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바야시 타케루, 은퇴 선언
"더 이상 배고픔 느끼지 못해"
"3일간 안 먹어도 배가 안 고파"
넷플릭스서 '먹방' 챔피언이
배고프지 않은 이유 밝혀내
'핫도그 빨리 먹기' 대회에서 6연속 우승을 차지한 '먹방' 챔피언 고바야시 타케루. 사진=SCMP 캡처

[서울경제]

20일(현지 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일본의 ‘빨리 먹기 왕' ‘먹방 챔피언’이 더 이상은 배고픔을 느끼지 못해 은퇴를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네이슨 핫도그 빨리 먹기 대회에서 6연속 우승을 차지한 일본인 고바야시 타케루(46)는 앉은 자리에서 무려 64.5개의 핫도그를 삼키기도 했다.

고바야시는 23세에 일본 ‘먹방’ 대회에 참가해 앉은 자리에서 초밥 60접시, 감자 2.7kg, 라면 16그릇을 먹어 치우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대만에서는 양고기 스튜 5500g을 24분 만에 먹어 치우며 승리를 거뒀다. 또 홍콩에서는 12분 만에 차슈바오 (바비큐 돼지고기 찐빵) 100개를 먹어 치워 챔피언이 됐다.

고바야시는 ‘먹기 대회’에 참가해 일 년에 1억엔(65만 달러)이 넘는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그의 가족들이 먹고 살기에 충분한 금액이다.

그의 은퇴 소식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건강을 해킹하다: 장의 비밀'(Hack Your Health: The Secrets of Your Gut)를 통해 알려졌다. 이 다큐는 인간의 소화 시스템을 깊이 파고들어 장, 식단, 건강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건강을 해킹하다’에 출연한 고바야시는 “더 이상 배가 고프지 않다”고 말했다. 또 그의 부인은 그가 3일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았는데도 배고픔을 느끼지 못했다고 전했다.

고바야시 타케루. 사진=바이두


또 고바야시는 "너무 많이 먹으면서 음식 냄새를 맡는 능력을 상실하고 포만감과 같은 신체의 신호도 무시하게 된다"고 털어놓았다.

빨리 먹기 대회에서 수 차례 우승을 한 ‘먹방 챔피언’이 어떻게 배고픔을 느끼지 못하게 된 것일까?

의료 전문가들은 그의 장에서는 아무런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지만 뇌에서 식욕 부진의 원인을 밝혀냈다. 고바야시가 음식을 보면 식사, 음식, 메스꺼움, 포만감과 관련된 뇌의 모든 영역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배고픔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신경심리학자 애니 굽타는 “고바야시의 뇌가 여전히 가공된 음식을 먹고 있는 상태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고바야시는 충격을 받았다. 그는 “저는 두려움을 느끼기 시작했다"며 "아직도 내 뇌가 건강한지 모르겠다”고 털어 놓기도 했다.

고바야시 타케루. 사진=바이두


해결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순한 냄새, 감각 또는 아주 기본적인 것일지라도 몸의 목소리를 듣는 법을 배우라고 조언했다.

고바야시는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아보카도, 들깻잎, 표고버섯, 마늘 등 영양가 있는 재료를 사용해 더욱 건강한 '핫도그'를 만들기 시작했다.

결론적으로 고바야시가 은퇴를 선언한 이유는 바로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기 때문이다. 그는 “지난 20년 동안 ‘먹방’ ‘먹기 대회’에 참가했다"며 “저의 결정이 가져올 결과가 걱정되기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내 뇌와 장을 고치고 싶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은퇴 소식은 소셜미디어(SNS)에서 화제가 됐다. 한 누리꾼은 SNS에 “이 영화를 보기 전까지 당신이 겪는 어려움을 전혀 깨닫지 못했다”라고 적었다. 또 다른 이는 “이 쇼는 나와 내 직감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렇게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맙고 몸조심하세요”라고 적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7163 "인도 초청은 당초 문체부 장관이었다"...'김정숙 타지마할' 논란 쟁점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4.05.21
37162 "AI, 불평등 확산할 것…기본소득 제공해야" 랭크뉴스 2024.05.21
37161 “신생아 ‘안저검사’만 했어도”…의료 사각지대서 매년 수천명 실명 랭크뉴스 2024.05.21
37160 민주당, ‘명심보강’ 랭크뉴스 2024.05.21
37159 美 "이란 대통령 사망 애도…안보저해행위 책임은 계속 물을 것"(종합) 랭크뉴스 2024.05.21
37158 1만명 탈당에 지지율 6%P '뚝'…강성당원과 중도에 낀 이재명 랭크뉴스 2024.05.21
37157 日, 30년 만에 돌아온 강세장에…‘개미’ 등치는 사기 기승 랭크뉴스 2024.05.21
37156 [사설] 채상병특검법 거부권 행사 후폭풍 감당할 수 있나 랭크뉴스 2024.05.21
37155 "끝났다"던 넷플릭스의 화려한 반등... 그 뒤엔 '이 사람'이 있었다 랭크뉴스 2024.05.21
37154 [단독] 與 만난 김 여사 “선거로 살 빠지셨나”…尹 “당 호위무사 될 것" 랭크뉴스 2024.05.21
37153 일부 전공의 '복귀 디데이' 넘겼다…전문의 취득 차질 가능성 랭크뉴스 2024.05.21
37152 '채 상병 특검'에 尹 10번째 거부권 임박... 또 민심과 맞서다 랭크뉴스 2024.05.21
37151 신생아 한명 당 53만원에 사고판 일당들 재판서 한 말이… 랭크뉴스 2024.05.21
37150 "이스라엘도 전쟁범죄" ICC 영장에 美 발칵…바이든 "터무니 없다" 랭크뉴스 2024.05.21
37149 [단독] "금감원 출신 142명, 로펌·증권·보험사 취업"... 질긴 '금융 카르텔' 랭크뉴스 2024.05.21
37148 “유기농인데 더 싸네?”…과일값 폭등에 장바구니도 변했다 랭크뉴스 2024.05.21
37147 '머스크 효과' 美 기업 CEO 성과보수 확산…작년 최고 2천억원 랭크뉴스 2024.05.21
» »»»»» 한번에 핫도그 64.5개 삼킨 40대 '먹방' 챔피언 결국… 랭크뉴스 2024.05.21
37145 미국인들, 코로나 때문에 재택하면서 '이것'에 500조 더 썼다 랭크뉴스 2024.05.21
37144 여야, 법사위·운영위원장 배분 ‘줄다리기’…22대 국회 ‘제때’ 시작할까 랭크뉴스 2024.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