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철물 등 치과재료 빠졌을 땐 대처 쉬워
치아일 경우 위치 변화 유무 확인해야
위치 변했다면 우유 등에 넣고 빨리 치과 가야
치아가 부러졌다면 부러진 치아 조각을 우유나 식염수, 타액 속에 넣어 가급적 빨리 치과를 찾는 것이 좋다. 서울대치과병원 제공


가까운 치과를 찾기 어려운 휴일이나 여행 중에도 치아와 관련된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상황에 대비해 미리 응급 대처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과거에 치료받았던 수복물이나 보철물 등의 치과재료가 빠지거나 부러진 경우는 비교적 대처하기가 쉬운 편이다. 탈락한 치과재료는 경우에 따라 다시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버리지 말고 지참해 치과가 문을 열 때 방문하면 된다. 치아의 머리 부분이 부러졌을 때도 치아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면 부러진 치아 조각을 식염수에 담가 치과를 찾으면 된다. 부러진 치아 조각을 활용 가능하다면 치료가 훨씬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가능한 한 빨리 치과응급실을 찾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가 부러지면서 위치까지 변했다면 가급적 빨리 치과를 찾아 치아 재위치를 포함한 후속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유치가 아닌 영구치가 뿌리째 빠졌다면 치아 외상 중 가장 응급상황에 해당한다. 김욱성 서울대치과병원 원스톱협진센터 교수는 “빠진 치아를 찾아서 치아 뿌리 쪽이 아닌 치아머리 부분을 잡고 치아가 빠진 위치에 넣어줘야 한다”며 “치아가 더러울 경우 우유, 식염수 또는 타액(침)으로 부드럽게 헹구고 원래 치아 자리에 넣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사고 현장에서 이런 처치가 불가능하거나 치아를 원래 자리에 끼워 넣다 추가적인 손상이 우려되는 경우, 혹은 치아 뿌리가 온전하지 않은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럴 때는 빠진 치아를 우유나 식염수, 타액 속에 담가서 즉시 치과에서 진단과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늦어도 1시간 안에는 응급처치를 받아야 빠진 치아를 살리는 치료 가능성이 높아진다. 만약 해외에서 여행이나 출장 중 이같은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도 치아 위치가 변했거나 아예 뿌리째 빠졌을 경우는 현지 치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연휴 동안 넘어지거나 음식물을 잘못 깨물어 입술이나 혀가 찢어지는 경우엔 소독된 거즈 등으로 출혈 부분을 확인하고 압박해 지혈하면 된다. 거즈가 없다면 깨끗한 천을 이용해도 되며, 압박 지혈을 할 때 지혈이 됐는지를 너무 자주 확인하기보다는 10분 정도 압박 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발치 혹은 임플란트 수술 후에 피가 계속 날 때도 우선 같은 방식으로 압박 지혈을 하고, 해당 부위를 지속적으로 건드려 다시 출혈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정준 서울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입술이나 혀의 찢어짐이 표면에 국한된 경우 봉합 없이도 대체로 잘 치유되지만, 상처가 깊거나 벌어지고 오염원이 상처에 존재할 경우 잘 낫지 않고 감염 등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출혈이 지속하거나 혀 밑 또는 턱 밑 등의 붓기가 증가하는 경우, 이로 인해 삼킴 장애나 호흡곤란 등의 위급 상황이 발생할 때는 치과응급진료실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치통이 심할 때는 당장 할 수 있는 처치로 진통제를 복용하고 찬물이나 얼음을 머금고 있으면 다소 도움이 된다. 너무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다만 이런 조치들의 효과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치과 내원 후 치통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김욱성 교수는 “치통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충치를 방치해서 생긴 치수염에 의한 통증이 대표적”이라며 “철저한 구강위생관리와 더불어 적절한 치과 치료 및 주기적 치과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454 [속보] 정부 “개원의 진료 명령…의협,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 검토”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53 [속보] 정부 "집단행동 유도하는 의협, 공정거래법 위반 검토 착수"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52 “열흘째 ‘물단식’ 성공함”…10대들의 위험한 다이어트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51 [법조 인사이드] ‘여의도 저승사자’ 서울남부지검, 금융수사통 전진 배치… “기소 사건 더 늘어날 듯”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50 尹 대통령 지지율, 9주 연속 30% 초반대... 일주일 전 보다 0.9%p↑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9 주식투자자 "13일·14일 정신 바짝 차려야겠네"…美日 금리향방에 세계가 주목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8 12·12 반란 진압 중 전사한 김오랑 중령 유족, 국가에 책임 묻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7 '대왕고래'도 뒤집지 못했다…尹지지율 9주째 30% 초반대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6 낮 체감온도 31도 웃돌아…영남 일부에 첫 '폭염주의보'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5 "그 돈이면 일본"…'피크아웃' 제주, 생산·소비·인구 다 줄었다[르포]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4 정부-의사들 협박, 으름장에 지친다···시민들 "지겹다. 그만했으면"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3 전남 무안 선착장서 SUV 바다 추락‥2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2 윤 대통령 지지율 31.5%…9주째 30% 초반대[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1 고용 회복에도 소외된 소상공인…추가 지원책 내놓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40 치과의사 이수진 “스토커 살해위협에 폐업…먹튀 아냐”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39 "물단식 열흘째 인증"…극단적 다이어트 매달리는 10대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38 윤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출국…김건희 여사 동행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37 결승선 앞에서 세리머니 하다가…메달 놓친 스페인 선수 [잇슈 SNS]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36 [장훈 칼럼]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new 랭크뉴스 2024.06.10
41435 집값 아파트 13억까지 갔던 제주, 최악의 미분양 사태['피크아웃' 제주] new 랭크뉴스 2024.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