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대 교수, 전공의는 집행정지 신청 ‘자격 없음’
의대생은 자격되지만 공공복리 반해
“의대 증원 정책 절차적 요건 법원이 인정한 것”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2025년 수가협상에 대한 대한의사협회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뉴스1


의료계가 “정부의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 2000명 증원 처분의 효력을 정지해 달라”고 법원에 낸 신청이 16일 기각됐다. 법원이 의료계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다만 증원 백지화를 주장해왔던 의료계는 더욱 거세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돼, 정부가 의료계와의 갈등을 어떻게 봉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16일 서울행정법원 행정7부(재판장 구회근)는 의대 교수를 포함해 18명이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낸 내년도 의대 증원 집행 정지 신청을 기각했다. 재판부는 의대 교수와 전공의에 대해서는 신청을 각하하고, 의대 재학생은 원고 적격, 즉 이번 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봤지만 공공복리를 이유로 기각한다고 설명했다.

각하란 소송 요건을 갖추지 못한 사건에 대해 법원이 심리하지 않고 끝내는 것이다. 재판부가 의사들은 의대 증원 정책의 직접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했다는 뜻이다. 권용진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는 “이번 판결은 정부가 절차적 요건을 갖춘 것을 법원이 인정한 것”이라며 “이번 판결의 핵심은 법원이 의사들을 전문가가 아닌 이익 단체로 규정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해석했다.

미국에서는 정부가 수가를 협상하는 이익단체인 의사단체와 정책을 다루는 전문가단체인 의사단체를 따로 두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대한의사협회가 이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갖다 보니 갈등이 계속 분출되고 있다. 권 교수는 “법조계의 경우 변호사협회가 변호사만을 대표하지만, 의료계는 봉직의, 의대 교수, 개원의가 모두 의협에 소속돼 있다”며 “이런 부조리기 지금 현재의 혼란을 일으킨 한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의사들이 전문가단체 소속이라면 의대 증원 같은 의료 정책에 대해 법원에 집행 정지 신청을 할 수 있지만, 국내 의협은 이익단체 회원 성격도 있어 자격이 없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전문가 집단에 대한 이해가 법률 체계에서 제대로 뒷받침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보건 의료계에서는 이 문제가 크다는 것이 권 교수 주장이다. 권 교수는 “결국 의대 증원 정책이라는 것은 의사단체와 협상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날 법원 판결에 따라 정부는 이달 말 각 대학의 모집 요강 공고를 거쳐, 7월 초 재외국민 전형, 9월 초 수시 전형 원서 접수가 시작한다. 대부분 대학은 수시로 의대 정원의 60~70%를 뽑는다. 정부는 작년 10월 의대 증원 방침을 세우고 11월 각 대학별 수요 조사를 했다. 이어 지난 2월 보건복지부 산하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이 의대 2000명 증원을 심의 의결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2월 19~20일에 걸쳐 사직서를 내고 집단 이탈하자, 정부는 지난 4월 말 각 대학 요청에 따라 의대 증원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대학들은 지난 1일까지 2025학년도 의대 증원분(최대 1509명)을 반영한 대입 전형 시행 계획을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제출했다.

의료계에서는 이번 판결로 의정 갈등이 오히려 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판결에 따라 병원으로 돌아갈 전공의들도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교수들은 전공의와 의대생에 불이익이 갈 경우 강경 대응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이다. 경영난을 겪고 있는 병원들의 어려움도 가중될 수밖에 없다. 권 교수는 “정부는 의료 현장의 혼란을 어떻게 수습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917 여자만 수영복 입고 뛰라고?... 美 육상팀 경기복 논란 랭크뉴스 2024.04.15
31916 [속보] 정부, 유류세 인하 조치 2개월 연장 랭크뉴스 2024.04.15
31915 원/달러 환율, 중동 긴장 고조에 장 초반 1,380원대로 올라 랭크뉴스 2024.04.15
31914 유류세 인하 6월까지 추가 연장…휘발유 리터당 205원 인하 유지 랭크뉴스 2024.04.15
31913 코스피, 중동 확전 우려에 0.9% 내린 2650선 랭크뉴스 2024.04.15
31912 與 6선 조경태 “채상병 의혹 해소, 여당이 먼저 나서야” 랭크뉴스 2024.04.15
31911 전철 1호선 의왕~당정역 구간서 사망사고…상행선 운행 차질(종합) 랭크뉴스 2024.04.15
31910 尹 지지율 4.7%p 떨어져 32.6%…"지난해 10월 이후 최저"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4.04.15
31909 검사에 우산 던지며 "죽여버리겠다"…법정 난동 50대의 착각 랭크뉴스 2024.04.15
31908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왕역 선로에서 사망사고‥상행선 운행 재개 랭크뉴스 2024.04.15
31907 [속보] 원·달러 환율 1380원 돌파…1년 5개월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4.04.15
31906 의왕역~당정역 선로서 사망사고…1호선 운행 차질 랭크뉴스 2024.04.15
31905 파파이스, 제품 가격 4% 인상…배달은 매장보다 5% 비싸 랭크뉴스 2024.04.15
31904 정부 “의료개혁 의지 변함 없어···의료계 대화 나서달라” 랭크뉴스 2024.04.15
31903 ‘30도 더위’ 식히는 비, 내일 아침까지…낮 기온 17~21도 랭크뉴스 2024.04.15
31902 서울 아파트 분양가 1년 만에 24% 올라… 3.3㎡당 3794만원 랭크뉴스 2024.04.15
31901 동탄·성남·하남도 제쳤다…수도권 집값 상승률 1위는 '이곳' 랭크뉴스 2024.04.15
31900 [특징주] 중동 갈등에 정유株 일제히 급등 랭크뉴스 2024.04.15
31899 유류세 인하·유가연동보조금 2개월 추가 연장…6월 30일까지 랭크뉴스 2024.04.15
31898 하이브·두나무 ‘빅딜’ 이후 2년 반… 누가 더 손해 봤나 랭크뉴스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