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진은 기사와 무관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는 살면서 사랑하는 누군가를 잃는다. 그 고통의 크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누군가는 상실의 고통으로 오랫동안 일상생활로 돌아오는 것을 힘들어한다. 미국 기독교 작가인 애니 요티는 누군가를 잃은 이들이 건강하게 슬퍼하는 10가지 방법을 최근 공유했다. ‘우리는 가장 어두울 때 별을 볼 수 있다’는 미국의 수필가 랄프 왈도 에머슨의 말을 인용하며 어둠 속에서 샛별처럼 빛나는 소망을 붙잡길 희망했다.

1. 기대치를 낮추라
살면서 경험해 본 적 없는 상실을 겪으면 무의식적으로 기대치나 어떤 계획을 세운다. 기대와 계획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시간표를 의지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불완전한 미래를 이해하려는 집착 대신, 앞으로의 기대를 하나님께 맡겨보라.

2. 하나님과 함께하는 시간을 우선순위에 두라
슬픔은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우리의 에너지를 빼앗아간다. 또 하나님의 선하심을 의심하거나 그에게 분노를 느끼게도 한다. 그러나 우리의 삶이 죽은 것처럼 느껴질 때가 하나님이 가장 필요한 때입니다. 그저 우리 옆에 앉아 계신 하나님을 생각하거나, 의미 있는 한 구절에 흠뻑 빠져보는 등 방법으로 평안과 위로를 누리시길 바란다.

3. 감정을 점검하는 시간을 주기적으로 따로 가져라
상실 후 우리는 밀려오는 감정을 부정적으로 치부하고 무시하거나 억누른다. 그러나 우리는 감정을 배출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하느님께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자신이 느끼는 감정의 깊이를 표현하시라. 통곡하거나 울 수 도 있다. 하나님을 당신의 모든 감정을 알아주신다.

4. 자기 성찰과 외향적 집중의 균형
슬픔에 휩싸일 때 우리는 남을 둘러볼 여유를 갖지 못한다. 시선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는 것은 슬픔을 벗어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슬픔을 돌보는 일만큼 다른 사람을 사랑하며 아끼는 일에도 시간을 써보라.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위로하는 편지를 쓰거나 그를 위해 기도할 수 있다.

5. 다른 사람의 도움 받기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신 것은 서로 교제하기 위해서라는 것을 기억하시라. 형제자매들을 우리에게 보내셔서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실 것이다.

6. 슬퍼하는 자들과 함께 슬퍼하라

동병상련, 비슷한 경험을 한 이들은 그 슬픔의 깊이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당신보다 비슷한 여정을 겪은 이들에게 실용적인 조언과 격려를 들어보라.

7. 사랑하는 사람을 기억하고 이야기할 시간을 가져라

많은 이들이 죽음을 직접 언급하기 껄끄러워한다. 혹시 모를 말실수가 나올까 봐 이기도 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고인에 대한 기억이 좋든 나쁘든 간에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추억의 공간을 공유하라.

8. 감사 일기를 쓰라
슬픔 속에서 감사하란 이야기는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러나 감사 일기를 쓰는 것은 우리의 생각을 하나님께 돌릴 수 있다. 처음엔 당연히 어려울 것이다. 오늘 했던 기분 좋은 샤워, 맛있었던 점심과 같이 평범한 것으로 시작해보자. 나중엔 새로운 꿈을 기록하게 될 것이다. 감사로 가득 찬 일기를 보면서 마음이 치유된 것을 발견할 것이다.

9. 하루 적어도 하나의 목표를 세우라

슬픔의 목적지는 없다. 단순하게 세운 목표는 우리에게 안정을 선물한다. 거창한 것이 아닐수록 좋겠다. ‘아침에 일어나 차려입기’보단 ‘잠옷 벗기’가 나을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는 조금 더 어려운 목표를 세워볼 수 있다. 실패해도 괜찮다. 하나님께 다시 시도해볼 수 있는 용기를 달라고 간구하면 된다.

10. 위기에 대비한 계획을 세우라
출근하거나 등교하는 등 우리는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잘 극복했다고 생각했지만, 어떤 날 갑자기 슬픔의 먹구름이 몰려온다. 행복한 순간에 눈물이 핑 돌기도 한다.

평소와 다르게 슬픔이 우리를 압도할 수 있음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가 감정에 휩싸였을 때 어떻게 반응할지를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라. 그리고 우리가 슬퍼할 때 하나님이 늘 우리의 슬픔을 아시고 함께 우신다는 사실을 기억하시라.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173 이재명 "윤석열 정부, 총선 결과에도 반성 안해…다시 심판해야" 랭크뉴스 2024.05.25
39172 ‘음주 뺑소니’ 김호중 때문에 난감하네...2억 들인 ‘관광 명소’ 사라질 위기 랭크뉴스 2024.05.25
39171 마지막 국회 본회의 앞두고...시민사회·야7당 “채 상병 특검법 통과시켜라” 랭크뉴스 2024.05.25
39170 홍준표 “채 상병 특검, 과도한 정치공세···찬성 운운 여당 의원 참 한심” 랭크뉴스 2024.05.25
39169 “일반 소주랑 똑같다고?”...믿었던 ‘제로 소주’의 배신 랭크뉴스 2024.05.25
39168 [현장] 인천항서 외국인 1만명 파티…'K-닭강정'에 엄지척 랭크뉴스 2024.05.25
39167 이재명 "1%p차로 무산시킬 수 없어…소득대체율 44% 수용" 랭크뉴스 2024.05.25
39166 의대교수단체들 "의대 증원 확정 보도는 오보" 랭크뉴스 2024.05.25
39165 범야권 '채상병특검 촉구' 장외집회…"尹 다시 심판" 탄핵론도 랭크뉴스 2024.05.25
39164 대통령실 "연금개혁, 쫓기듯 타결 말아야"…국힘은 여야정 협의체 제안 랭크뉴스 2024.05.25
39163 대통령실 “연금개혁 쫓기듯 해선 안 돼”… 이재명 대표 제안 거절 랭크뉴스 2024.05.25
39162 김호중 ‘구속’됐는데…팬덤 “정치 이슈 은폐 용도 아니길”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5.25
39161 이재명 “대통령 거부권에도 한계 있어···정신 못 차리면 국민이 항복시켜야” 랭크뉴스 2024.05.25
39160 세계유산 추진중인 일본 사도광산 가보니…강제동원 역사는 어디로? [창+] 랭크뉴스 2024.05.25
39159 파푸아뉴기니서 산사태 구조 시작‥현지 매체 "300명 사망" 랭크뉴스 2024.05.25
39158 與, 이재명 연금개혁 회견에 "구조개혁 쏙 빼고 사실왜곡"(종합) 랭크뉴스 2024.05.25
39157 李 “與 연금안 전격 수용”…국힘·용산 “쫓기듯 타결 안 돼” 랭크뉴스 2024.05.25
39156 5년 된 옷 찢고 붙이니 '작품' 됐다…업사이클 패션 인기, 왜 랭크뉴스 2024.05.25
39155 “우리집 댕댕이와 함께”…편도 800만원 비행기 타볼까 랭크뉴스 2024.05.25
39154 최재형 “채 상병 특검법 당당히 받아야”···여당 내 4번째 공개 찬성 랭크뉴스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