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직한 전공의엔 '부득이한 사유' 소명 요구
수련기간 일부 인정할 가능성 시사해 주목
[서울경제]

의료 현장으로 복귀하는 전공의들이 소폭이나마 늘어나고, 의대 교수들을 도와 세부 진료과목을 진료하는 전임의 계약률은 ‘빅5’ 대형병원에서 70%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전공의들에게 조속한 복귀를 계속해서 촉구했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1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세종=연합뉴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17일 브리핑에서 “비록 소수지만, 현장을 떠나지 않은 전공의들과 현장으로 복귀하고 있는 전공의들도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 실장은 100개 수련병원의 보고에 따르면 16일에 현장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 수가 지난주보다 약 20명 늘었다고 전했다. 또한 100개 수련병원 전임의 계약률은 16일 현재 67.5%로 전주대비 0.6%포인트 늘었다고 그는 덧붙였다. ‘빅5’ 대형병원으로 범위를 좁히면 전임의 계약률은 70.5%로 의정 갈등이 시작된 이래 처음 70%대를 찍었다. 계약대상자 1212명 중 850명이 계약한 셈이다.

그는 “전공의 여러분들은 용기를 내어 수련병원으로 돌아와 주시기를 바란다”며 “수련과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 텐데, 우수한 수련제도를 만드는 데 함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행정처분 방침에 관해서는 “다음 주면 전공의들이 이탈한 지 3개월이 된다”며 “현재 근무지 이탈에 따른 의료법 위반에 대해 여러 행정 처분을 중단한 상태인데, 이런 불이익을 최소화하고 제때 수련받기 위해서라도 조기에 복귀하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또한 “부득이한 사유로 휴가, 휴직한 경우에는 그 사유를 수련병원에 제출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 달라”고 덧붙였다.

16일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의료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 실장이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들에게 ‘부득이한 사유’를 소명하라고 촉구한 점은 이탈 기간 일부를 수련기간으로 인정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돼 주목을 끈다. 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과 시행규칙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에 한 달 이상 공백이 발생하면 추가 수련을 받아야 한다. 추가로 수련해야 하는 기간이 3개월을 초과할 경우 전문의 자격 취득도 1년 늦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전공의가 지난 2월 20일을 전후에 현장을 이탈한 만큼 이달 20일을 전후해 복귀하지 않으면 내년 초 전문의 시험을 앞둔 레지던트 3·4년 차는 2026년 초가 돼야 전문의 시험을 볼 수 있다.

전 실장은 “집단행동으로 인한 근무지 이탈은 부득이한 사유로 보지는 않는다”며 “다만 그 기간에도 휴가나 병가 등으로 결재받아서 이용할 수 있지 않으냐. (이에 대해) 소명하게 되면 그 기간만큼 인정받아 추가 수련 기간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탈 기간이 3개월이 넘은 전공의도 상황에 따라 구제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3개월 중에 부득이하게 사유가 발생한 부분을 소명하게 되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089 방시혁-민희진 집안싸움에도…뉴진스, 빌보드 ‘21 언더 21’ 꼽혀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8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에 대한 7가지 질문[비트코인 A to Z]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7 전 육군훈련소장 “훈련병 사망, 지휘관 성별 아닌 규정위반·안일함 탓”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6 '여신의 배신'…호날두, 잔디밭에 무릎 꿇고 엎드려 오열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5 ‘1.3조원대 재산분할’ 최태원, 항소심대로 확정시 하루 지연 이자만 1.9억원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4 미끄럼틀에 가위 꽂은 용의자 잡고보니 16세…왜 그랬나 물어보니 ‘황당’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3 간식·면세품 판매 조기 마감… 난기류가 바꾼 기내 서비스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2 女 26명 살해하고 돼지먹이로 준 희대의 살인마, 복역 중 사망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1 "김호중, 3년 이상 감옥서 보낼 수도…" 법조계 의견 나왔다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80 “화성시 놀이터 테러…미끄럼틀에 뾰족한 가위 꽂혀”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9 작아서 더 강하다…로테르담의 ‘꺾이지 않은 의지’를 닮은 차 ‘미니’[정우성의 일상과 호사]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8 전 육군훈련소장 “훈련병 사망, 전적으로 육군 잘못”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7 1일 전국 대체로 흐리고 중부·경상권에는 비 소식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6 국민의힘, 야권 '채상병 특검법' 장외집회에 "무도한 탄핵 공세"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5 베네치아 입장료, 관광객 더 늘었다…日후지산 가림막도 부작용 [세계 한잔]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4 최태원, 이혼 소송 판결문 최초 유포자 형사 고발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3 ‘플라잉카’ 상용화 코 앞… UAM ‘버티포트’ 속속 건설 착수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2 [수소가 미래다]이랬다가 저랬다가…갈 길 먼 수소 생태계 탄력 받으려면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1 "너 만날 때 딴 여자도 만남"…피소女, 차두리 '양다리 카톡' 폭로 new 랭크뉴스 2024.06.01
42070 ‘먹다 남은 치킨’ 남의 집 앞에 버리고 튄 동네 주민…도대체 왜? new 랭크뉴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