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정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15일 오전 서울의 한 대학 병원에서 환자들이 검사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내년도 의대 증원 여부를 결정할 법원 판단이 임박했다. 회의록 등 정부가 법원에 제출한 자료가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공세를 이어온 의료계는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이 인용됐을 경우의 대학별 대응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집행정지 신청이 각하 혹은 기각돼 의대 증원이 확정되면 교수들이 추가 휴진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15일 정부와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은 오는 16~17일 중 정부의 의대 증원·배분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 사건 항고심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 10일 법원에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과정의 절차와 논의 내용 등을 담은 근거 자료를 제출했다. 법원은 의대 증원 효력을 정지할지(인용), 소송 요건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지(각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을지(기각) 가운데 결정하게 된다.

법원이 각하나 기각을 결정하면 내년도 의대 증원은 사실상 확정되고, 인용을 결정하면 내년 증원은 무산된다. 각 대학은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까지 대입 수시모집 요강에 의대 모집인원을 반영해 증원을 확정해야 하는데, 어떤 결정이 나오더라도 양측 모두 재항고를 통해 대법원 결정까지 거쳐 이달 안에 결정을 뒤집기는 물리적으로 어렵다. 의료계는 법원이 정부에 결정 전까지 증원 절차 중단을 요청한 만큼 집행정지 신청이 인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의료계와 정부는 정부가 법원에 제출한 자료의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장외 공방도 이어가고 있다.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모두 참여하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지난 14일 오후 제12차 성명서를 내고 “5월10일 정부가 법원에 제출한 자료들은 의대 정원 증원의 필요성이나 과학적 근거를 전혀 제시하지 못했고, 수많은 주요 회의들은 모두 요식행위에 불과했음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법원이 인용 결정을 내려 내년 의대 증원이 무산되더라도 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증원을 1년 유예하고 내후년 입시에 증원분이 반영되도록 법적 절차를 밟으면서 증원 논의를 이어갈 전망인데 이 경우 의료계 반발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는 ‘증원 유예’가 아닌 ‘전면 백지화’를 주장해 왔다. 전공의들이 당장 복귀할지도 알 수 없다. 일부 고연차 전공의들은 수련 기간 중 석 달 넘게 이탈하면 전문의 시험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달 안에 복귀할 수도 있지만, 강경한 뜻을 보이는 대다수 전공의들의 복귀 가능성은 미지수다.

교수들도 추가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20여개 의과대학이 참여하는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이날 오후 5시 온라인 총회를 열고 법원 인용 결정에 따른 대학별 대응 방안과 2000명 증원·대학별 배분 근거의 문제점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전의비는 총회 후 보도자료를 내고 “법원이 ‘의대 입학정원 증원 효력정지’ 여부에 대해 인용할 경우 법원의 결정을 존중해 진료의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면서 “반면 각하나 기각이 될 경우 장기화될 비상 진료시스템에서의 ‘근무시간 재조정’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상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전의비는 의대 증원 확정 시 일주일 간 집단 휴진을 하겠다고 밝혔다. 집행정지 각하나 기각 결정이 나오면 교수들이 추가 휴진을 실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355 "윤아도 당했다" 女경호원 이 행동…칸영화제 인종차별 논란 랭크뉴스 2024.05.28
31354 美 언론도 韓中日정상회의 주목…"보호무역 반대 합의 없었다" 랭크뉴스 2024.05.28
31353 [해외칼럼]바이든·트럼프의 조세정책 비교 랭크뉴스 2024.05.28
31352 'K트로트 아이돌'에 홀린 일본…"30대 꽃미남, 안 어려서 좋다" 랭크뉴스 2024.05.28
31351 [오늘의날씨] 아침엔 '쌀쌀'…낮엔 25도 안팎까지↑ 랭크뉴스 2024.05.28
31350 "급해요, 큰 병원 가야해요" 두달 1700건 해결한 이 응급상황실 랭크뉴스 2024.05.28
31349 "여성 N번방도" vs "성착취물과 같냐"… 젠더갈등으로 가는 N번방 논란 랭크뉴스 2024.05.28
31348 채 상병 특검법 與 이탈표 5명, 12명 설득에 총력전 野 랭크뉴스 2024.05.28
31347 협력과 소통 불씨는 살렸지만...'北 비핵화' 등 민감 안보 합의는 담지 못해 랭크뉴스 2024.05.28
31346 "지방 가서라도 의사만 돼다오"…의대준비 대치동 엄마들 짐싼다 랭크뉴스 2024.05.28
31345 [단독] 90%가 살충제 뚫었다…말라리아 '좀비 모기' 공포 랭크뉴스 2024.05.28
31344 네타냐후 '45명 사망' 라파 난민촌 공습에 "비극적 실수"(종합) 랭크뉴스 2024.05.28
31343 북한 "정찰위성 발사 사고발생…신형로켓 1단 비행중 폭발"(종합) 랭크뉴스 2024.05.28
31342 지상파 방송까지 나갔는데…‘성폭력 허위제보’ 탈북 여성 실형 랭크뉴스 2024.05.28
31341 美 아시아인 증오범죄 느는데…아시아계 판사 비율은 0.1% 미만 랭크뉴스 2024.05.28
31340 美, 北 위성발사 "규탄"…"한반도 안정저해·北 고립심화"(종합) 랭크뉴스 2024.05.28
31339 러·벨라루스, 합동 전술비행훈련 시행 랭크뉴스 2024.05.28
31338 67년간 하늘을 지킨 세계 최장 女승무원…88세로 ‘하늘의 별’ 되다 랭크뉴스 2024.05.28
31337 "벌금 150만원? 말도 안 돼"…법원에 불 지르려던 40대의 최후 랭크뉴스 2024.05.28
31336 카드 주인 찾으려 편의점서 300원짜리 사탕 산 여고생들 랭크뉴스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