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의대증원 집행정지 여부' 법원 결정 앞두고 여론조사 결과 공개
연령 높을수록, 보수적일수록 '증원 찬성' 비율 높아
79% "의대교수 집단행동 공감 안해"…56% "법과 원칙 따라 전공의 면허정지해야"


의대증원 이번주 분수령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의대 증원·배분 결정의 효력정지 여부에 관한 법원 판단을 앞두고 국민 70% 이상이 의대 정원 2천명 증원에 찬성한다는 내용의 설문 결과를 정부가 공개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4∼15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대 증원 방안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신뢰수준 95% 최대 허용 표집오차 ±3.1%p)를 16일 공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정원 2천명 확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72.4%(매우 필요하다 26.1% + 필요한 편이다 46.3%)에 달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78.2%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 50대(72.1%), 40대(70.1%), 20대(68.3%), 30대(67.8%)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를 소득 수준으로 나눴을 때 400∼600만원(73.1%), 600만원 이상(78.2%)에서 상대적으로 찬성 비율이 높았다.

이념성향으로는 보수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82.1%로 가장 높았고, 중도(70.9%), 진보(68.3%)에서도 70% 가까이 증원 필요성에 찬성했다.

의대 교수 집단행동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8.7%를 차지했다.

교수 집단행동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모든 연령대에서 70% 이상을 웃돌았는데, 60대 이상에서는 84.8%로 특히 높았다.

정부의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의료계가 참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1.8%나 됐다.

의료계의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7.8%, '동의한다'는 응답이 36.7%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집단으로 사직한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면허정지 처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면허정지 처분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55.7%에 달했다.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에 동의한 응답률은 20대(68.3%)에서 가장 높았다. 30대(55.7%)와 40대(54.2%). 60대(55.4%)에서는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고, 50대(47.2%)는 절반을 밑돌았다.

'면허정지 처분을 중지하고 대화를 통해 설득해 나가야 한다'는 응답은 38.9%였다.

정부의 2025학년도 대학입시 의대 정원 50∼100% 자율 모집 조치에 대해서는 '잘한 결정이다'라는 평가가 51.4%로 가까스로 절반을 넘었다.

응답자들은 보건의료 분야 위기의 심각성을 묻자 87.3%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다만 비상진료 상황과 관련한 정부 대응에 대해서는 65.3%가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법원은 이날 오후 의대 증원·배분 결정의 효력 정지 여부를 결정한다.

서울고법 행정7부(구회근 배상원 최다은 부장판사)는 의대생과 교수, 전공의 등이 의대 정원 2천명 증원·배분 결정의 효력을 멈춰달라며 정부를 상대로 낸 집행정지 신청의 항고심에 대해 이날 오후 판단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재판부가 '각하'(소송 요건 되지 않음)나 '기각'(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음) 결정을 하면 '27년 만의 의대 증원' 최종 확정이 초읽기에 들어간다.

그러나 '인용' 결정을 한다면 정부의 내년도 의대 증원 계획은 제동이 걸리게 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774 정부 ‘통일된 대안’ 거듭 요청…의료계 갈등 봉합 랭크뉴스 2024.04.15
31773 조국 “‘데드덕’ 운명 윤 대통령···관심은 자신과 배우자 신변안전뿐” 랭크뉴스 2024.04.15
31772 40대女, 왜 차 세운뒤 2차로 서 있었나…새벽 고속도로 참변 랭크뉴스 2024.04.15
31771 "연두색 번호판 달기 싫다"…수입 법인차 구매 비중 '뚝' 랭크뉴스 2024.04.15
31770 국민의힘에서도 '채상병 특검' 찬성 잇따라‥"의혹 해소 노력 먼저해야" 랭크뉴스 2024.04.15
31769 연두색 번호판 부끄러웠나...수입 법인차 비중 첫 30% 아래로 랭크뉴스 2024.04.15
31768 '이젠 쿠팡 환승할 시간?'…네이버도 무료배송 뛰어들었다 랭크뉴스 2024.04.15
31767 ‘중동 쇼크’에 환율 장초반 1380원 돌파… “1400원까지 열어둬야” 랭크뉴스 2024.04.15
31766 버거킹 와퍼 40년 만에 단종?...가격 그대로 '뉴 와퍼' 나온다 랭크뉴스 2024.04.15
31765 지하철 1호선 의왕역서 사망 사고…한때 열차 지연 랭크뉴스 2024.04.15
31764 "무료로 찍어준대서 갔는데"···'가족사진 이벤트' 소비자 피해 주의 랭크뉴스 2024.04.15
31763 굽네치킨 2년 만에 가격 인상…고추바사삭 18,000원→19,900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4.15
31762 "우리 아이 의대 보내야죠"…'교육' 위한 서울 전입 지난해 사상 최고치 랭크뉴스 2024.04.15
31761 한동훈 때린 홍준표에…김경율 "개통령 강형욱이 정확히 알 것" 랭크뉴스 2024.04.15
31760 50대가 털어놓은 퇴사 그 후…“절벽에서 떨어지는 심정” [창+] 랭크뉴스 2024.04.15
31759 중동 리스크에 정유주 '불기둥'…한국석유 21%↑ [특징주] 랭크뉴스 2024.04.15
31758 김경율 “홍준표 말에 굳이···강형욱씨가 답하는 게 맞아” 랭크뉴스 2024.04.15
31757 김경율, 홍준표 맹비난 "공직 적합한 분 아냐‥'개통령' 강형욱이 답변해야" 랭크뉴스 2024.04.15
31756 이재명 "대통령실 인사, 하마평 보면 총선 민의 수용 생각 있나 우려" 랭크뉴스 2024.04.15
31755 ‘일촉즉발’ 중동에 유가·환율 급등… 금리 인하 더 멀어지나 랭크뉴스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