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후변화에 中 메콩강 상류 댐 건설까지…물 위기 심각한 라오스
관개시설 부족한 라오스, 고위 공무원이 한국에 SOS 요청
韓, 비엔티안 관개기술교육센터 준공 후 운영권 라오스에 이양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와 라오스 농림부 관계자가 4월 25일 라오스 비엔티안 관개기술교육센터의 운영관리권을 이양하는 서류에 서명을 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윤희훈 기자

“한국이 지원한 관개기술교육센터(ITTC) 프로젝트는 라오스에 선진 관개(농지에 물을 인공적으로 공급하는 것) 기술을 제공하고,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역량 강화 프로젝트다. 라오스의 농업 및 임업 부문에 기술과 보조금을 지원한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께 라오스 농림부를 대표해 감사드린다.”

통팟 봉마니(Thongphath Vongmany) 라오스 농림부 차관은 지난 4월 25일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시 싸이타니군에 조성된 ‘ITTC 준공식’에서 “한국의 선진 지식과 신식 기술을 전수받는 것이 라오스의 농업 기술을 현대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와 라오스 농림부는 이날 ITTC 준공식을 열고, 운영관리권을 라오스 정부에 넘기는 이양식을 진행했다. 앞으로 ITTC는 라오스 기술직 공무원들의 농업용수 관리 기술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관개 기술 교육 시설과 토질·수질 시험 시설로 활용된다.

ITTC 사업은 지난 2018년 봉마니 차관이 한국을 방문해 농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에 직접 요청한 프로젝트다. 이에 한국 정부는 지난 2021년부터 총사업비 62억원을 투입해 ITTC 건립 및 농업 기술 역량 강화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케우돈(왼쪽) 라오스 농업서비스센터ADC 소장과 인근 지역에서 농업을 하는 농민이 한국 정부가 지원한 농기계를 소개하고 있다. /윤희훈 기자

라오스 농경지 관개시설 챙기는 K-농업
메콩강 중류에 위치한 라오스에서는 경제활동인구 10명 중 7명이 농업에 종사한다. 전체 산업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치수’(治水) 역량이 부족해 매년 가뭄과 홍수 피해를 입는다. 이러한 자연 재해는 라오스 정부가 추진하는 농업 중심 경제개발계획 실현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

라오스 농림부에 따르면 라오스 농경지 중 관개 시설을 갖춘 농지는 20%도 안된다. 메콩강과 맞대고 있는 일부 평야 지역에만 농업용수가 공급되는 실정이다. 물만 확보된다면 태국처럼 1년 2~3모작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타까운 대목이다.

나라 살림이 괜찮으면 농경지 관개시설 구축 사업을 대대적으로 할 수 있겠지만, 라오스는 지난 2022년 디폴트 위기에 내몰렸을 정도로 재정 상황이 열악하다. 캄파찬 봉사나(Khamphachanh Vongsana) 라오스 농림부 관개국장은 “건기 메콩강 수위가 낮아지면 농업용수 확보에 어려움이 생긴다”면서 “농업 생산성을 높이려면 관개 시설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국가 재정 여건 상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10여년 전부터 라오스의 관개 시설 확보를 다각적으로 지원해왔다.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진 시엥쿠앙주에 44억원을 투입해 댐과 관개수로 건설을 지원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진 51억원을 투입해 쌍통군에 관개용 댐과 수로를 지어줬다. 비엔티안에도 ITTC 사업과 별도로 81억원을 투입해 수자원 관리 및 농업용수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라오스 현지에서 에서 농식품부 ODA 사업을 관리하는 최동훈 한국농어촌공사 라오스 소장은 “라오스는 관개 시설이 너무 취약해 농업 생산성이 매우 낮다”면서 “라오스 정부가 한국 정부에 관개 시설 지원을 계속 요청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최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라오스의 수자원 관리는 안보 차원의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중국이 메콩강 상류 지역에 댐을 짓기 시작하면서 건기 물 부족 문제가 더욱 심화하는 상황이다.

봉마니 차관은 “인근 국가의 댐 건설로 인한 물부족 문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는 아직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메콩강 유역 국가 간에는 수자원 관리를 위한 협약이 체결돼 있는데, 중국은 빠져있다 보니 댐 건설 등 구체적인 정보를 인근 국가에 공유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023년 9월 7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라오스 양자회담에서 손싸이 시판돈 라오스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337 공포에 떠는 여군에 “예쁜데”…하마스 무장대원이 저지른 만행 랭크뉴스 2024.05.23
29336 “집단 퇴교 위기도, 정부 탓”… 대화 거부한 의대생들 랭크뉴스 2024.05.23
29335 인권위 “채상병 사건 이첩보류 명령은 월권…기록 회수는 수사 방해” 랭크뉴스 2024.05.23
29334 [마켓뷰] 금리기대 후퇴해도 엔비디아 깜짝실적…"응답하라 삼성전자" 랭크뉴스 2024.05.23
29333 속끓는 공직사회…정책 혼선 때마다 대통령실 ‘모르쇠·부처 탓’ 랭크뉴스 2024.05.23
29332 국민의힘 김웅 “그 따위 당론, 따를 수 없다” 랭크뉴스 2024.05.23
29331 ‘원포인트 인사’ 삼성, TSMC 역전·초대형 M&A 노린다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4.05.23
29330 잠수교 보행데크, 오세훈은 안전성보다 디자인이 중요? 랭크뉴스 2024.05.23
29329 농촌 ‘흙먼지’는 옛말…미래농업은 ‘밭’ 대신 ‘공장’ 랭크뉴스 2024.05.23
29328 아줌마·여기요·사장님?…식당 호칭의 40년 역사 랭크뉴스 2024.05.23
29327 “계속 손님 없었으면”…첫 출근날 쫓겨난 알바생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5.23
29326 대방동서 놀던 아이가 왜 노르웨이 있나...엄마는 절규했다[강주안 논설위원이 간다] 랭크뉴스 2024.05.23
29325 盧 추도식에 문재인·이재명·김경수 집결, 황우여는 문 전 대통령 예방 랭크뉴스 2024.05.23
29324 [단독] 서울시 인권위원회, 활동 줄고 법조인 ‘일색’ 랭크뉴스 2024.05.23
29323 비트코인, 6만9000달러대 숨고르기…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여부 ‘촉각’ 랭크뉴스 2024.05.23
29322 '재산 420조' UAE 대통령 방한…한국 투자 보따리 어디에 풀까? 랭크뉴스 2024.05.23
29321 고금리 끝낼 기미 없는 美 연준…의사록서 “예상보다 오래 금리 유지” 랭크뉴스 2024.05.23
29320 머리다쳐 꿰매도 보험금 '0원'…수슬보험금 기준은? 랭크뉴스 2024.05.23
29319 엔비디아 1분기 호실적… 젠슨 황 "블랙웰 본격 생산중" 랭크뉴스 2024.05.23
29318 美 엔비디아 "차세대 산업혁명 시작"…시간외주가 1천달러 돌파(종합2보) 랭크뉴스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