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중재시술 3월 166건→4월 195건
고영국 교수 "여긴 최전방…치료받아야 하는 환자 외면 못 해"


대형병원에 붙은 휴진 안내문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한 전공의들의 이탈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일부 과목 교수들이 더 이상 환자를 돌려보낼 수는 없다며 최근 진료를 늘려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내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에서 시행한 심장질환 중재시술 건수가 지난 2월 말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후 급감했다가 최근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이 병원 심장내과에서 시행한 스텐트 삽입 등 심장질환 중재시술 건수는 195건으로, 전공의 사직의 영향이 본격화한 지난 3월 166건 대비 17.5% 늘었다. 동기인 지난해 4월 300건과 비교해 65% 수준까지 회복했다.

심장내과 일부 병동의 병상 가동률은 지난 3월 한때 57% 수준까지 떨어졌다가 지난달 68%까지 올랐다.

외래진료 건수도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외래진료는 약 1만5천380건으로, 지난 3월 1만4천960건 대비 2.8% 증가했다.

심장내과는 급성심근경색과 협심증, 동맥경화, 심부전 등 각종 심장혈관질환 환자를 돌보는 진료과다. 진료과목의 특성상 응급·중증 환자가 많은 편이다.

심장혈관 중재시술은 급성심근경색 등 중증 심장질환 환자에 스텐트 삽입 등으로 막힌 심장혈관을 뚫어주는 시술을 칭한다.

보통 심장내과 입원 환자는 평소 120명에 이르지만 전공의들이 모두 빠져나가고 한때 절반까지 줄어들기도 했다.

현재 전공의 복귀가 요원한 데도 환자를 다시 받기 시작한 건 현장에서 '우리가 물러날 순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증·응급환자들이 마지막으로 찾아오는 '3차 병원'이라는 것도 이들이 '무리해서' 환자를 돌보는 이유가 됐다.

고영국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
(서울=연합뉴스) 고영국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교수. 2024.05.12. [세브란스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고영국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저희가 안 한다고 하면 그럼 누가 하겠느냐"며 "여기는 일종의 최전방"이라고 표현했다.

고 교수는 "지금 당장 심장을 치료해야 하는 환자들이 있고, 우리가 안 한다고 하면 환자들은 어떻게 되겠느냐"고 거듭 반문한 뒤 "여기서 더 줄일 수는 없고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치료)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환자가 급감하면서 병원에 매일 쌓이는 적자보다 걱정인 건 치료할 수 있는 환자를 보지 못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고 교수는 "만에 하나 병원이 어려워져도 저는 다른 곳에서 일을 할 수도 있겠지만, 환자들은 그런 게 아니지 않느냐"며 "병원이 있는데 환자를 못 보는 건 말이 안 된다. 우리는 그냥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치료가 꼭 필요한 환자들은 외면하지 않고 어떻게든 보려고 노력 중"이라며 "어려움 속에서도 의사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주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지금 모든 교수가 최대한 많은 환자를 보기 위해 버티고 있지만, 현 시스템하에서는 지속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한 예전만큼 진료할 수 없고, 이들이 돌아오더라도 업무보다는 수련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전반을 뜯어고쳐야 하므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수련병원들이 전공의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입원전담전문의 등 전문의 채용을 늘리고 수련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 투자도 필수적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현장에 남아있는 건 환자를 돌보기 위해서라며,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해 투자를 선행하지 않고 의대 증원을 발표한 데 대해서도 비판했다.

고 교수는 "필수의료 붕괴 위기는 의료계에서 오래전부터 지적해왔는데 정부가 그동안 별다른 지원이 없다가 인제 와서 2천명 증원을 발표했다"며 "정부로서는 제일 쉬운 방법을 선택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기본적인 재정 지원이나 의학교육 여건에 대한 투자 없이 말로만 하니까 의료계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며 "오랜 시간 누적된 의료체계 전반의 문제를 전부 바꾸지 않고 땜질하는 식으로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171 마지막 국회 본회의 앞두고...시민사회·야7당 “채 상병 특검법 통과시켜라” 랭크뉴스 2024.05.25
39170 홍준표 “채 상병 특검, 과도한 정치공세···찬성 운운 여당 의원 참 한심” 랭크뉴스 2024.05.25
39169 “일반 소주랑 똑같다고?”...믿었던 ‘제로 소주’의 배신 랭크뉴스 2024.05.25
39168 [현장] 인천항서 외국인 1만명 파티…'K-닭강정'에 엄지척 랭크뉴스 2024.05.25
39167 이재명 "1%p차로 무산시킬 수 없어…소득대체율 44% 수용" 랭크뉴스 2024.05.25
39166 의대교수단체들 "의대 증원 확정 보도는 오보" 랭크뉴스 2024.05.25
39165 범야권 '채상병특검 촉구' 장외집회…"尹 다시 심판" 탄핵론도 랭크뉴스 2024.05.25
39164 대통령실 "연금개혁, 쫓기듯 타결 말아야"…국힘은 여야정 협의체 제안 랭크뉴스 2024.05.25
39163 대통령실 “연금개혁 쫓기듯 해선 안 돼”… 이재명 대표 제안 거절 랭크뉴스 2024.05.25
39162 김호중 ‘구속’됐는데…팬덤 “정치 이슈 은폐 용도 아니길”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5.25
39161 이재명 “대통령 거부권에도 한계 있어···정신 못 차리면 국민이 항복시켜야” 랭크뉴스 2024.05.25
39160 세계유산 추진중인 일본 사도광산 가보니…강제동원 역사는 어디로? [창+] 랭크뉴스 2024.05.25
39159 파푸아뉴기니서 산사태 구조 시작‥현지 매체 "300명 사망" 랭크뉴스 2024.05.25
39158 與, 이재명 연금개혁 회견에 "구조개혁 쏙 빼고 사실왜곡"(종합) 랭크뉴스 2024.05.25
39157 李 “與 연금안 전격 수용”…국힘·용산 “쫓기듯 타결 안 돼” 랭크뉴스 2024.05.25
39156 5년 된 옷 찢고 붙이니 '작품' 됐다…업사이클 패션 인기, 왜 랭크뉴스 2024.05.25
39155 “우리집 댕댕이와 함께”…편도 800만원 비행기 타볼까 랭크뉴스 2024.05.25
39154 최재형 “채 상병 특검법 당당히 받아야”···여당 내 4번째 공개 찬성 랭크뉴스 2024.05.25
39153 늦었다 하지 말고 당장, 반응 말고 대응, 치료 전에 관리 랭크뉴스 2024.05.25
39152 이재명 “소득대체율 44% 수용…민주당 제안 받아달라” 랭크뉴스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