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임의 계약률 70.4%, 2월말의 갑절 이상…병원 떠난 전임의 복귀 움직임
소집해제 공보의·전역 군의관 계약 영향도…전공의 복귀 마중물 될지 '주목'
복지부 "전반적인 병원상황 회복세…전임의 계약·진료지원인력 투입 등 작용"


의사들 의견 담은 입간판 설치한 국립암센터 전임의 비대위
(고양=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의정 갈등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고 있는 3일 오전 한덕수 국무총리가 의사 집단행동 관련 현장 점검을 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 국립암센터를 방문하자 이 병원 전문의 비상대책위원들이 의사들의 의견이 담긴 입간판을 설치해 놓고 총리와의 만남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4.5.3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전공의(인턴·레지던트) 공백 사태가 석 달 가까이 이어지는 가운데, 교수를 도우며 세부 진료과목을 진료하는 전임의 계약률이 '빅5' 병원에서 70%를 넘어섰다.

한때 30%대까지 떨어졌던 것이 갑절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법원의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 각하 결정으로 정부의 의료개혁에 한층 힘이 붙은 상황에서 이탈 전공의 복귀에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보건복지부가 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서울성모·삼성서울병원 등 '빅5' 병원을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 계약대상 전임의 중 계약한 비율(전임의 계약률)은 지난 13일을 70.1%를 기록하며 이번 의정 갈등 상황에서 처음으로 70%대로 올라왔다.

계약대상자 1천212명 중 850명이 계약한 것으로, 계약률은 14일에 70.4%, 16일 70.5%로 조금씩 올라가고 있다.

지난 2월 말 시작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과 의료현장 이탈 상황에 전임의들이 동참하며 빅5 병원 전임의 계약률은 지난 2월 29일 33.9%에 그쳤지만, 이후 조금씩 높아져 2배 이상이 됐다.

100개 주요 수련병원의 계약률은 지난 16일 기준 67.5%로 빅5보다는 조금 낮지만, 70%에 가까워지고 있다.

검사 기다리는 환자들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의정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7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2024.5.7 [email protected]


'전임의'는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뒤 병원에서 연구하면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로, 흔히 펠로나 임상강사로 불린다. 주로 1년 단위로 병원과 계약을 맺고, 병원들은 정원을 정해 전임의 수를 관리한다.

계약률이 높아지는 것은 공보의가 소집해제되고 군의관이 전역하면서 전임의 계약을 맺는 사례가 늘어난 데다, 의대 증원에 항의하며 병원을 떠났던 전임의들의 복귀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임의들은 의대 교수가 되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부가 지역 거점 국립대의 의대 교수를 1천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것도 복귀 동력의 하나로 꼽힌다.

전임의 계약률은 법원이 전날 의료계가 제기한 의대 증원·배분 효력 집행정지 신청을 기각한 것을 계기로 더 높아질 수 있다.

전임의의 계약률 상승은 특히 법원의 결정과 맞물려 이탈 전공의의 복귀 흐름을 이끌며 의료 정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이미 최근 들어 전공의 일부가 복귀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100개 수련병원의 보고를 보면 16일 현장에 근무 중인 전공의는 지난 9일 대비 20명 정도 늘었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사회정책국장은 "전임의 계약률이 상승한다는 것은 복귀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복귀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정부가 전공의들의 빠른 복귀를 돕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병왕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반적인 병원 상황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전임의가 더 들어왔고(계약했고), 진료지원(PA)인력과 관련한 시범사업 확대로 전공의 공백을 메운 부분 등도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16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환자 및 내원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4.5.16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60 "응급실 지키기도 힘겨워요"‥공보의 빠진 지역 의료 '빨간불'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9 Z세대 72% "임원 욕심 있어…주 6일 근무도 괜찮아”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8 6월9일 두산 대 기아 경기, 배현진의 빗나간 시구 후기[위근우의 리플레이]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7 까딱하면 발 다쳐요… 전국은 지금 '맨발의 전쟁'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6 [영상/단독] “피해자 16명 아니에요”…‘롤스로이스’ 마약처방 의사 피해자 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5 우리는 왜 폭군에게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집단적 자뻑' 때문이다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4 '결혼 왜 안 하니' 잔소리에 '욱'…흉기로 가족들 위협한 30대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3 "벌어봤자 빚 못 갚아"…늘어나는 벼랑 끝 사장님들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2 "벌 대신 파리가 키워"…한 그릇 13만원 '애망빙' 왜 비쌀까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1 "중년은 끔찍, 1000살처럼 보이긴 싫어"…쉰살 앞둔 '잇걸'의 멋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50 몸과 마음의 올바른 균형이야말로 진정한 럭셔리 ‘요가’[정우성의 일상과 호사]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9 "자원·인프라 협력 확대"‥'김건희 여사' 논란 지속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8 'I턴, U턴, J턴'…저마다 이유로 도시 떠나는 일본 사람들 [같은 일본, 다른 일본]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7 "이거 드세요" 순찰차 옆에 감사 편지·과자 놓고 간 초등생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6 [지방소멸 경고등] 사람 떠나고 빈집만 덩그러니…이웃을 잃었다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5 한동훈 말고 '뉴페이스' 없나...'어대한' 굳어지자 커지는 견제론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4 학생인권이 교실을 무너뜨릴까?[뉴스레터 점선면]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3 전차군단 위용 되찾은 독일, 개막전서 스코틀랜드 5-1 완파[유로2024]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2 尹 "韓-우즈벡, 협력 잠재력 더 키우고 미래로 갈 것" new 랭크뉴스 2024.06.15
43641 "폐암 정기검진 하면 조기진단율 2배 높아지고 사망률은 감소" new 랭크뉴스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