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NS에 “KC 의무화 지나쳐”
‘할 말 하는 인상 구축’ 분석
‘젊은층에 다가가기’ 의도도
당내선 ‘총선백서’ 충돌 양상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사진)이 정부의 해외직구 규제방안을 과도한 규제라고 비판하며 재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한 달 만에 내놓은 공개 메시지에서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자 당내에선 당대표 출마를 염두에 두고 ‘비윤석열(비윤)’ 스탠스를 잡아간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 전 위원장은 지난 18일 밤 SNS에 “정부 발표대로 개인의 해외직구 시 KC 인증을 의무화할 경우 적용 범위와 방식이 모호하고 지나치게 넓어져 과도한 규제가 될 것”이라며 “소비자의 선택권을 지나치게 제한하므로 재고돼야 한다”고 밝혔다.정부는 지난 16일 80개 품목에 안전인증이 없으면 해외직구를 원천 금지하는 방안을 발표했다가 비판이 커지자 19일 “전면 차단이 아니다”라며 물러섰다.

한 전 위원장은 4·10 총선 참패에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난 후 SNS에 글 2개를 올렸는데, 첫 번째 글에선 그가 윤석열 대통령을 배신했다는 홍준표 대구시장의 말에 대해 “정치인이 배신하지 말아야 할 대상은 국민뿐”이라고 반박했고, 한 달 만에 올린 이번 글에선 현 정부의 정책을 비판했다.

한 전 위원장의 생각이 당대표 출마 쪽으로 더 기운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당내에선 정부에 할 말은 하는 이미지를 구축하면서도 윤 대통령에게 정면으로 맞서는 느낌은 나지 않는 이슈를 골랐다는 분석도 있다. 같은 날 잠재적 당권 경쟁자인 나경원 당선인이 SNS에 ‘정부, KC 미인증 직구 전면 금지 안 한다’는 정부 해명 보도를 공유하며 “다행이다. 취지는 공감하지만 졸속 시행으로 인한 부작용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적고, 유승민 전 의원이 “빈대 잡겠다고 초가삼간 태우는 무식한 정책”이라고 비판한 후였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19일 통화에서 “한 전 위원장이 유승민 같은 ‘반윤석열’까지는 안 가고, 나경원의 위상을 대체하는 비윤 스탠스를 생각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해외직구를 즐기는 젊은층에 가깝게 다가서려는 의도도 읽힌다. 한 전 위원장은 직접 온라인으로 구입한 ‘1992’ 티셔츠를 입고 부산에 가 화제를 일으키기도 했고 이번 글에서도 “저도 가끔 해외직구를 한다”고 밝혔다.

총선 패배 원인을 분석하는 백서를 고리로 당내 친한동훈(친한)계와 친윤석열(친윤)계의 충돌 양상도 빚어지고 있다. 친윤계 핵심인 이철규 의원은 지난 17일 백서 특위 회의에 다수의 공관위원이 불참한 데 대해 “많은 분이 함께하지 못한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겠다”고 했고, 친한계로 꼽히는 장동혁 의원은 같은 날 SNS에서 “많은 사람이 참석하지 못할 날짜를 못 박고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표현하는 것이야말로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총선 인재영입위원회에서 이 의원과 투톱으로 활동한 조정훈 의원이 백서 특위 위원장을 맡은 후 친한계에선 백서에 한 전 위원장의 책임이 크게 적힐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의 영입 1호 인사였던 박상수 인천 서갑 조직위원장은 17일 SNS에 조 의원의 친윤계 당대표 출마설 보도를 첨부하고 “총선 백서 위원장으로 백서에 유력한 당권 경쟁자인 한동훈 책임론을 싣고, 백서 작성을 명분으로 전국의 조직위원장들을 만나 한동훈 책임을 추궁한 뒤 한동훈과 당권 경쟁을 한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615 민주 최대모임 ‘혁신회의’ 2기 출범···“당원 주권시대” 외치며 세력 확장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14 대통령실, 북 오물 풍선에 “대북 확성기 재개 배제 안해”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13 당정 “신병교육 실태 긴급점검···수류탄 사망 조사결과 따라 순직 판단”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12 한·미·일 올 여름 ‘다영역 군사 훈련’ 시행···한·일 ‘초계기 갈등’도 끝내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11 “지역에도 좋은 병원 있더군요”…의정갈등, 긍정 효과도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10 서울 금천서 형사팀장 뇌물 수수 의혹…경찰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9 與, 김정숙 여사 논란에…"식도락 여행…文 진실 밝혀야"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8 한-일 ‘초계기 갈등’, 일본 사과 없이 5년 반 만에 봉합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7 음주단속 두 번 걸리고 행패부린 남성…“제트스키도 몰았다” [제보]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6 82세 노인 손톱 밑에 낀 변…그의 존엄은 ‘휴지 한 칸’이었다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5 서울 강서구 빌라에서 ‘층간 소음 시비’ 이웃 살해한 40대 체포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4 대통령실, 북 오물풍선 살포에 “북한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하기로”…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3 의협, 전국 시도의사회장 긴급회의…“총파업 회원 투표로 결정”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2 [르포] "韓 한정판 놓치면 후회"…번호표 들고 4시간 줄섰다는 '이곳' 어디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1 [단독] “김건희, 받은 샤넬 화장품 포장 뜯게 해 직접 확인”…최재영 메모엔 new 랭크뉴스 2024.06.02
42600 '12사단 훈련병 사망' 여성 중대장 살인죄로 고발..."미필적 고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99 한-일 ‘초계기 갈등’ 일본 사과 없이 5년 반 만에 봉합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98 [단독] 서울 금천경찰서 형사팀장 뇌물수수 의혹…압수수색에 직위해제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97 '선경 300억·최서방 32억'…불분명한 기여 인정·자금 출처에 논란 가열 new 랭크뉴스 2024.06.02
42596 36명 기내식 4끼 6292만원…與 ‘김정숙 종합 특검법’ 발의 new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