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와 아기를 지키는 첫걸음
한국일보, 인터랙티브 제작

편집자주

11년간 아기를 낳다가 사망한 산모는 389명. 만혼·노산·시험관·식습관 변화로 고위험 임신 비중은 늘고 있지만, 분만 인프라는 무너지고 있습니다. 한국일보 엑설런스랩은 100일 동안 모성사망 유족 13명, 산과 의료진 55명의 이야기를 통해 산모들의 안타까운 사연과 붕괴가 시작된 의료 현장을 살펴보고 안전한 출산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도 고민했습니다.

'고위험 임신 자가진단: 나와 아기를 지키는 첫걸음' 인터랙티브 첫 화면


제가 고위험 산모라고요?

노산을 제외하면 자신이 고위험 산모가 될 거라고 꿈에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건강하게 잘 살아왔으니까요. 그래서 고위험 산모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놀랄 때가 많습니다. 한국일보가 <산모가 또 죽었다: 고위험 임신의 경고> 기획취재를 위해 3월부터 만났던 대부분의 고위험 산모들도 그랬습니다.

임신은 여성의 몸을 리모델링합니다. 모든 신체기관이 안전한 출산이라는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태아를 잘 키워내려고 자신의 몸을 재구조화하는 것이지요. 이 과정에서
어떤 산모는
임신성 고혈압에, 어떤 산모는 임신성 당뇨에 걸리기도 합니다.
물론 안전하게 출산한 뒤에는 대부분의 이상 증세가 눈 녹듯 사라집니다. 하지만 출산 후에 철저히 건강 관리를 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진짜 고혈압과 당뇨로 다시 찾아올 수 있으니, 각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임신 합병증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고위험 임신을 유발하는 위험 인자가 있는지 체크해 볼 수는 있습니다.
위험 인자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고위험 산모로 분류
됩니다. 임신 합병증에 걸리지 않기 위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지요. △나이 △체질량 지수(BMI) △내과·부인과 질환 △출산 과거력 등 위험 인자는 매우 다양합니다. 잘 알려진 고령 임신(출산 시점 만 35세 이상)은 고위험 임신의 한 유형일 뿐입니다. 나이가 많지 않아도, 체중 관리를 잘했더라도, 기저질환이 없어도, 위험 인자를 하나라도 갖고 있다면 고위험 산모로 분류됩니다.

고위험 임신은 합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태아와 산모 건강을 위해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입니다.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임신 합병증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으니까요.

한국일보 엑설런스랩은 고위험 임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고위험 임신 자가진단: 나와 아기를 지키는 첫걸음]
인터랙티브 페이지를 제작했습니다. 고위험 임신 전문가인 황종윤 강원대 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장과 김의혁 일산차병원 교수의 자문을 받았습니다. 임신을 앞둔 예비 산모와 가임기 여성이라면 자가진단에 참여해보길 권합니다. 나에게 어떤 위험 인자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산이라는 아름다운 여정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아래 그림을 통해 연결이 안 되면 인터랙티브 주소를 직접 입력하세요


https://interactive.hankookilbo.com/v/pregnancy-selftest/



목차별로 읽어보세요

  1. ① <1> 위기 : 놓쳐버린 생명
    1. • 대학병원 옮기는 데 10시간··· 서른셋 산모, 둘째 낳고 하늘나라로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202480002162)
    2. • 35세 이상 산모 급증하는데… 전문 의료진 감소·협진 붕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3014400003480)
    3. • 1.8㎏ 둘째 낳고 떠난 아내… 남편도 의사도 함께 울었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2402220004157)
    4. • 고위험 산모와 이들을 지키는 사람들(Feat. 박은영 방송인)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423580002110)
  2. ② <2> 긴급 : 예고 없는 그림자
    1. • 산모도 아기도 건강했는데… 해장국 먹고왔더니 아내가 쓰러졌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614270000511)
    2. • [모성사망 아카이브] 돌아오지 못한 산모들, 13개의 비극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112300000628)
  3. ③ <3> 붕괴 : 포기하는 이유
    1. • "집에서 아이 낳을 판…" 고위험 산모 책임질 의료진 씨가 마른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2814400003397)
    2. • "아기 살렸는데 12억 배상이라니…" 소송 공포에 분만 포기하는 의사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3013430004721)
  4. ④ <4> 암울: 분만병원의 미래
    1. • 1년에 분만 10건 안 돼도… "여기를 지켜야" 산모 기다리는 의사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208040005970)
    2. • "여기선 못 낳아" 정부 지원에도 분만 취약지 병원 외면 받는 이유는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0511200004849)
엑설런스랩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195 "양심에 따라 표결해달라"‥범야권 7개 정당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4.05.25
39194 尹에 ‘말참견’ 막말했던 中 외교부 대변인 물러난다 랭크뉴스 2024.05.25
39193 [세종풍향계] ‘상속세·공매도·지배구조 개선’ 민감 정책 두고 발언 수위 고심 중인 기재부 랭크뉴스 2024.05.25
39192 강형욱 사과·해명에 前 직원 반박...박훈 변호사는 무료 변론 자청 랭크뉴스 2024.05.25
39191 "납치됐다 살려달라"…112에 걸려 온 한통의 전화 정체는 랭크뉴스 2024.05.25
39190 [날씨] 오후부터 전국에 비…돌풍 동반한 천둥·번개 주의 랭크뉴스 2024.05.25
39189 "대통령의 거부권에도 한계 있다"‥야7당·시민사회단체, 채 상병 특검법 통과 촉구 랭크뉴스 2024.05.25
39188 조직에서 ‘권한위임’이 필요한 이유[임주영의 경영전략] 랭크뉴스 2024.05.25
39187 '난기류 비상착륙' 싱가포르항공, 수백억대 배상 몰리나 랭크뉴스 2024.05.25
39186 "한국 화장품 팔아요" 일본 편의점, MZ세대 유치 경쟁 랭크뉴스 2024.05.25
39185 경찰, '서울역 칼부림' 예고글 30대 남성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4.05.25
39184 네이버 갈등 달래기? 일본 재계, '강제징용 기금'에 2억엔 기부… 피고 기업은 빠져 랭크뉴스 2024.05.25
39183 감정가 1억4000만 원 시흥 아파트에 92명 몰려…경기도 아파트 경매 '후끈' 랭크뉴스 2024.05.25
39182 대통령실 “연금개혁에 대한 청년세대 의견 반영해야…여야 협의도 필요” 랭크뉴스 2024.05.25
39181 대통령실 "연금개혁, 쫓기듯 타결말고 22대 국회서 대타협해야"(종합) 랭크뉴스 2024.05.25
39180 “VVVIP인 국민이 격노했다…채상병 특검법 재의결하라”…2만명 함성 랭크뉴스 2024.05.25
39179 거리 나간 '野 7당' 범국민대회 "尹 거부권, 국민 인내심 한계" 랭크뉴스 2024.05.25
39178 강형욱 논란 속 ‘난 다르다’던 설채현…“경솔했다” 사과 랭크뉴스 2024.05.25
39177 우크라 영토 20% 장악한 러시아… 푸틴 “현 상황 기반한 평화 협상해야” 랭크뉴스 2024.05.25
39176 “뒤에서 쾅” 버스 사이 낀 택시…처참하게 찌그러졌다 랭크뉴스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