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국의대교수협의회 등 의료계가 의대 증원 근거와 절차가 담긴 회의록 등 정부가 법원에 제출한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오늘(13일) 자료 공개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제출한 자료에 '2천 명 증원'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부가 의대 증원 집행 정지 가처분을 맡은 서울고등법원 항고심 재판부에 제출한 자료는 모두 49개입니다.

2천 명 증원 규모를 발표한 2월 6일 당일 열린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 회의록과 보정심 산하 의사인력 전문위원회 1차~9차 회의록, 의사협회와 28차례 가진 의료현안협의체 보도자료, 정원 배정위원회 1~3차 회의 결과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 보정심에서 2천 명 언급에 "굉장히 충격적...서남의대 20개 이상 초래할 것"

가장 큰 관심은 2월 6일 보건의료정책심의위 회의록입니다. 2천 명 증원 규모를 발표한 그 날, 발표에 앞서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는지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 보정심에는 위원장(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포함해 위원 25명 중 23명이 참석했습니다.

대한의사협회와 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측 위원 2명은 불참했습니다.

2천 명이라는 구체적인 숫자가 언급된 것은 그 회의가 처음이었습니다.

먼저, 정부 측이 2천 명 증원 안건을 설명했습니다. 정부 측 간사는 "2035년 수급 전망, 즉 현재 부족한 의사 수 5천여 명과 2035년에 1만여 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의사 수급 전망을 토대로 의대 정원 확충 규모를 결정하고자 한다"며 "증원 규모는 의대 입학 정원을 2025학년도부터 2천 명 증원하는 방안이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곧바로 위원 중 한 명인 A 위원은 "일정 규모로 증원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십분 공감한다"면서도 "2천 명 증원 발표에 대해서 굉장히 충격으로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렇게 대규모로 의대 정원을 늘리면 폐교된 서남의대를 20개 이상 만드는 것과 같은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제대로 훈련되지 않은 의사들을 양산해서 국민 건강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서남대 의대는 서남대가 부실대로 퇴출되며 2018년 폐교됐습니다. 서남대 의대 정원은 전북대와 원광대 의대에서 흡수했지만 전북대와 원광대는 갑작스러운 증원에 혼란을 겪었습니다.

A 위원은 갑작스러운 증원으로 서남대 의대 폐교와 그에 따른 부작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 것입니다.

2월 6일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회의록 일부

A 위원은 전공의 집단행동 사태와 의대생 집단휴학 등 반발을 예견했습니다. A 위원은 "전공의 학생은 물론 전체 의사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한다"며 "그런 일이 없기를 바라지만 파업과 동맹휴학으로 자신들의 뜻을 표현할 가능성이 굉장히 많아 걱정이다"고 했습니다.

또 다른 B 위원은 보정심 회의가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B 위원은 "보정심에서 일방적으로 발표하고 토론만 이끈다는 점은 사실 보정심은 무의미하다는 걸 의미한다"며 "여기에 대한 토론이나 의견이 전혀 없는 상황 속에서 일방적으로 하고 회의 끝난 다음에 2천 명이라고 발표될 것인데 보정심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의대 교수인 C 위원은 증원 시 각 의대에서 교육이 가능할지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C 위원은 "2천 명이라면 늘어나는 학생을 각 의과대학에서 올해 1년 내에 다 준비할 수 있을까라는 부분이 상당히 우려스럽다"면서 "기초의학 교수들은 모시기가 어려운 상황인데 준비 없이 했을 때 현장의 부작용들은 고스란히 학생뿐만 아니라 부모들에게도 전달되는 거기 때문에 이게 가능할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 "최소 3천 명 증원" 찬성 의견도...복지부 장관 "4명 이견 제시했지만 대체로 동의"

현장에서 반대 의견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D 위원은 "오히려 늦었다는 생각이 든다, 내년에 증원을 한다고 해도 실제 현장에 들어가는 건 10년이다"면서 "10년 후에 추가로 몇백 명 늘어난다는 건 '언 발에 오줌 누는 것'밖에 아닐 거다."라고 했습니다.

소비자 측인 E 위원은 "2천 명 증원이라는 귀한 숫자를 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며 "필수 부분과 의료 공백이 있는 모든 분야의 필요한 의료 숫자를 잘 맞추려면 또 최소 OECD 평균 수준으로 맞춘다면 최소 3천 명은 증원을 해야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위원장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복지부 안대로 증원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조 장관은 "23분 중에 4분이 이견을 제시하셨지만 대체로 동의하시는 거로 생각이 된다, 다른 의견이 없으시면 보건복지부 안대로 의결하고자 한다"고 말하며 이의 없냐고 물은 뒤 위원들이 "예"라고 답하자 "그러면 의결되었습니다, 이상 논의를 마치겠습니다"하고 회의를 마무리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 의료계 "증원 결정 회의록 없다"...정부 "충분히 협의"

의료계는 이 2월 6일 보정심 회의가 '요식행위'였다고 주장합니다.

김종일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회장은 오늘 기자회견에서 "보정심은 2천 명 결정을 통보하게 했지 도대체 몇 명이 필요한가 논의해봤더니 2천 명이구나 하는 거를 결정한 회의는 전혀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2천 명 증원을 결정한 회의록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창수 전국의대교수협의회 회장도 "2천 명을 결정한 보정심 회의는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됐고 정부의 보도자료는 3시 3분에 배포됐다"며 "이미 일부 신문사에서 2시간 전에 정부가 2천 명 정원을 확정했다라는 내용으로 보도한 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회장은 "도대체 보정심 회의는 무엇을 위한 회의냐, 단순한 거수기 역할을 하는 곳이냐"고 물었습니다.

이러한 의료계의 공격에 대해 정부는 반박했습니다.

정부는 2월 6일 보정심 회의에서 참석한 위원 23명 중 19명은 2천 명 증원에 찬성했고 4명이 반대했지만 "반대의 경우에도 규모에 대한 이견으로 증원 자체에는 찬성 의견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보정심 이전에 2천 명 규모에 대한 논의가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의료계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충분히 협의했다"며 "추계 결과에 대해 복지부와 의협 간 양자 협의체인 의료현안협의체에서 4차례 회의를 가졌고 추가로 수급 추계 전문가 공개 포럼을 통해 상당수의 증원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한 바 있다"고 밝혔습니다.

2천 명 증원 근거와 절차에 대한 의료계와 정부 간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고등법원 항고심 재판부는 정부가 제출한 자료들을 살펴본 뒤 이번 주 안에 증원 집행정지 인용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릴 계획입니다.

인용되면 내년도 증원은 사실상 힘들어질 것이고 기각이 되면 증원은 사실상 확정될 거라 법원의 결정이 의료공백 사태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6419 ‘검찰총장 패싱’ 논란에 법무장관 “요청 다 받아들여야 하나” 랭크뉴스 2024.05.16
26418 [단독] 김호중, 사고 직후 경기도 인근 호텔行… 왜? 랭크뉴스 2024.05.16
26417 “나는 왜 안 줘”… 25만원 ‘선별지원’ 예고에 갈등 우려 랭크뉴스 2024.05.16
26416 전남도청 향했던 청년, 5·18 ‘뒷것’으로 남다 랭크뉴스 2024.05.16
26415 김호중 소속사 대표 “대리 출석 내가 지시…음주는 아냐” 랭크뉴스 2024.05.16
26414 [속보] 이창수 중앙지검장 "친윤 평가에 동의 못해... 정치권 용어" 랭크뉴스 2024.05.16
26413 서울고법 "의대증원 집행정지 여부, 오늘 오후 5시께 결정" 랭크뉴스 2024.05.16
26412 윤 대통령 만난 조국 “과장된 억지 미소…저는 눈으로 말했다” 랭크뉴스 2024.05.16
26411 김건희 여사, 캄보디아 총리 오찬 참석…153일 만의 공개 일정 랭크뉴스 2024.05.16
26410 안철수 “홍준표 공직 그만둬야”…윤 검찰 인사 “상남자” 두둔 직격 랭크뉴스 2024.05.16
26409 “최북단 특급 휴양지 될까” 비행기 타고 백령도 간다…골프장, 면세점까지 갖춰 랭크뉴스 2024.05.16
26408 "준표형‥보다보다 글 씁니다" 지지자조차 "김여사 쉴드는‥" 랭크뉴스 2024.05.16
26407 "대통령실이 인사 주도?" 질문에 "법무장관 무시하나" 발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5.16
26406 [속보]이창수 중앙지검장 “‘친윤 검사’ 평가 동의 못해” 랭크뉴스 2024.05.16
26405 박성재 법무 “검찰총장과 인사 협의…시기 요청 다 받아야 하나?” 랭크뉴스 2024.05.16
26404 '5월 맞아?' 설악산 40㎝ 눈…"수확철 산나물 얼어" 농가 한숨(종합) 랭크뉴스 2024.05.16
26403 신임 중앙지검장, 김여사 수사에 "지장없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 랭크뉴스 2024.05.16
26402 [속보] 김건희 여사, 오늘 캄보디아 총리 오찬 참석…153일만에 공개석상 랭크뉴스 2024.05.16
26401 조국 “윤 대통령 표정, 과장된 억지 미소···안타깝더라” 랭크뉴스 2024.05.16
26400 이창수, 김건희 조사 “충분한 조치할 것”…친윤 검사 “동의 못 해” 랭크뉴스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