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중·러 삼각관계 구도 부각에 부담
'서방 관계 개선' 중국의 눈치 보기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16일 베이징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최근 중국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귀국길에 북한을 들르지 않은 배경을 두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류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북·중·러 삼각관계 구도가 부각해 서방의 반발을 살 가능성에 부담을 느꼈다는 것이다. 서방과 관계 개선에 나선 중국이 전통적 동맹과의 거리 설정에 애를 먹고 있는 모양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현지시간) 익명의 외교관과 이 사안에 관계된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푸틴 방북 가능성, 베이징을 짜증나게 해"

김정은(맨 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7일 동해상에서 진행된 전술 탄도미사일 시험 사격을 참관하고 있다. 조선중앙TV 뉴시스


앞서 외교가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지난 16, 17일 중국을 국빈 방문한 후 북한을 찾아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날 수 있다는 예측이 돌았다.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을 평양에 초대한 데 따른 답방 차원에서다. 특히 이번 방중 일정의 마지막 행선지가 북한에서 가까운 중국 하얼빈이라는 점에서 '깜짝 방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그간 크렘린궁도 북한 측 초청에 응하겠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표명했다.

WSJ는 그러나 "푸틴 대통령의 방북 가능성이 베이징을 짜증 나게 했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이 중국과 북한을 연달아 방문할 경우, 서방에 '중국이 북·러와 삼각 관계를 강화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국가는 미국 중심 국제질서에 대한 반발을 고리로 끈끈한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최근에는 이해관계가 미묘하게 벌어지고 있다. 서방 국가들에 계속 철강·태양광 패널 등을 팔아야 하는 중국과,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여기에 무기를 지원하는 러시아·북한 간 입장이 달라진 결과다.

WSJ는 "중국은 그간 러시아 측에 북한을 포함한 삼각 동맹보다는 중·러 양자 동맹 발전을 선호한다는 입장을 명백히 밝혀왔다"면서 "삼각 동맹에 대한 서방의 우려가 커지면 중국이 외교적으로 고립되는 결과도 가져올 수 있다"고 짚었다. 미 싱크탱크 스팀슨 센터의 쑨윈은 WSJ에 "중국의 목표는 두 예측 불가능한 파트너들 틈에 갇히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북한 현상 유지 원해"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9년 6월 평양 금수산영빈관에서 만나 산책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특히 중국은 러시아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도울 가능성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한다. 서방은 지난해 9월 회담 이후 북한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 무기를 지원하고 있으며, 그 대가로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기술 등을 공급받을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에 '한반도 현상유지'를 원하는 중국의 구상은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군 정보장교 출신 연구원 데니스 윌더는 WSJ에 "중국은 북한이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북아의 잠재적 위협으로 존재하기를 원한다"면서 "(지난해 9월 정상회담으로 형성된) 북·러 간의 우호 관계를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짚었다.

한편, 북한과 러시아는 푸틴 대통령의 답방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러시아 타스통신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을 위한 준비가 제 속도대로 잘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203 [OK!제보] "여자애라 머리 때려"…유명 고깃집 사장의 폭행과 협박 랭크뉴스 2024.06.01
33202 "하루벌이 20만→3만원 추락"…다이소 잘나가자 망한 그들 랭크뉴스 2024.06.01
33201 美 배우, 헤어진 여자친구 찾아가 흉기로 찌른 혐의로 기소 랭크뉴스 2024.06.01
33200 '스피또 발권오류로 20만장 회수' 동행복권 전·현직 대표 송치(종합) 랭크뉴스 2024.06.01
33199 서울 맞벌이가정 24% "우울"…워킹맘·대디 하루 휴식 1시간 랭크뉴스 2024.06.01
33198 [속보] 한미일외교차관 공동성명 "완전한 한반도비핵화" 재확인 랭크뉴스 2024.06.01
33197 한미일 "北 위성·미사일 강력 규탄…완전한 비핵화 확인"(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01
33196 바이든 "이, 3단계 휴전안 제시"‥하마스 "환영" 랭크뉴스 2024.06.01
33195 "AI 시대 팩스·서류뭉치 웬말"... 경제 침체에 관료주의 깨부수려는 독일 랭크뉴스 2024.06.01
33194 “북한 위성발사는 비싼 불꽃놀이”…한미일, 북한 도발 대응 조율 랭크뉴스 2024.06.01
33193 "장미 목욕 꿈꿨는데" 욕조 가득 채운 치앙마이 벌레떼,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6.01
33192 "고철 덩어리 안찍을래"…3년 설득 끝 걸작 탄생[미미상인] 랭크뉴스 2024.06.01
33191 평가제도 개편에 뒤숭숭한 한은… “하반기 인사자 불리” vs “장기연구 위해 불가피” 랭크뉴스 2024.06.01
33190 환율이 8개월 만에 60% 급등…폭망한 ‘김정은노믹스’?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4.06.01
33189 [단독] 최태원측 "판결문 비공개" 요청…김시철 재판장 거부했다 랭크뉴스 2024.06.01
33188 [지방소멸 경고등] 신교대 떠나고 기차 멈추고…활기 잃은 '연천군 제3도심' 신서면 랭크뉴스 2024.06.01
33187 "다시 1989년 톈안먼 시위로 돌아간다면?" 중국인의 답변은 랭크뉴스 2024.06.01
33186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합헌···“TV수신료 안 내도 되나요?”[QnA] 랭크뉴스 2024.06.01
33185 사우디 펀드, 중국 AI 스타트업에 투자 단행…“美 독주 견제 관측” 랭크뉴스 2024.06.01
33184 트렌드포스 "삼성전자 노조 파업 선언, 메모리 생산 영향 없어" 랭크뉴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