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부산 남구의 한 아파트에 여섯 달째 정체 불명의 해외 택배가 배송되고 있습니다. 아무도 주문하지 않은 택배입니다.

발송처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입니다. 피해자는 택배 폭탄에 시달리다 결국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 알리에서 물건 사고 나서 '택배 폭탄' 시달려 …반품도 안 돼

부산 남구에 사는 30대 남성. 지난해 12월 그의 집에 정체를 알 수 없는 해외 택배가 배송됐습니다. 주문한 뒤 잊었던 택배인가 해서 뜯어봤더니, 여성 원피스가 들어있었습니다.

문제는 이게 다가 아니었단 겁니다. 이때부터 비슷한 택배가 계속 배송되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 빈 택배 봉투거나, 자투리 천 조각 같은 쓰레기가 든 것도 있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6개월째 택배 폭탄이 이어졌는데, 지금까지 받은 게 50개가 넘습니다. 모두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보낸 것들이었습니다.

피해자가 받은 해외 택배들

집 앞에 자꾸 쌓이는 택배를 볼 때마다 피해자는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시 유해물질이 들어있는 건 아닌지, 범죄에 연루되는 건 아닌지 겁이 난다고 했습니다.

특히 피해자의 이름과 연락처를 적은 택배가 집 근처 초등학교, 관공서 등으로 배송되기도 했습니다. 택배사에서 걸려오는 배송지 확인 전화를 받을 때마다 짜증이 치밀어 오른다고 했습니다.

피해자는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고객센터에 전화해 반품과 대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본사가 아니어서 결정 권한이 없다면서 죄송하다고 할 뿐이었습니다. 피해자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탈퇴했습니다.

■ 인터넷에도 피해 사례 줄 이어…'브러싱 스캠' 의혹도

택배 폭탄이 시작된 건 피해자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물건을 한두 차례 구매하고 난 뒤의 일이었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피해자처럼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한 뒤 주문하지 않은 택배가 잇따라 배송됐다는 글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른바 '브러싱 스캠'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브러싱 스캠은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가 물건을 구매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에게 택배를 발송해 판매 실적을 부풀리는 걸 말합니다.

내막은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고객센터도 모르는 일이라니, 피해자들이 확인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피해자는 결국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고 부산 남부경찰서는 알리익스프레스 중국 본사를 상대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부산 남부경찰서 외경

■ 시민단체도 경찰 고발…공정위 조사 착수

알리, 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이 저가 공세에 나서면서 국내 이용자 수는 천7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와 함께 소비자 피해 상담도 늘어나 2022년 220여 건에서 지난해 670여 건으로 세 배 늘어났는데요. 예견된 상황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회의는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를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습니다.

알리가 중국의 상품 판매처 18만 8천여 곳에 이용자 계좌와 전화번호, 주소 등 개인정보를 제공하면서 판매자들이 어떤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있는지 전혀 공개하지 않아 개인정보 침해 위험이 크다는 게 고발 사유입니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회의 경찰 고발 기자회견 모습

사건을 맡은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개인정보위원회와 협의해 수사할 예정입니다.

또, 공정거래위원회도 알리익스프레스의 개인정보 수집, 관리 실태 등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공정위는 문제가 확인되면 시정 등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638 서울 아파트값 회복세에도 하락하는 ‘영끌 성지’ 노·도·강 랭크뉴스 2024.05.26
30637 137명 숨진 칠레 산불…소방대원과 전 산림공단 직원이 범인이었다 랭크뉴스 2024.05.26
30636 김진표 의장 “국민연금 개혁안, 21대 국회서 모수 개혁 후 22대 국회서 구조개혁” 랭크뉴스 2024.05.26
30635 [속보] 尹 "의대증원 대학과 적극 협력해 대입 준비에 만전" 랭크뉴스 2024.05.26
30634 올해 1호 태풍 ‘에위니아’ 발생…일본 남쪽 해상으로 향할 듯 랭크뉴스 2024.05.26
30633 푸바오 ‘목줄’ 의혹 충격…‘비공개 접객’ 의심도[포착] 랭크뉴스 2024.05.26
30632 경복궁 ‘낙서 테러’ 배후 ‘이 팀장’ 구속…“증거인멸·도망 염려” 랭크뉴스 2024.05.26
30631 "그런 단어 안 써" "아주 생생해" 재반박‥"열받아 무료 변론"도 랭크뉴스 2024.05.26
30630 6월1일부터 다 오른다…초콜릿·음료·김·간장·건전지·면도기 랭크뉴스 2024.05.26
30629 김진표 의장, 연금개혁안 21대 국회 여야 합의 처리 촉구 랭크뉴스 2024.05.26
30628 김진표 “21대서 국민연금 모수개혁…합의시 원포인트 본회의 가능” 랭크뉴스 2024.05.26
30627 19만명 동시 투약 50대 마약 밀수범…국제공조 수사로 ‘덜미’ 랭크뉴스 2024.05.26
30626 성일종 "대통령 격노는 죄 아냐‥국군통수권자 노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4.05.26
30625 걸그룹 마시던 생수병, 장기자랑 상품으로…대학 축제 성상품화 논란 랭크뉴스 2024.05.26
30624 27일 닻 올리는 우주항공청... 우주 넘긴 과기부도 '임무지향형' 조직으로 개편 랭크뉴스 2024.05.26
30623 부동산 침체 끝?‥"강남·서초·용산 아파트 시세 전고점 회복" 랭크뉴스 2024.05.26
30622 북 “자위력 행사 정식 경고”…지·해·공 동향 비판하며 ‘위협’ 랭크뉴스 2024.05.26
30621 '탈모' 푸바오, 中서 충격 근황…"비공개 접객에 목줄 착용 의혹" 랭크뉴스 2024.05.26
30620 저커버그 vs 머스크…이번엔 AI 챗봇업체 협업 놓고 경쟁 랭크뉴스 2024.05.26
30619 제멋대로 부동산PF 수수료, 금감원 제도 개선 나선다 랭크뉴스 2024.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