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택구입부담지수 통계 보니
2022년 3분기 사상 최고
국민일보 DB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발표하는 주택구입부담지수가 2022년 3분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주금공 주택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사상 처음으로 80을 넘어선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22년 3분기 89.3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중위소득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할 경우 얼마만큼의 대출 상환 부담을 져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다. 대출상환가능소득을 중간가구소득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해 산출한다. 가령 서울의 지수가 90이라면, 서울의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적정부담액(소득의 25%)의 90%를 주택구입담보대출(주담대)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서울의 지수가 214.6을 기록하며 가장 높았다. 당시 서울의 중위소득가구는 집을 사기 위해 월급의 59.6%를 주담대에 쏟아부었다는 의미다. 전국에서 200을 넘은 건 서울이 유일했다. 뒤를 이은 세종(134.6) 경기(120.5)와도 격차를 크게 벌렸다.

2004년 1분기 처음 작성된 이 지수는 부동산 시장이 활황이던 2008년 2분기 당시 최고치(76.2)를 경신했다.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발 부동산 시장 냉각의 직격타를 맞고 2015년 1분기(50.3)까지 수직 낙하했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던 지수는 코로나19가 처음 유행한 2020년 1분기 49.7을 기록한 뒤 팬데믹 기간 동안 80대까지 급등했다.

2022년 3분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수는 이후 완만한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다. 전국에서 집값 폭락 케이스가 속출하며 지난해 1분기에는 70대로, 2분기에는 60대로 하락했다. 가장 최근 통계인 지난해 4분기에는 64.6까지 떨어지며 2021년 1분기 수준으로 회귀했다.

한편 서울 집값은 지난해 12월부터 4개월 연속 하락하거나 보합했다. 2023년 12월(-0.07%) 2024년 1월(-0.12%) 2월(-0.09%) 3월(0%) 등 등락세를 보이다 지난달 5개월 만에 0.10%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81 윤성덕, ILO 이사회 의장 선출…한국, 21년만에 의장국으로 랭크뉴스 2024.06.15
43880 미일, 미국서 확장억제대화 개최‥"대북 억지력 강화 확인" 랭크뉴스 2024.06.15
43879 서울광장 이태원 분향소 내일 이전…오세훈 시장, 유족 만나 위로 랭크뉴스 2024.06.15
43878 세계최대 습지 판타나우 최악의 화재…서울 면적 5.6배 잿더미 랭크뉴스 2024.06.15
43877 “배고플 때 드세요”···순찰차 옆에 과자 놓고 간 초등생 랭크뉴스 2024.06.15
43876 윤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마치고 오늘 귀국길 랭크뉴스 2024.06.15
43875 “급발진 의심시 제조사가 입증해야”…도현이법 재청원 랭크뉴스 2024.06.15
43874 부산 ‘폭발물 의심’ 신고로 열차 한때 중지…사건·사고종합 랭크뉴스 2024.06.15
43873 의대 학부모들 “환자 불편에도 행동할 때”…강경 투쟁 압박 랭크뉴스 2024.06.15
43872 “소설 창작”·“애완견 망언”…이재명 기소 공방 랭크뉴스 2024.06.15
43871 "담배 펴서 그런거다" 욕 먹은 박하선…병원 실려간 병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4.06.15
43870 與, 이재명 '언론, 검찰 애완견' 발언에 "범죄자 망언"(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15
43869 직장에 ‘후불’ 배달음식 보내고 “잘 받았냐”···빚 독촉 대부업체 수사 랭크뉴스 2024.06.15
43868 동해고속도로서 버스·SUV 등 4중 충돌사고…47명 경상 랭크뉴스 2024.06.15
43867 오세훈, 이전 앞둔 10‧29 참사 분향소 방문 “유가족과 계속 소통” 랭크뉴스 2024.06.15
43866 의대 학부모들, 서울대 교수에 “환자 불편해도 지금은 행동해야” 랭크뉴스 2024.06.15
43865 "사촌도 결혼하는데 넌 왜 안해" 엄마 잔소리에 흉기들고 조카 찾아간 30대 랭크뉴스 2024.06.15
43864 헌재는 왜 ‘검사의 공소권 남용’을 묻지 못했을까 랭크뉴스 2024.06.15
43863 "왕싸가지" "유이 닮았는데 백치미"…승객 태운 택시 '라방' 논란 랭크뉴스 2024.06.15
43862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 “무기한 휴진 참여 400명 넘어” 랭크뉴스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