 200만 유튜버, 생방송 오열… 경찰 출동 랭크뉴스 2024.05.28
31506 모야모야병 앓던 40대… 5명에 새 삶 주고 하늘로 랭크뉴스 2024.05.28
31505 얼차려 사망 훈련병 '횡문근융해증' 유사 증상…가혹행위 논란 커지나(종합) 랭크뉴스 2024.05.28
31504 강형욱 "레오, 사무실서 안락사"… '출장 안락사' 불법 논란 랭크뉴스 2024.05.28
31503 [단독] 군, 신병교육대 ‘얼차려’ 혐의자 2명으로 특정해 경찰 이첩 랭크뉴스 2024.05.28
31502 “얼차려 사망 훈련병, 과도한 체온 상승에 근육 손상” 랭크뉴스 2024.05.28
31501 잠자는 퇴직연금 찾아가세요… 미청구 퇴직연금 조회 플랫폼 신설 랭크뉴스 2024.05.28
31500 불티나게 팔리는 K화장품… 1분기 중소기업 수출 일등공신 랭크뉴스 2024.05.28
31499 고속도로 달리던 택시서 기사 때리고 음주운전한 30대 남성 징역 2년 랭크뉴스 2024.05.28
31498 김호중 모교 기념공간도 논란…전 교장은 “여론몰이 가혹” 두둔 랭크뉴스 2024.05.28
31497 갑작스런 폐업, 5만명 퇴직연금 1천억 안 찾아갔다 랭크뉴스 2024.05.28
31496 "어떻게…죽은 원숭이·새가 하늘에서 수도 없이 떨어져요" 랭크뉴스 2024.05.28
31495 MZ조폭·설계사·병원 짜고쳐 보험금 21억 '꿀꺽'…조직형 보험사기 적발 랭크뉴스 2024.05.28
31494 나경원 “대통령 임기단축 개헌” 언급에 윤상현 “거야 선동 프레임” 랭크뉴스 2024.05.28
31493 얼차려 받다 사망 훈련병, 열 40도에 '패혈성 쇼크' 추정 랭크뉴스 2024.05.28
31492 "칼로 안 째, 자국만 남겨!" 보험사기 컨설팅까지 차린 MZ조폭 랭크뉴스 2024.05.28
31491 "한동훈 불출마"라더니 "착각"‥황우여 방송에 與 '발칵' 랭크뉴스 2024.05.28
31490 "어리석은 사람이 의대생 늘려"‥"고시 9수" 영어강연 尹 비판 랭크뉴스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