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당초 계획 ‘국’ 단위…최종안에선 위상 약화
“NASA 등과 협조하겠다” 당초 취지 무색
상용화 목전 ‘항공모빌리티’ 연구 적절성 논란도
지난 16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 건물에 우주항공청 개청을 알리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있다. 우주항공청은 오는 27일 사천시에서 업무를 시작한다. 연합뉴스


개청을 앞둔 우주항공청의 조직 구조에 대한 논란이 일부 과학기술계에서 일고 있다. 우주항공청을 설립한 중요한 이유였던 ‘국제 협력’을 맡을 부서의 위상이 당초 계획보다 축소됐기 때문이다. 우주항공청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 해외 우주기관과 대등한 위치에서 기술 교류를 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민간기업이 이미 뛰어들어 상용화 목전에 이른 ‘도심항공모빌리티(UAM)’를 미래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우주항공청이 다루는 것이 적절하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 방향’을 발표하면서 우주항공청 조직도 초안을 공개했다. 당시 조직도를 보면 ‘우주항공 국제 협력 부문’이 ‘국’ 단위 위상을 갖는 청장 직속 조직으로 따로 편성돼 있다.

그런데 지난 3월 공개된 최종 조직도에서는 국제 협력 부문이 국장급인 ‘기획조정관’ 아래로 편입됐다. 위상이 축소된 것이다. 기획조정관은 기획·재정, 행정·법무와 함께 국제 협력 업무를 관장할 예정이다. 국제 협력을 ‘과’ 단위 조직에서 맡는 것으로 정리된 셈이다.

이를 두고 우주항공청의 본래 설립 의도와 맞지 않다는 지적이 과학기술계에서 최근 제기되고 있다. 우주항공청은 NASA 같은 해외 우주개발 기관과 협력할 ‘파트너’로 만든 것인데, 정작 국제 협력 기능은 애초 계획보다 약해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우주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해나갈 때 어떤 기관이 나서야 할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이 때문에 정부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우주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사안에 따라 타국 기관과 협력했다.

그러다 보니 국제 협력을 큰 그림을 갖고 추진하기가 쉽지 않다는 시각이 많았다. 이 같은 현실이 우주항공청 설립의 중요한 이유 중 하나였는데 정작 국제 협력 부서의 위상이 당초 계획보다 축소된 것이다.

과학기술계 안팎에서는 우주항공청 내에 국제 협력 부문을 국 단위 위상으로 설치하는 일을 행정안전부가 부담스러워했다는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정부 내 새 조직을 만드는 일에는 행안부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황호원 한국항공대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은 “아르테미스 계획에서 보는 것처럼 우주개발에서는 국제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외국과의 조약 등을 다뤄야 할 국제 협력 부문을 축소하는 것은 큰 오류”라고 지적했다.

황 원장은 “국제 협력을 잘하려면 전담 부서뿐만 아니라 관련 전문가도 키워야 하는데 그런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우주항공청에서 UAM을 주요 연구 소재 가운데 하나로 제시한 것을 두고도 우려의 시선이 나온다. UAM은 이미 국내 기업에서 주요 사업으로 삼을 만큼 상용화 목전에 이르렀는데, 미래 기술을 발굴해야 할 우주항공청이 꼭 맡아서 연구해야 하느냐는 목소리다.

우주항공청의 모델인 NASA에서도 ‘에어 택시’ 같은 UAM 연구를 하지만 방점은 첨단 기술 개발에 있다. 일례로 최근 NASA는 고성능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UAM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노력에 나서고 있다.

복수의 우주과학 분야 관계자들은 “우주항공청은 현재까지 어떤 목표를 지향할 기관인지를 명확히 천명한 적이 없다”며 “이 때문에 UAM을 포함한 우주항공청 내 연구 과제가 향후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우주항공청이 UAM 연구를 한다면 민간 기업에서는 다루지 않는 선도적인 연구를 해야 하지만, 개청 일주일을 앞둔 현재까지도 그 여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황 원장은 “UAM은 새로운 기술 분야가 아니다”라며 “우주항공청의 무게중심이 ‘우주’에 있는 상황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844 [특징주] ‘인공치아 소재 기업’ 하스, 코스닥 입성 첫날 70% 강세 랭크뉴스 2024.07.03
19843 “우천시가 어디냐고 묻더라”…어린이집 교사의 하소연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7.03
19842 함께 재산 일군 배우자도 상속세 내야하나? [상속세]⑤ 랭크뉴스 2024.07.03
19841 [사이언스샷] 동료 다리 절단한 개미, 감염 차단해 목숨 살려 랭크뉴스 2024.07.03
19840 국회 토론회서 "북 전쟁관 수용" 시민단체 이사장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4.07.03
19839 사업 팔고, 인원 줄이고… 글로벌 통신장비 업계, 불황 속 숨고르기 랭크뉴스 2024.07.03
19838 "'어, 어' 음성만 담겼다"…시청역 참사 가해차 블랙박스 보니 랭크뉴스 2024.07.03
19837 안철수 “검사탄핵안, 이재명 최후의 발악” 랭크뉴스 2024.07.03
19836 장맛비 그치고 낮엔 더워…남부엔 ‘폭염’ 올 가능성도 랭크뉴스 2024.07.03
19835 폭우 내리는 장마 시작…여름철 ‘먹캉스’에 필요한 주방 가전은? 랭크뉴스 2024.07.03
19834 인도 종교행사 ‘압사 사고’···100명 이상 사망 랭크뉴스 2024.07.03
19833 교통사고 단골 멘트 된 ‘급발진’… 매년 신고자 수십명 랭크뉴스 2024.07.03
19832 배송일 못 지키면 계약 해지‥'알바'까지 썼다 랭크뉴스 2024.07.03
19831 원희룡 “한동훈은 풋과일…윤 대통령과 관계, 보기보다 심각” 랭크뉴스 2024.07.03
19830 늦은 오후까지 장맛비…하루 쉬고 내일 오후 다시 시작 랭크뉴스 2024.07.03
19829 바이든 "TV토론 실패 해외출장 탓…토론 때 거의 잠들 뻔했다" 랭크뉴스 2024.07.03
19828 "손주 돌보는 조부모도 '유급 육아휴직' 쓴다"…파격 정책 꺼낸 '이 나라' 어디? 랭크뉴스 2024.07.03
19827 “北풍선, 테러 공격 감행할 경우엔 韓 패닉” 美보고서 랭크뉴스 2024.07.03
19826 "금리 인하땐 제조업 AI투자 활발해져…반도체, 전력설비 등 주목" 랭크뉴스 2024.07.03
19825 믿었던 대표, 회사 흡수합병 소멸시키고 특별보너스 받았다... 소액주주 불만 폭주 랭크뉴스 202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