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26, 12·12 산증인…광주진압군 투입 관련 전작권 일시이양 승인
'한반도 안보·美국익 명분' 신군부 인정 불가피론 회고록에 적시
"신군부, 무력진압 안 알려…진압 알고는 한국군에 즉각 항의" 주장


위컴 전 주한미군사령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워싱턴=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조준형 특파원 = 전두환 전 대통령이 이끈 신군부에 의한 1979년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이었던 존 위컴 주니어 전 미 육군참모총장이 지난 11일(현지시간) 별세했다. 향년 95세.

18일 미국의 부고 전문 사이트 레거시닷컴에 따르면 위컴 전 총장은 지난 11일 애리조나주 오로밸리에서 사망했다.

1950년 미국 육군사관학교(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한 고인은 1979년부터 1983년까지 한미연합사령관으로 재임하며 10·26과 12·12 사태, 5·18 광주 민주화운동, 신군부의 집권 등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겪은 산증인이다.

위컴 전 사령관은 당시 전시 및 평시 작전통제권을 가진 한미연합사령관(4성 장군)으로서 12·12, 5·18 등 과정에서 한국 민주주의에 오점으로 기록된 신군부의 행동을 사실상 묵인했다는 세간의 평가도 받았다.

특히 한국 육군 20사단의 광주 시위 진압 투입을 위해 작전통제권을 잠시 이양해 달라는 신군부 측 요청을 받고 그것을 수락한 사실이 그런 평가에 힘을 실었다.

또 고인은 1999년 발간한 회고록 '위기의 한국'(Korea on the brink)에서 신군부의 권력 장악을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고, 안보와 미국 국익을 위해 신군부와 협력해야 한다는 인식을 피력한 바 있다.

회고록에 따르면 고인은 1980년 5월19일 신군부의 계엄령과 야당 인사 체포 등 한국 상황에 대한 개인적 평가를 묻는 해럴드 브라운 당시 미 국방장관의 질의에 "우리는 전두환과 그의 동료들에 의한 지배(control)의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며 "그 그룹(신군부)의 궁극적 목적은 전면적 권력 장악이 분명하며, 유일하게 남은 이슈는 권력 장악의 속도와 형태"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전두환과 그의 조직을 물러나게 할 입장에 있지 않기 때문에 전두환 지배의 현실을 받아들이고,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우리는 우리의 지렛대에 대한 한계를 인식해야 하며, 따라서 한국에서 미국의 근본적 안보 이익을 위험에 빠트릴 수 있는 행동에 저항해야 한다"며 "우리는 지역의 평화와 안보 유지가 미국의 이익임을 물론 알고 있으며, 그래서 우리는 점점 질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북한 위협에 직면해 한미 연합 무력을 계속 증진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전쟁은 억지 되어야 한다"며 "한국의 경제적 어려움 심화와 국방비 지출 삭감에 힘을 실을 수 있는 경제 부문에서의 징벌적 행동은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며 대한국 경제 제재에 반대했다.

다만 고인은 2007년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한국 영화 '화려한 휴가' 개봉을 앞두고 배급사인 CJ엔터테인먼트에 보낸 이메일에서 당시 신군부가 공수부대의 무력 진압 투입 사실을 사전에 알리지 않았으며, 군의 시민 무력 진압 사실을 파악하고는 한국군 고위 관계자들에게 즉각 항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고인은 또 신군부의 광주 시위 강제 진압에 대해 "불행한 역사적 상처를 남겼으나 대중의 (역사) 발전에 대한 열망을 군대가 무력으로 과잉 진압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사실을 한국의 군과 정치 지도자들에게 영원히 각인시켰다"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고인은 한국 근무에 이어 1983년 로널드 레이건 당시 미국 대통령에 의해 육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됐으며, 1987년 전역했다.

1979년 11월 전방부대 방문한 위컴 당시 한미연합사령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410 22대 국회 첫 고위 당정대…물가·전세사기·軍 사고 등 논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9 ‘분만 1위’ 성남 산부인과 폐원…저출산에 분만병원 3곳 중 1곳 사라졌다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8 합참 “북한, ‘오물 풍선’ 600개 부양”…1차 때의 2배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7 [속보] 北 오물풍선 600개 대량 살포…대통령실 "NSC회의 소집"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6 "여학생 조기 입학으로 저출생 완화"…정부기관이 제시한 대책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5 [속보] 대통령실, '北 오물풍선 살포'에 NSC 상임위 확대회의 소집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4 대통령실, '북 오물풍선 살포'에 NSC 상임위 확대회의 소집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3 한국에선 인기 없는 ‘이 음료’...미국서 난리났다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2 베트남 하노이 호텔서 한국 여성 사망…동숙 한국 남성 체포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1 北, 오물풍선 600개 또 살포…정부, 대북 확성기 카드 꺼내나 new 랭크뉴스 2024.06.02
42400 73세 현역 ‘렌콘맨’…일본 어린이식당 주인이 남긴 말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9 고속도로 사고로 4명 숨지게 한 버스 기사 ‘집행유예’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8 휴대전화 문자 확인하다 4명 사망 교통사고 낸 버스 기사 집유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7 대통령실, 北오물풍선 살포에 NSC 상임위 확대회의 소집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6 조국 “최태원·노소영 재산분할만 관심…정경유착 범죄수익 주시를”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5 대통령실, 北 오물 풍선 추가 살포에 NSC 상임위 확대회의 소집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4 서울·경기에도 ‘오물 풍선’… 북한, 600개 또 살포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3 2년 연속 수십조 원대 '세수펑크'?‥작년만큼 걷으면 30조대 '결손'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2 역대급 이익 낸 일본 대기업, 역대급 도산한 일본 중소기업 new 랭크뉴스 2024.06.02
42391 [속보] 합참 “북한, ‘오물 풍선’ 600개 부양”…1차 때의 2배 new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