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우리 밥상에서 빠질 수 없는 김 가격이 사상 최고치로 폭등했습니다.

지금도 비싼데 올여름과 가을에는 김값이 더 오를 것으로 보이는데요.

왜 이렇게 가격이 오른 건지 근본적인 원인을, 기후환경팀 현인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우리 밥상의 대표 반찬 김 가격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2022년 마른김 한 속, 즉 김 백 장의 도매가격은 5천 원을 밑돌았습니다.

그러나 올해 들어 김 가격이 폭등해 1만 원이 넘었습니다.

앞으로가 더 걱정인데요.

김 가격이 계속 올라 연말엔 1만 8백 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원인 중 하나는 일본을 덮친 최악의 김 흉작입니다.

일본 최대 김 생산지인 규슈 아리아케 해역입니다.

바다를 뒤덮은 양식 시설이 우주에서도 선명하게 보입니다.

지난해와 올해 일본 김 양식장은 4가지 악재가 강타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수온 상승입니다. 수온이 23도 이상이 되면 김을 수확하기 어렵습니다.

수온이 낮아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수확 기간이 짧아집니다.

[니와 요스케/도쿄해양대 교수]
"김이 시작되는 시기라는 것이 매우 늦어지고, 그에 따라 생산량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김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황백화 현상도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검은색이라야 할 김이 누렇게 변했습니다.

[일본 김 양식 어민]
"43년간 김 양식을 했는데, 가장 최악입니다."

황백화는 영양실조로 인한 현상입니다.

수온이 오르면 식물 플랑크톤이 빠르게 증식하는데, 이들이 바다의 질소 등 김의 영양분을 가로채기 때문입니다.

수온이 상승하고 대기 중 수증기가 늘면서 폭풍우도 강해지고 있습니다.

여기다 김을 뜯어먹는 물고기 피해도 커지고 있습니다.

감성돔이 김을 뜯어먹는 모습입니다.

감성돔은 잡식성인데 수온이 오르면 김을 더 많이 뜯어먹는다고 말합니다.

[니와 요스케/도쿄해양대 교수]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김을 먹는 물고기의 행동이 굉장히 활발해지고 있어요."

이 때문에 일본의 김 수확량은 해마다 급감해 과거 100억 장이 넘던 마른김 생산량이 최근에는 절반인 50억 장을 밑돌고 있습니다.

물량 부족으로 일본의 김 가격이 폭등하자 수입을 늘렸습니다.

2021년 일본으로 수출한 김은 5천 톤이었는데 지난해는 약 7천 톤으로 40%나 급증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김 가격도 따라서 폭등했습니다.

김 가격 폭등의 핵심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 있습니다.

[니와 요스케/도쿄해양대 교수]
"(김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온이 올라가서 영향을 받고 있는 먹거리, 대표적인 바다 작물이죠."

이웃 나라가 겪고 있는 기후변화 충격이 우리 밥상의 충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 김은 괜찮은 걸까요?

다음엔 이 문제를 짚어보겠습니다.

MBC뉴스 현인아입니다.

영상편집: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6809 교회서 온몸 멍든 여고생 사망…50대 신도 휴대전화 압수 랭크뉴스 2024.05.17
26808 [속보] 진양곤 HLB회장 "간암 신약, FDA서 보완 요구 받아" 랭크뉴스 2024.05.17
26807 정부 "사법부 뜻 존중해 갈등 조속 매듭…의료개혁 성공적 완수" 랭크뉴스 2024.05.17
26806 美, 바이오 보안법으로 中 견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기회” 랭크뉴스 2024.05.17
26805 배수로 준설 작업 중 황령터널서 60대 신호수 교통사고 당해 숨져 랭크뉴스 2024.05.17
26804 한화·LG화학·SK, 1분기 영업익 감소폭 가장 커…"석유화학 부진 영향" 랭크뉴스 2024.05.17
26803 ‘피격’ 슬로바키아 총리 중환자실행···용의자 살인미수 혐의 기소 랭크뉴스 2024.05.17
26802 [속보] 진양곤 HLB 회장 “간암신약, 美 FDA 승인 불발…보완 요구” 랭크뉴스 2024.05.17
26801 아내 챙기는 척 1억 아꼈다, 엔비디아 6억 번 남편 재테크 랭크뉴스 2024.05.17
26800 임현택 의협 회장 "16일은 우리 의료 시스템 철저하게 망가뜨린 날" 랭크뉴스 2024.05.17
26799 김여정, 새 무기체계는 '대남용'…"서울 허튼 궁리 못하게" 랭크뉴스 2024.05.17
26798 떠나는 구름, 온 나라 맑아…화창한 주말엔 반소매 옷 랭크뉴스 2024.05.17
26797 김밥 등 외식비 또 올라…냉면 한 그릇 1만2천원 육박(종합) 랭크뉴스 2024.05.17
26796 생물학자 최재천의 해법 "의대증원? 이렇게 꼬일 이유 없다" [이지영의 직격인터뷰] 랭크뉴스 2024.05.17
26795 ‘간암 신약 기대감’ HLB, 코스닥 시총 2위 등극…올 들어 주가 2배 랭크뉴스 2024.05.17
26794 [속보] 4월 취업자 26만10000명 증가…40대·청년층은 감소 랭크뉴스 2024.05.17
26793 "김밥 가격 보니 속 터지네"…한 줄에 3362원, 냉면은 1만2000원 육박 랭크뉴스 2024.05.17
26792 109세 노인의 조언…"통제할 수 없는 건 잊어라" 랭크뉴스 2024.05.17
26791 전공의·의대생 복귀 안 해‥의협, 오늘 입장 발표 랭크뉴스 2024.05.17
26790 깎아주니 많이 팔리네····수입 전기차 1년만에 2배 이상 늘어 랭크뉴스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