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윤석열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전영준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지난해 9월 국회 토론회에서 국민연금의 암묵적 부채를 1825조원으로 추계했다. 인구로 나누면 1인당 3540만원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월 개혁이 늦어지면 연 50조원가량 부채가 늘어난다고 봤다. 하루가 급하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가 이번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건너뛸 게 거의 확실시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지금 21대 국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금 조급하게 하는 것보다 22대 국회로 넘겨서 좀 더 충실하게 논의하자"고 말했다. 그간 물밑 접촉을 이어오던 여야와 정부가 대통령의 회견 이후 얼어붙어 버렸다. 4.10 총선~21대 국회 임기(5월 29일)의 연금개혁 골든타임이 이렇게 사라져 간다.

4차 이어 5차 재정계산도 허사 국민연금법 제4조에는 재정이 장기 균형을 유지하도록 급여 수준과 연금보험료를 조정하고, 재정 전망과 보험료의 조정 및 기금의 운용 계획 등이 포함된 운영계획을 10월까지 국회에 제출하게 돼 있다. 5년마다 시행하는 재정재계산을 말한다.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려는 필수적인 절차이다. 현 정부는 재정재계산(5차)을 해서 지난해 10월 18가지 시뮬레이션 안을 국회에 냈다. 그러나 정부안이 뭔지 밝히지 않았다. 윤 대통령이 연금개혁을 강조해온 터라 단일 개혁안을 낼 것으로 기대했지만, 그러지 않았다.
연금개혁 불씨 되살리려면
특위 '넘사벽 9%' 깬 건 대단
구조개혁에는 시간 더 필요
"연금개혁만한 협치모델 없어"
윤 대통령은 9일 회견에서 "6000쪽에 가까운, 책자로 하면 한 30권 정도의 방대한 자료를 국회에 냈고, 국회가 선택할 수 있는 걸 만들어서 냈다"고 말했다. 그리고 대선 약속을 이행했다고 말했다. 국회에 선택을 맡겼다고 해놓고는 회견에서는 "22대 국회로 넘기자"고 했다. 국회 연금특위가 막판 조율할 수 있는 여지를 닫아버렸다. 전 정부는 2018년 4차 재정재계산 때 사지선다 안이라도 냈다. 당시 국민의힘은 전 정부를 맹비난했다. 그래놓고 5년 후 자신들이 책임져야 할 5차 재정재계산이 무위로 끝날 판인데도 별 말이 없다.
김영희 디자이너

보험료 13%-대체율 44% 대안 국회 연금특위가 지난 2년 가까이 허송세월했다. 그러다 막판에 힘을 냈다. 공론화위원회 토론과 설문조사에 이어 막판 협상을 했고, 지난 7일 보험료를 9%에서 13%로 올리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소득대체율(생애평균소득 대비 연금액의 비율)에서 어긋났다. 국민의힘은 40%를 43%로, 민주당은 45%로 올리는 안을 고집했다. 보험료 4%p 인상 합의는 큰 의미가 있다. 보험료율은 1998년 이후 26년간 손을 못 댔다. 요샛말로 하면 9%가 '넘사벽(넘기 어렵다는 뜻)'이었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 '보험료율 13%'를 되살리는 게 중요하다. 소득대체율을 40%에서 43%, 45%로 올리는 건 문제가 있는 건 사실이다. 재정 안정에 역주행한다. 대체율 인상 효과도 40년 후 나타나 실효성이 떨어진다. 그래도 현실을 직시하자. 노후빈곤율이 높아서 조금이라도 보완하기 위해 대체율을 올리자는 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 이번 공론회위원회 시민대표 500인 조사에서 확인됐다. 소득보장론(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0%→50%)을 지지한 비율이 56%, 재정안정(보험료율 12%, 대체율 40%)은 42.6%였다. 22대 국회에서 새로 논의해도 소득대체율 인상론을 무시하기 힘들 것이다. 게다가 대체율 인상은 거대 야당 민주당의 당론에 가깝다.
상황을 종합하면 '보험료 13%-소득대체율 44%안'이나 그 언저리가 현실적인 대안일 수 있다. 양재진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는 "아쉽긴 하지만 '13%-44%' 선에서 합의하는 게 (개혁을) 안 하는 것보다 낫다"고 말한다. 소득대체율이 44%로 올라가면 보험료 인상분 2%p를 상쇄한다. 그래서 보험료율을 13%로 4%p 올리더라도 순수 인상 효과는 2%p이다. 그러면 기금 고갈 시기가 2055년에서 2064년으로 9년 늦춰진다. 2093년 누적적자가 1293조원(현재가치 기준) 줄어든다. 미래가치로는 3738조원 줄어든다. 효과가 작지 않은 것이다.

김영희 디자이너
원샷 개혁보다 단계적 개혁 현 제도가 지속가능하려면 보험료율이 20%로 올라야 한다. 한꺼번에 올릴 수 없다. 설령 그리한다고 해도 중간에 13% 구간을 지나가야 한다. 양재진 교수는 우선 13%로 올려놓고 후일을 도모하자고 한다. 모두에게 박수받는 '원샷 개혁안'은 없다. 특히 2026년 지방선거, 2027년 대선이 기다린다. 윤 대통령이 "임기 내 개혁하겠다"고 강조하지만, 상황이 절대 녹록지 않다. 국민의힘은 구조개혁을 강조하는데, 그건 더 어렵다. 국민의힘이 구조개혁 밑그림을 낸 적도 없다. 기초연금을 손보자는 건지,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부분 통합하자는 건지, 국민연금·공무원연금을 통합하자는 건지 모호하다. 기초연금 대상자를 축소하고 저소득층 연금액을 올리는 게 구조개혁이라면 굳이 국민연금 개혁과 같이 안 해도 된다.
우선 급한 불부터 끌 필요가 있다. 여야가 소득대체율 2%p 이견을 하루빨리 해소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21대 국회에서 처리해 봄 직하다. 아직 2주 남았다. 22대 국회에서 한다면 이를수록 좋다. 관련 자료가 수북이 쌓여있고, 토론도 할 만큼 했다. 윤 대통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협치 1호 정책으로 이만한 게 없지 않을까.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186 시진핑·푸틴 "美-동맹국들 對北도발 반대…중러 군사협력 강화" 랭크뉴스 2024.05.16
22185 강성親明 추미애 꺾은 우원식… “국민의힘 입장에서 더 어려운 상대일수도” 랭크뉴스 2024.05.16
22184 이재명 "중립 아니라 국정횡포 막아야"…우원식 "저도 민주당"(종합) 랭크뉴스 2024.05.16
22183 정기선 부회장, HD현대 주식 더 샀다…지분 총 5.46%로 늘어 랭크뉴스 2024.05.16
22182 “심한 공황”이라더니…사고 후 통화하는 김호중 포착 랭크뉴스 2024.05.16
22181 삼성전자·SK하이닉스, 1분기 R&D·시설 투자 확대… 반도체 업황 회복 본격화 랭크뉴스 2024.05.16
22180 [단독] 출근 첫날‥김 여사 수사라인 대면 보고받아 랭크뉴스 2024.05.16
22179 "전공의는 국가 자산, 이제는 돌아와 주길… 수련체계 고칠 것"[일문일답] 랭크뉴스 2024.05.16
22178 “의대생 학습권 침해보다 공공복리 우선”···‘의료개혁 필요성’ 인정한 법원 랭크뉴스 2024.05.16
22177 경찰, 김호중·소속사 대표 자택 및 사무실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4.05.16
22176 밥값·커피값 아끼자…편의점 구독서비스 이용자 ‘껑충’ 랭크뉴스 2024.05.16
22175 “의대생 손해보다 공공복리 우선해야”···‘의료개혁 필요’ 인정한 법원 랭크뉴스 2024.05.16
22174 안철수, '尹상남자' 홍준표 발언에 "그런 생각이면 공직 관둬야" 랭크뉴스 2024.05.16
22173 정부, 의대증원 집행정지 기각·각하에 "의료개혁 큰 고비 넘어"(종합2보) 랭크뉴스 2024.05.16
22172 의대 증원 집행정지 기각…정부 “의료개혁 큰 산 넘어” 랭크뉴스 2024.05.16
22171 의대증원 법정공방 의료계 '완패'…16건 중 15건 각하·기각 랭크뉴스 2024.05.16
22170 ‘대통령 놀이’의 막장 보여준 검찰 인사 [아침햇발] 랭크뉴스 2024.05.16
22169 의료계 “대법원에 재항고…신속 결정해달라” 랭크뉴스 2024.05.16
22168 어? 미국 경제 이제 좀 식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랭크뉴스 2024.05.16
22167 26년 돌본 뇌병변 아들 살해한 ‘백혈병’ 엄마…“처벌 마땅하다”던 법원 판결은? 랭크뉴스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