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우리 밥상에서 빠질 수 없는 김 가격이 사상 최고치로 폭등했습니다.

지금도 비싼데 올여름과 가을에는 김값이 더 오를 것으로 보이는데요.

왜 이렇게 가격이 오른 건지 근본적인 원인을, 기후환경팀 현인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우리 밥상의 대표 반찬 김 가격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2022년 마른김 한 속, 즉 김 백 장의 도매가격은 5천 원을 밑돌았습니다.

그러나 올해 들어 김 가격이 폭등해 1만 원이 넘었습니다.

앞으로가 더 걱정인데요.

김 가격이 계속 올라 연말엔 1만 8백 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원인 중 하나는 일본을 덮친 최악의 김 흉작입니다.

일본 최대 김 생산지인 규슈 아리아케 해역입니다.

바다를 뒤덮은 양식 시설이 우주에서도 선명하게 보입니다.

지난해와 올해 일본 김 양식장은 4가지 악재가 강타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수온 상승입니다. 수온이 23도 이상이 되면 김을 수확하기 어렵습니다.

수온이 낮아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수확 기간이 짧아집니다.

[니와 요스케/도쿄해양대 교수]
"김이 시작되는 시기라는 것이 매우 늦어지고, 그에 따라 생산량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김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황백화 현상도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검은색이라야 할 김이 누렇게 변했습니다.

[일본 김 양식 어민]
"43년간 김 양식을 했는데, 가장 최악입니다."

황백화는 영양실조로 인한 현상입니다.

수온이 오르면 식물 플랑크톤이 빠르게 증식하는데, 이들이 바다의 질소 등 김의 영양분을 가로채기 때문입니다.

수온이 상승하고 대기 중 수증기가 늘면서 폭풍우도 강해지고 있습니다.

여기다 김을 뜯어먹는 물고기 피해도 커지고 있습니다.

감성돔이 김을 뜯어먹는 모습입니다.

감성돔은 잡식성인데 수온이 오르면 김을 더 많이 뜯어먹는다고 말합니다.

[니와 요스케/도쿄해양대 교수]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김을 먹는 물고기의 행동이 굉장히 활발해지고 있어요."

이 때문에 일본의 김 수확량은 해마다 급감해 과거 100억 장이 넘던 마른김 생산량이 최근에는 절반인 50억 장을 밑돌고 있습니다.

물량 부족으로 일본의 김 가격이 폭등하자 수입을 늘렸습니다.

2021년 일본으로 수출한 김은 5천 톤이었는데 지난해는 약 7천 톤으로 40%나 급증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김 가격도 따라서 폭등했습니다.

김 가격 폭등의 핵심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 있습니다.

[니와 요스케/도쿄해양대 교수]
"(김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온이 올라가서 영향을 받고 있는 먹거리, 대표적인 바다 작물이죠."

이웃 나라가 겪고 있는 기후변화 충격이 우리 밥상의 충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 김은 괜찮은 걸까요?

다음엔 이 문제를 짚어보겠습니다.

MBC뉴스 현인아입니다.

영상편집: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182 “심한 공황”이라더니…사고 후 통화하는 김호중 포착 랭크뉴스 2024.05.16
22181 삼성전자·SK하이닉스, 1분기 R&D·시설 투자 확대… 반도체 업황 회복 본격화 랭크뉴스 2024.05.16
22180 [단독] 출근 첫날‥김 여사 수사라인 대면 보고받아 랭크뉴스 2024.05.16
22179 "전공의는 국가 자산, 이제는 돌아와 주길… 수련체계 고칠 것"[일문일답] 랭크뉴스 2024.05.16
22178 “의대생 학습권 침해보다 공공복리 우선”···‘의료개혁 필요성’ 인정한 법원 랭크뉴스 2024.05.16
22177 경찰, 김호중·소속사 대표 자택 및 사무실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4.05.16
22176 밥값·커피값 아끼자…편의점 구독서비스 이용자 ‘껑충’ 랭크뉴스 2024.05.16
22175 “의대생 손해보다 공공복리 우선해야”···‘의료개혁 필요’ 인정한 법원 랭크뉴스 2024.05.16
22174 안철수, '尹상남자' 홍준표 발언에 "그런 생각이면 공직 관둬야" 랭크뉴스 2024.05.16
22173 정부, 의대증원 집행정지 기각·각하에 "의료개혁 큰 고비 넘어"(종합2보) 랭크뉴스 2024.05.16
22172 의대 증원 집행정지 기각…정부 “의료개혁 큰 산 넘어” 랭크뉴스 2024.05.16
22171 의대증원 법정공방 의료계 '완패'…16건 중 15건 각하·기각 랭크뉴스 2024.05.16
22170 ‘대통령 놀이’의 막장 보여준 검찰 인사 [아침햇발] 랭크뉴스 2024.05.16
22169 의료계 “대법원에 재항고…신속 결정해달라” 랭크뉴스 2024.05.16
22168 어? 미국 경제 이제 좀 식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랭크뉴스 2024.05.16
22167 26년 돌본 뇌병변 아들 살해한 ‘백혈병’ 엄마…“처벌 마땅하다”던 법원 판결은? 랭크뉴스 2024.05.16
22166 ‘의대증원’ 집행정지 기각에도…전공의들 “우린 복귀 안한다, 단일대오 유지” 랭크뉴스 2024.05.16
22165 서울고법 ‘의대 증원’ 항고심 기각·각하…증원 확정 수순 밟을 듯 랭크뉴스 2024.05.16
22164 추미애, '당심' 과신하다 탈락 역풍...정치적 타격 불가피 랭크뉴스 2024.05.16
22163 우원식 “정략적 문제로 진전 안 되는 입법, 직권상정하겠다” 랭크뉴스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