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여의도 환승센터 주변 불이 켜진 증권회사 건물 주변 도도를 차량들이 지나고 있다./홍도은 기자 [email protected]


자산운용업계에서 상장지수펀드(ETF) 수수료 인하 경쟁이 붙붙었다. 업계 1위 삼성자산운용(삼성자산)이 ETF 보수를 내리자 2위 미래에셋자산운용(미래에셋)도 맞대응에 나서며 ‘업계 최저 보수’ 타이틀 확보를 위한 치킨게임이 이어지고 있다. 대형사의 수수료 경쟁으로 중소형 자산운용사의 부담은 커졌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142조원’ ETF 시장 장악 경쟁···최저 보수 타이틀 놓고 치킨게임

ETF 수수료 인하는 자산운용업계의 단골 이슈이지만, 최근 다시 화두가 된 것은 업계 양강인 삼성과 미래에셋이 보수 인하 경쟁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자산은 지난달 19일 ‘KODEX미국S&P500(H)’ 등 미국 주요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환헤지와 토털리턴(배당 재투자) ETF 4개의 총보수를 0.05%에서 0.0099%로 내린다고 밝혔다. 이는 당시 국내 ETF 중 업계 최저 보수로, 1억원을 투자하면 연간 수수료가 9900원에 불과한 것이다.

업계 2위 미래에셋도 맞불을 놨다. 미래에셋은 지난 10일부터 양도성예금증서(CD) 1년물 금리를 추종하는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ETF’의 총보수를 연 0.05%에서 0.0098%로 인하했다. 삼성자산과 달리 채권형 상품이지만 삼성보다 총보수를 0.0001%포인트 낮추면서 ‘국내 ETF 최저 보수’ 타이틀을 가져갔다.

코스피가 2754.86으로 마감한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 새로 공개된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돼 있다. 김창길기자


순자산 기준으로 각각 39%, 37%의 점유율 차지하는 두 회사가 보수 경쟁에 나선 것은 이미지 각인을 통해 142조원 규모의 ETF시장 파이를 더 확보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들은 금액이 적든 많든 수수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측면이 있어서 해외주식 수수료 제로, ETF 보수 인하 등 경쟁에 나서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수수료를 낮춘 ETF는 ‘KODEX200’ 등 핵심 ETF와 비교하면 순자산 규모가 작다. 수수료 인하에 따른 수입 감소는 불가피하지만 실적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닌데다, 오히려 업계 최저 수수료라는 이미지 각인 효과로 시장 지배력을 높일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마케팅 차원에서 몇 가지 ETF를 골라 내리면 타격이 크지 않으면서도 수수료가 싸다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대형사 경쟁에 불똥 떨어진 중소형 운용사

두 업체의 치킨게임을 바라보는 중소형 자산운용사의 고민은 깊다. 자산 규모가 작은 중소형사 입장에선 보수 인하에 따른 매출 타격이 큰데다, 브랜드 파워가 상대적으로 약해 효과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지금도 삼성과 미래 빼고는 수익 내는 곳이 없을 정도”라며 “대형사는 (인하에 따른 매출 감소) 비중이 크지 않겠지만 중소형사는 매출의 5%가 날라갈 수 있다”고 했다.

시장은 이번 보수 인하가 일회성에 그칠지, 업계 전반의 인하 경쟁으로 이어질지 관망하고 있다. 중소형사들은 보수 인하와 차별화된 상품 출시 등 타개 방법을 놓고 저울질을 거듭하고 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달 27일 자사 핵심 ETF 중 하나인 ‘ARIRANG200’의 보수를 0.4%에서 0.017%로 낮췄다.

신한자산운용은 ‘SOL미국AI반도체칩메이커’ 등 반도체 섹터 관련 세분화 ETF를,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월중에 분배금을 지급하는 ‘ACE 미국반도체 15%프리미엄분배(합성)’등 커버드콜 ETF를 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타사 대비 비싸다고 생각하는 보수를 경쟁사 수준으로 내리거나, 상품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익이 날 수 있는 섹터들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62 올 시즌 벌써 세 번째...김승연 한화 회장의 승리요정 꿈의 결과는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61 한미, 10∼12일 워싱턴서 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 3차 협상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60 [인터뷰] 48억원짜리 유전자 치료제 개발한 혈우병 종가...“기존 약 잘 팔려도 혁신 멈춰선 안돼”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9 '갑질폭행' 양진호측 "폭로자 보호 취소하라" 소송 냈으나 패소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8 ‘엽기 갑질’ 양진호 “폭로자 보호 취소하라” 소송 패소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7 “아버지가 맞았어요” 온통 피범벅…택시기사 폭행 충격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6 "라면이 아니라 삼계탕을 더 많이 먹었어요"... 육상 레전드 임춘애 [K스포츠 레전드 열전]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5 尹 항의에 ‘입틀막’…카이스트 졸업생, 업무방해 무혐의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4 [영상]남한강에 펼쳐진 한미 육군의 위용…공병장비·항공·기갑 협동 작전[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3 "우리 스타님, 하고 싶은 대로 해~"... 우쭈쭈 팬덤이 무책임 연예인 만들다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2 "함부로 처분할 수도 없고"…김호중 사건이 소환한 앨범기부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1 면죄부에 파업으로 응답… 도 넘은 의사 집단행동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50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 성공률 20%…이제 시추할 때"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49 해외 유출 ‘현왕도’ 수십 년 만에 신도 품으로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48 심쿵! 사랑 아니라 병입니다 ‘부정맥’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47 대북전단 향한 북한의 ‘선택적 분노’…이번 목적은? [뒷北뉴스]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46 광주 유흥가 칼부림 2명 사상…“이권 다툼 추정”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45 오바마도 깜짝등장…'빚더미' 케냐, 미국이 국빈으로 모신 이유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44 미국 고교 ‘성기 그림’ 사건의 진실은? 모큐멘터리 ‘아메리칸 반달리즘’[오마주] new 랭크뉴스 2024.06.08
44943 [주간코인시황] 비트코인, 美 금리 인하 기대감에 다시 상승세 new 랭크뉴스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