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산층 출신 총리, 코로나 거치며 눈길
고령화 따른 경제 둔화, 권위주의 반발
미중 갈등 속 '균형 잡기' 등 문제 산적
15일 싱가포르 총리로 취임한 로런스 웡 부총리가 지난달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싱가포르 국영투자자 테마섹 파리 사무소 개소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파리=AFP 연합뉴스


싱가포르가 20년 만에 새 행정부 수반을 맞았다. 장기 집권해 온 리셴룽(72) 총리가 로런스 웡(52) 부총리에게 총리직을 넘기면서다. 이로써 그의 부친이자
국부(國父)로 추앙받는 리콴유 초대 총리부터 반세기 넘게 이어져 온 ‘리콴유 가문’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됐다.
미국과 중국 갈등이 날로 격화하는 상황에서 균형 외교를 통해 실리를 찾는 것이 새 총리의 과제가 될 전망이다.

첫 중산층 출신 총리



14일 싱가포르 스트레이트타임스에 따르면 로런스 웡 부총리는 이날 오후 취임 선서를 하고 총리직에 올랐다.
싱가포르가 1965년 말레이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후 네 번째 총리
다. 지난 20년간 싱가포르를 이끌어온 전임 리 총리는 새 내각 선임장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웡 신임 총리는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간대와 하버드대에서 경제학·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 귀국 후 정부 산하 경제 연구기관에서 경력을 쌓았고 능력을 인정받아 이후 재무장관 등 6개 부처 고위직을 지냈다.

웡 총리 취임은 싱가포르 정치권력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리콴유 초대 총리는 1959년 6월부터 1990년 11월까지 31년간 장기 집권했다.
리콴유·리셴룽 부자가 총리 자리에 있던 기간만 51년에 달한다. 사실상 한 가문이 싱가포르 현대사 전체를 통치
했다.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가 지난 3월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과 호주 특별정상회의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양자회담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년간 장기집권한 리 총리는 15일 후임자 로런스 웡 부총리에게 총리직을 넘긴 뒤 퇴임했다. 멜버른=AP 연합뉴스


2대 총리였던 고촉통 총리(1990~2004년 재임) 역시 싱가포르 엘리트 정치 가문 출신이다. 이에 반해 웡 총리는 싱가포르 공립학교 출신으로 아버지는 영업사원, 어머니는 교사였다. 중산층 출신 첫 싱가포르 총리인 셈이다.
당초 리셴룽 총리의 37세 아들이 권좌를 이어받을 것이라는 ‘3대 세습설’도 돌았지만, 차기 총리는 비(非)리콴유 가문 출신으로
정해졌다.

싱가포르는 독립 이후 줄곧 현 여당인 인민행동당(PAP)이 집권하고 있다. 실질적 정부 수반인 총리는 형식적으론 상징적 국가원수인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실제론 당 지도부가 ‘후계 그룹’을 구성한 뒤 한 명을 선발하는 과정을 거친다. 정해진 임기도 없다.

웡 총리는 2018년 PAP의 후계 그룹에 포함될 당시만 해도 우선순위는 아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당시 정부 합동 태스크포스 공동의장을 맡아 능력을 인정받으면서 유력한 차기 총리 후보로 부상
했다. 2022년 후계자로 최종 낙점된 후에는 부총리를 겸직하며 ‘대권 수업’을 받아왔다.

20년 장기집권 뒤 퇴임하는 리셴룽(왼쪽) 싱가포르 총리가 지난달 16일 퇴임 의사를 밝힌 뒤 후임자 로런스 웡 부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웡 신임 총리는 15일 취임식을 했다. 싱가포르=로이터 연합뉴스


내부 결속, 미중 중도 노선 추구 과제



새 총리는 리 총리의 노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싱가포르 경제를 성장시키고, 내부 결속을 다지는 등 외교·내정 양면에서 전임자와 다른 과제를 마주
하게 됐다.

안으로는 둔화된 경제 성장이 발목을 잡고 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약 9만2,000달러(약 1억2,700만 원)에 달하는 싱가포르는 ‘강소국’의 대표주자다. 그러나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와 성장세 둔화, 사회보장 비용 증가 등으로 예전과 같은 호황을 이어가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상의 일당독재, 권위주의 통치 등에 거부감을 느끼며 정치적 변화를 요구하는 여론
도 적지 않다.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중국 갈등 국면에서 균형을 잡는 게 과제
다. 웡 총리를 비롯해 싱가포르 국민의 약 75%는 중국계다. 중국은 싱가포르의 최대 무역파트너이기도 하다. 그러나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친미 국가로 꼽히는 등 외교 측면에서는 미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웡 총리는 취임 전인 8일 영국 이코노미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친중, 친미가 아닌 친싱가포르로 국익을 고수하고 (국제 관계에서) 일관되고 원칙적인 방식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747 美증권거래위,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랭크뉴스 2024.05.24
29746 아라비안 나이트에 등장하는 거대 조류 ‘로크’의 현실판[멸종열전] 랭크뉴스 2024.05.24
29745 'VIP 격노' 들은 추가 목격자, 녹취까지... 짙어지는 대통령실 개입 의혹 랭크뉴스 2024.05.24
29744 美공군, 차세대 스텔스 전략폭격기 B-21 비행 사진 첫 공개 랭크뉴스 2024.05.24
29743 [사설] 민주 당원권 강화, 팬덤에 끌려가는 제1당 위험하다 랭크뉴스 2024.05.24
29742 반도체 산업 26조 투입‥'삼전' 햇빛 볼까? 랭크뉴스 2024.05.24
29741 '음주 뺑소니' 김호중 오늘 구속 여부 결정 랭크뉴스 2024.05.24
29740 ‘공연 마치고 자숙’ 김호중 구속 갈림길…오늘 공연 ‘불참’ 랭크뉴스 2024.05.24
29739 "韓日 양국 최대한 연대…美中 대립 완화해 경제적 이익 취해야" 랭크뉴스 2024.05.24
29738 尹·홍준표 안 가리고 때린다…개딸 닮아가는 '한동훈 팬덤' 랭크뉴스 2024.05.24
29737 [영상]"담뱃값 1/3" 미국에서 난리난 '잇몸 담배' 진(ZYN), 안정성은? 랭크뉴스 2024.05.24
29736 '1년에 680억'... 오픈AI, 돈 주고 WSJ 뉴스도 AI 훈련에 쓴다 랭크뉴스 2024.05.24
29735 그 비싼 면역항암제도 안 듣더니…간암 환자 수명 늘린 방법 [헬시타임] 랭크뉴스 2024.05.24
29734 [개인연금 비상]③ 연금보험, 같은 조건인데 홍콩 보험사 2배 더 준다 랭크뉴스 2024.05.24
29733 '민희진 대표이사 5년유지'…이 주주계약서, 법정공방 불붙인다 랭크뉴스 2024.05.24
29732 '활동가' 없었으면 못 잡았을 수도... '언더커버' 성범죄 수사도 한계투성이 랭크뉴스 2024.05.24
29731 수출 희망 봤나…한은,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 랭크뉴스 2024.05.24
29730 [영상] 영화 한 장면인줄…공군 전투기 야간 총출동 장면 공개 랭크뉴스 2024.05.24
29729 사람 잡은 '마른하늘 난기류' 한반도도 위험…"증가 속도 2배" 랭크뉴스 2024.05.24
29728 '채상병 특검' 부결 낙관하는 與…공공기관장 90개 빈자리 믿나 랭크뉴스 202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