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4일 금감원·은행·보험 첫 실무회의
사업성 평가 주체 등 논의
새 사업성 평가 6월부터 적용
경·공매 활성화에 본격 공동대출 투입

지난달 25일 경기 수원시의 한 건설현장. /뉴스1

금융 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구조조정을 위해 은행·보험업권과 최대 5조원 규모의 신디케이트론(공동 대출) 조성 작업에 착수했다. 매물로 나오는 부실 PF 사업장을 매입하는 데 투입되는 신디케이트론은 아직까지 전체적인 규모 외에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는 상황이다.

금융 당국과 은행·보험업권은 당장 다음 달부터 전국 5000여개에 달하는 PF 사업장에 대한 새 사업성 평가 기준이 적용돼 경·공매 시장에 매물이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이는 만큼 사업성 평가 주체, 자금 투입 결의 요건 등 구체적인 신디케이트론의 구조를 신속히 설계할 계획이다.

15일금융권에 따르면금융감독원은 전날 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및 5대 보험사(삼성·한화생명, 메리츠·삼성·DB손해보험) 등과 신디케이트론 조성을 위한 실무회의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신디케이트론 조성을 위한 회의는 매주 열릴 예정이다.

금융 당국은 부동산 PF 시장의 신속한 연착륙을 위해 은행과 보험회사 10곳이 참여해 1조원 규모의 신디케이트론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 신디케이트론은 경·공매로 나오는 부실 PF 사업장을 재구조화하는 데 쓰인다. 금융 당국은 필요 시 신디케이트론을 최대 5조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 당국과 은행·보험업권은 이번 회의에서 신디케이트론이 저축은행중앙회나 새마을금고중앙회 등을 통해 통보되는 PF 사업장 매물에 자금을 투입하는 구조를 고민했다. 투자 주체가 여럿인 만큼 사업성 평가를 누가 할지, 자금 투입을 위한 결의 요건은 어떻게 할지, 의사소통 체계는 어떻게 가져갈지 등 세부사항을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경·공매 시장에 나온 PF 사업장은 가격이 떨어진 상태로 낙찰이 될 건데, 싼 값에 사업장을 매입하면 사업성이 생기게 된다”며 “은행과 보험사가 좋은 물건이면 각자 투자를 하겠지만, 사업성이 괜찮은 사업장인데 위험을 분산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게 있다면 신디케이트론을 통해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신디케이트론 필요 자금을 미리 펀드에 모아둘 필요는 없을 것 같다”며 “물건이 나올 때마다 캐피탈콜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회사별 신디케이트론 참여 규모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로 조성되는 신디케이트론 규모는 1조원인데 이를 은행권이 80%, 보험업권이 20% 비율로 나눠 나눠 내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단, 업권 내에서는 출자 비율은 균등할 것으로 보인다.

신디케이트론은 이르면 당장 다음 달부터 경·공매 시장에 투입될 전망이다. 금융사는 부실 PF 사업장 정리를 위해 다음 달부터 금융 당국이 제시한 새로운 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맞춰 사업장 평가를 해야 한다. 새로운 PF 사업성 평가 등급분류는 현행 3단계(양호‧보통‧악화우려)에서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로 세분화된다. 특히 최초 사업성 평가 대상은 ‘연체 사업장’ 또는 ‘만기를 3회 이상 연장한 사업장’인 만큼 유의, 부실 우려 등급을 받는 사업장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사는 유의로 분류된 사업장에 대해 재구조화, 자율매각을 추진해야 한다. 부실우려 사업장이라면 상각, 경・공매를 통한 매각을 해야 한다. 평가 기준이 강화돼 매물로 나올 부실 사업장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지금 경·공매 시장에 매물로 나온 것도 있고 늦어도 3분기부터는 매물이 쏟아질 것으로 본다”며 “구체적인 구조가 정해지는 대로 곧바로 (신디케이트론을)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542 ‘음대 입시 비리’ 현직 교수 5명 연루…“고액 과외생 합격시켜”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41 “SM이 개인 매출 10% 요구해”… 엑소 첸백시, 오늘 긴급 기자회견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40 합참 “밤사이 오물 풍선 310여 개”…“특이 동향 없어”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9 윤희근 경찰청장 “북 오물 풍선, 국민 생명·신체 위협한다 보기 어려워”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8 "동네의원 진료 명령"‥공정거래법 위반 검토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7 '밀양 성폭행' 신상폭로에 고소·진정…16건 접수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6 우크라이나 “러시아 수호이-57 전투기 처음으로 타격”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5 스티커 붙이다가 죽는 서울 지하철…“남편 생전, 인력부족 토로”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4 '주가조작 연루 무혐의' 임창정 "이름에 먹칠…평생 반성하겠다"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3 경찰 "의료계 집단휴진, 고발장 접수되면 수사"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2 정부 “개원의 18일 진료명령 발령, 휴진하려면 13일까지 신고해야”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1 민주, ‘대선 출마 1년 전 당대표 사퇴’ 예외 규정 최고위에서 의결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30 서울 공공분양 텃밭서 마약류 양귀비 발견···“전수조사 실시”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29 정부 “개원의에 진료·휴진 명령…법 위반 검토 착수”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28 학원가 비탈길 굴러가는 트럭…뛰어 올라타 참사 막은 '시민영웅' [영상]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27 전모 드러낸 음대 입시···비리연루된 현직 대학교수만 13명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26 [르포] ‘평당 6000만원’ 최고 분양가 나온 부산… 미분양 우려도 커진다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25 우의장 "거부권 신중해야"…정진석 "여야합의 입법 노력해야"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24 권익위원장, '김건희 여사 명품백' 조사 지연 "법·원칙 따라 처리" new 랭크뉴스 2024.06.10
41523 [단독] “아빠가 김앤장 소개, 친구들 놀라”…고위직 자녀 포섭하나 new 랭크뉴스 2024.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