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리딩방 투자 사기를 당한 이후 피해금을 복구해주겠다며 접근한 한 전문가. 독자 제공
서울 강남구 김연실(가명·57)씨는 지난해 1월 온라인상 투자 정보를 제공하는 A 주식연구소가 추천한 종목에 투자했다가 모두 1억 2000만원을 손해를 봤다. 이후 A 연구소 B 팀장이 카카오톡으로 연락해왔다. 그는 “금감원에 신고가 들어가 리딩비와 손실비를 보상해주겠다”며 “특정 코인선물방 사이트에서 코인을 사서 팔면 수익으로 환불해주겠다”고 안내했다. 시험 삼아 10만원을 입금한 뒤 출금 신청을 하니 실제 몇천 원 수익이 들어왔다. 이후 B 팀장은 “투자금을 늘리면 2주 안으로 모든 피해 금액을 환불해주겠다”고 꼬드겼다. 김씨는 차량 담보 대출금 1500만원 등 석 달간 총 5860만원을 입금했다가 모두 날렸다. 일당이 사이트를 폐쇄하고 잠적했기 때문이다.

김씨가 사기 피해정보공유사이트에 피해 사실을 올렸더니, 한 프로그래머가 사기꾼 정보를 알려주겠다며 접근한 뒤 또다시 1100만원을 가로챘다. 독자제공
절박해진 김씨는 사기 피해정보공유 사이트인 ‘더치트’에 피해 사례를 올렸다. 그러자 본인이 프로그래머라는 C씨가 “홍콩 정보기관을 통해 사기꾼을 잡을 수 있게 가족관계증명서 등 개인 정보를 떼주겠다”며 수수료로 총 1100만원을 요구했다. 이마저 또 다른 2차 사기였다. 그는 “조금이라도 리딩방 사기 피해 금액을 찾고 싶어 약해진 마음을 그들이 이용한 것 같다”며 “가족들에게 말도 못하고 하늘이 무너진 것 같다”고 했다.

김씨를 포함한 리딩방 사기 손실 복구(환불) 피해자 28명은 올해 1월 서울 서초경찰서에 고소장을 접수한 상태다. 이들은 모두 각기 다른 리딩방에서 사기를 당한 뒤 해당 코인선물방에서 피해 복구가 가능하다는 2차 사기를 당해 모두 34억원의 피해 봤다고 한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계좌추적 등으로 피의자를 특정 중이며 신속하게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불법 리딩방 사기단들은 피해자들에게 환불을 약속한다고 환불신청서를 받기도 했다. 독자제공

경찰에 따르면 최근 불법 리딩방 사기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피해자에게 접근해 손실을 복구(환불)해주겠다며 추가 투자를 받아 가로채고 잠적하는 등 2차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들은 리딩방 피해보상팀 직원, 프로그래머, 화이트해커, 피해보상 환불업체 등으로 신분을 위장한 뒤 추가 입금을 유도한다고 한다.

본인도 리딩방 피해자라며 손실 복구 방법을 알려준다고 유인하는 경우도 많다. 올해 2월 유명 교수를 사칭한 투자사기로 노후 자금 1억여원을 날린 60대 B씨는 텔레그램으로 본인도 피해자라는 사람에게 메시지를 받았다. “저도 같은 놈한테 당했다. 손실 복구 전문업체를 통해 피해액 2억원 중 80%를 복구했다”는 것이다. B씨는 절반이라도 복구할 생각에 대행업체에 수수료로 500만원을 선입금했지만 사기였다.

피해보상 상담 내역. 독자 제공
현재 온라인에는 피해환불상담, 피해복구 등 리딩 사기 환불 업체 홍보 글이 다수 올라와 있다. 공모주 청약 사기에 8000만원을 잃은 피해자 김모(44)씨는 한 환불 업체와 무료상담을 진행했다. 업체 측은 “메인 아이피를 조회해 보니 서버 2개로 베트남에서 운영 중인 것으로 나온다. 작업 진행 시 80% 이상 성공할 수 있다”며 피해 금액의 25%를 수수료로 요구했다고 했다. 그는 “굉장히 구체적으로 사기 사이트를 분석해줘서 속을 뻔했다”고 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9∼12월 넉 달간 1452건(피해액 1266억원)이었던 투자리딩방 피해 신고 건수는 올해 1~3월 석 달 만에 1783건(1704억원)으로 늘어나며 리딩방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이미 한 번 피해를 받은 사람들은 어떻게든 만회하려고 절박한 상태여서 추가 범죄에 더 취약한 상태”라며 “먼저 피해 사실을 알고 접근해 피해를 복구해주겠다는 것은 사기이므로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293 의대생-교육부도 '강대강'…"휴학 승인해야" vs "동맹휴학 불가" 랭크뉴스 2024.05.23
29292 한국 평균임금 OECD 평균 90% 돌파…일본 제치고 격차 벌려 랭크뉴스 2024.05.23
29291 韓증시, 대만과 시총 격차 400조까지 벌어져... ‘코리아 디스카운트’만 문제일까 랭크뉴스 2024.05.23
29290 '20억 로또청약' 가능할까…래미안 원펜타스 분양가 향배는 랭크뉴스 2024.05.23
29289 채상병 특검법 17석 쟁탈전… '약한 고리' 파고드는 野 랭크뉴스 2024.05.23
29288 김호중길, 승리숲, 박유천 꽃길… '연예인 편승' 지자체 홍보 곳곳 뒤탈 랭크뉴스 2024.05.23
29287 日 대형 포경선 '간게이 마루' 출항…올해 200마리 포획 예정 랭크뉴스 2024.05.23
29286 134마리 중 9마리만 살았다…강아지 사체 뒹구는 '죽음의 보호소' 랭크뉴스 2024.05.23
29285 용산파견 싫다, 책임질 일 더 싫다…관가 빨라진 정권말 복지부동 [흔들리는 공직사회] 랭크뉴스 2024.05.23
29284 검정 바지 입고 출근했다고 해고당한 노동자…법원은 정당하다 판단 왜? 랭크뉴스 2024.05.23
29283 [사설] 직구 사태 이틀 만에 ‘고령 운전 제한’ 또 혼선, 나사 풀렸다 랭크뉴스 2024.05.23
29282 "5만 원에 지인능욕 가능"... '아는 사람' 노린 딥페이크 음란물 활개 랭크뉴스 2024.05.23
29281 전공의 복귀 요원한데…서로 '대화하자'만 반복하는 의정 랭크뉴스 2024.05.23
29280 '김정숙 타지마할' 논란에 친문들만 각개전투...침묵하는 친명들, 왜? 랭크뉴스 2024.05.23
29279 총선 참패 40일 만에 사그라든 與 쇄신...여야 대치 정국에 "일단 뭉치자" 랭크뉴스 2024.05.23
29278 ‘김일성·김정일’에서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초상화 정치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4.05.23
29277 美 연준위원들 "인플레 진전 부족"…금리인하 지연 시사(종합) 랭크뉴스 2024.05.23
29276 에베레스트 등정 신기록 보유 50대 네팔인 셰르파 10일 만에 또· 랭크뉴스 2024.05.23
29275 "꼭 경험해야 할 것"…美 샌프란의 관광명물된 로보택시 랭크뉴스 2024.05.23
29274 대통령실 ‘제2의 직구 논란 막는다’ 첫 당정 정책협의회···효과 있을까 랭크뉴스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