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철물 등 치과재료 빠졌을 땐 대처 쉬워
치아일 경우 위치 변화 유무 확인해야
위치 변했다면 우유 등에 넣고 빨리 치과 가야
치아가 부러졌다면 부러진 치아 조각을 우유나 식염수, 타액 속에 넣어 가급적 빨리 치과를 찾는 것이 좋다. 서울대치과병원 제공


가까운 치과를 찾기 어려운 휴일이나 여행 중에도 치아와 관련된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상황에 대비해 미리 응급 대처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과거에 치료받았던 수복물이나 보철물 등의 치과재료가 빠지거나 부러진 경우는 비교적 대처하기가 쉬운 편이다. 탈락한 치과재료는 경우에 따라 다시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버리지 말고 지참해 치과가 문을 열 때 방문하면 된다. 치아의 머리 부분이 부러졌을 때도 치아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면 부러진 치아 조각을 식염수에 담가 치과를 찾으면 된다. 부러진 치아 조각을 활용 가능하다면 치료가 훨씬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가능한 한 빨리 치과응급실을 찾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가 부러지면서 위치까지 변했다면 가급적 빨리 치과를 찾아 치아 재위치를 포함한 후속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유치가 아닌 영구치가 뿌리째 빠졌다면 치아 외상 중 가장 응급상황에 해당한다. 김욱성 서울대치과병원 원스톱협진센터 교수는 “빠진 치아를 찾아서 치아 뿌리 쪽이 아닌 치아머리 부분을 잡고 치아가 빠진 위치에 넣어줘야 한다”며 “치아가 더러울 경우 우유, 식염수 또는 타액(침)으로 부드럽게 헹구고 원래 치아 자리에 넣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사고 현장에서 이런 처치가 불가능하거나 치아를 원래 자리에 끼워 넣다 추가적인 손상이 우려되는 경우, 혹은 치아 뿌리가 온전하지 않은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럴 때는 빠진 치아를 우유나 식염수, 타액 속에 담가서 즉시 치과에서 진단과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늦어도 1시간 안에는 응급처치를 받아야 빠진 치아를 살리는 치료 가능성이 높아진다. 만약 해외에서 여행이나 출장 중 이같은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도 치아 위치가 변했거나 아예 뿌리째 빠졌을 경우는 현지 치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연휴 동안 넘어지거나 음식물을 잘못 깨물어 입술이나 혀가 찢어지는 경우엔 소독된 거즈 등으로 출혈 부분을 확인하고 압박해 지혈하면 된다. 거즈가 없다면 깨끗한 천을 이용해도 되며, 압박 지혈을 할 때 지혈이 됐는지를 너무 자주 확인하기보다는 10분 정도 압박 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발치 혹은 임플란트 수술 후에 피가 계속 날 때도 우선 같은 방식으로 압박 지혈을 하고, 해당 부위를 지속적으로 건드려 다시 출혈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정준 서울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입술이나 혀의 찢어짐이 표면에 국한된 경우 봉합 없이도 대체로 잘 치유되지만, 상처가 깊거나 벌어지고 오염원이 상처에 존재할 경우 잘 낫지 않고 감염 등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출혈이 지속하거나 혀 밑 또는 턱 밑 등의 붓기가 증가하는 경우, 이로 인해 삼킴 장애나 호흡곤란 등의 위급 상황이 발생할 때는 치과응급진료실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치통이 심할 때는 당장 할 수 있는 처치로 진통제를 복용하고 찬물이나 얼음을 머금고 있으면 다소 도움이 된다. 너무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다만 이런 조치들의 효과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치과 내원 후 치통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김욱성 교수는 “치통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충치를 방치해서 생긴 치수염에 의한 통증이 대표적”이라며 “철저한 구강위생관리와 더불어 적절한 치과 치료 및 주기적 치과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299 3차 오물풍선에 확성기 ‘맞불’…남북 군사 충돌 ‘뇌관’ 터지나 랭크뉴스 2024.06.09
41298 서울 지하철 연신내역서 직원 감전사고‥50대 직원 사망 랭크뉴스 2024.06.09
41297 [속보] 합참 “북한, 대남 오물 풍선 다시 날려” 랭크뉴스 2024.06.09
41296 [속보]합참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추가 살포” 랭크뉴스 2024.06.09
41295 中화웨이 간부 “3·5㎚ 반도체 어렵다…7㎚부터 완성도 높여야” 랭크뉴스 2024.06.09
41294 “농사도 장사도 다 망칠 판”…확성기 재개에 분통 터지는 접경지 랭크뉴스 2024.06.09
41293 교감 뺨 때린 초등생 '출석 정지' 중 이번엔 자전거 훔쳐서 덜미 랭크뉴스 2024.06.09
41292 “北향해 BTS 봄날 틀었다”… 6년 만에 다시 켠 대북확성기 랭크뉴스 2024.06.09
41291 의협 회장, 판사에 “이 여자 제정신이냐”…사진 공개도 랭크뉴스 2024.06.09
41290 대북 전단→대남 오물→대북 확성기…커지는 군 충돌 위험 랭크뉴스 2024.06.09
41289 빵 280개,128만원어치 주문 '노쇼'…고소하자 말만 죄송, 무슨일 랭크뉴스 2024.06.09
41288 유튜버, 동의받았다더니 거짓? '밀양 성폭행' 피해자측 대화 공개 랭크뉴스 2024.06.09
41287 오물풍선-대북방송 대치에 불안‥이 시각 접경지역 랭크뉴스 2024.06.09
41286 산산조각 난 동생 살점 줍는 소년…가자지구 유엔 학교서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4.06.09
41285 [단독] 여야 회동 또 무산‥우 의장 "내일 본회의서 원 구성 처리" 랭크뉴스 2024.06.09
41284 [영상]최전방 곳곳서 확성기 볼륨 높여... 北 겨냥한 '자유의 메아리' 랭크뉴스 2024.06.09
41283 군, 최전방 고정식 대북 확성기 가동…'자유의 소리’ 송출 랭크뉴스 2024.06.09
41282 한 총리 “복귀 전공의 불이익 없을 것”…서울대 교수회 “휴진 재고해달라” 랭크뉴스 2024.06.09
41281 컴퓨텍스서 '록스타 대접' 젠슨황…AI반도체 중심에 선 대만 랭크뉴스 2024.06.09
41280 의협, 오는 18일 집단 휴진 선언…‘증원 절차 중단’ 요구 랭크뉴스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