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방은행 최선호주로 BNK금융을 제시한다. 이 회사의 1분기 호실적 등을 감안해 이익추정치를 상향했기 때문이다.

BNK금융의 1분기 순익은 25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8% 감소했지만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 게다가 손실흡수능력 강화를 위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에 대한 충당금 442억원을 추가 적립한 후의 수치라는 점이 더욱 돋보였다.

여기에 보통주자본(CET1) 비율이 12.0%를 기록해 31bp나 상승했는데 올해 수익성과 자본비율 개선에 역점을 두겠다는 회사 측의 계획과 의지에 신뢰도를 크게 제고한 실적으로 평가된다.

양행 합산 대출성장률은 0.5%에 그쳤지만 순이자마진(NIM)이 약 5bp 상승하면서 순이자이익이 추가 확대되었고, PF 수수료 증가로 수수료 이익도 견조하게 유지됐으며, 투자증권의 인건비 및 성과급 축소에 따라 판관비는 전년 대비, 분기 대비 모두 감소했다.

그룹 대손비용은 1660억원이었는데 추가 충당금 제외 시 약 1220억원 수준에 그쳤다. 투자증권이 흑자전환하고, 캐피탈도 이익이 증가하는 등 비은행 부문도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다.
이에 올해 BNK금융 연간 추정 순이익을 8150억원으로 상향한다. 전년 대비 29.2% 증익을 가정한 규모다. 자본비율도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하면서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 이벤트가 소폭이라도 한 차례 더 추가 진행될 공산도 커졌다고 판단한다.

그룹 연체율이 급등한 것은 비은행 PF 때문이다. 다만 연체액 대비 충당금 적립률이 60%에 달해 1분기 그룹 연체율이 0.90%로 30bp나 급등했는데 이는 대부분 비은행 PF 연체 증가에 기인한다.

부산과 경남은행 연체율이 각각 14bp와 11bp 상승하는 등 은행 연체도 증가 추세이기는 하지만 비은행 PF 연체 증가가 연체율 상승폭의 약 60%를 차지한다. 다만 현재 증권 PF 연체여신 1350억원에 대한 충당금 잔액은 약 820억원이다. 이 중 브리지론(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차입금) 연체액 1020억원에 대한 충당금 잔액이 약 720억원으로 브리지론 연체액에 대한 충당금 적립률은 70%를 상회한다.

따라서 이들 여신 모두를 경공매 진행한다고 해도 추가 손실 가능성은 크지 않다. 신용평가사에 따르면 최근 브리지론 경공매 처분 사업장의 손실률은 약 40~50% 내외로 추정된다.

부산과 경남은행 매·상각전 실질 연체가 각각 1780억원과 1230억원 순증해 은행 연체도 순증 폭이 커지고 있지만 보증·담보비율 감안 시 충당금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지는 않을 전망이다. CET1 비율 목표치 조기 달성 및 상회가 예상된다. 주주환원을 확대시킬 수 있는 여력이다.

1분기 그룹 CET1 비율 31bp 상승에는 순익 영향 30bp 외에도 위험가중자산(RWA) 감소 영향도 7bp 작용했다. 기존 대출이 감소하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 PF대출 등이 늘면서 담보·보증 위주의 대출 포트폴리오 변경 효과로 대출 증가에도 위험가중자산이 오히려 감소하는 상황이다.

BNK금융 측의 2024년과 2025년 CET1 비율 목표치는 각각 11.7%와 12.0% 수준이었는데 이를 조기 달성 및 넘어설 전망이다. 이익 안정성이 가시화될 경우 연말 이 회사의 CET1 비율은 12% 중반대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결국 배당 확대와 추가 자사주 진행 등 주주환원을 확대시킬 수 있는 여력이 확보되는 셈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애널리스트
2023 하반기 은행 부문 베스트 애널리스트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173 이재명 "윤석열 정부, 총선 결과에도 반성 안해…다시 심판해야" 랭크뉴스 2024.05.25
39172 ‘음주 뺑소니’ 김호중 때문에 난감하네...2억 들인 ‘관광 명소’ 사라질 위기 랭크뉴스 2024.05.25
39171 마지막 국회 본회의 앞두고...시민사회·야7당 “채 상병 특검법 통과시켜라” 랭크뉴스 2024.05.25
39170 홍준표 “채 상병 특검, 과도한 정치공세···찬성 운운 여당 의원 참 한심” 랭크뉴스 2024.05.25
39169 “일반 소주랑 똑같다고?”...믿었던 ‘제로 소주’의 배신 랭크뉴스 2024.05.25
39168 [현장] 인천항서 외국인 1만명 파티…'K-닭강정'에 엄지척 랭크뉴스 2024.05.25
39167 이재명 "1%p차로 무산시킬 수 없어…소득대체율 44% 수용" 랭크뉴스 2024.05.25
39166 의대교수단체들 "의대 증원 확정 보도는 오보" 랭크뉴스 2024.05.25
39165 범야권 '채상병특검 촉구' 장외집회…"尹 다시 심판" 탄핵론도 랭크뉴스 2024.05.25
39164 대통령실 "연금개혁, 쫓기듯 타결 말아야"…국힘은 여야정 협의체 제안 랭크뉴스 2024.05.25
39163 대통령실 “연금개혁 쫓기듯 해선 안 돼”… 이재명 대표 제안 거절 랭크뉴스 2024.05.25
39162 김호중 ‘구속’됐는데…팬덤 “정치 이슈 은폐 용도 아니길”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4.05.25
39161 이재명 “대통령 거부권에도 한계 있어···정신 못 차리면 국민이 항복시켜야” 랭크뉴스 2024.05.25
39160 세계유산 추진중인 일본 사도광산 가보니…강제동원 역사는 어디로? [창+] 랭크뉴스 2024.05.25
39159 파푸아뉴기니서 산사태 구조 시작‥현지 매체 "300명 사망" 랭크뉴스 2024.05.25
39158 與, 이재명 연금개혁 회견에 "구조개혁 쏙 빼고 사실왜곡"(종합) 랭크뉴스 2024.05.25
39157 李 “與 연금안 전격 수용”…국힘·용산 “쫓기듯 타결 안 돼” 랭크뉴스 2024.05.25
39156 5년 된 옷 찢고 붙이니 '작품' 됐다…업사이클 패션 인기, 왜 랭크뉴스 2024.05.25
39155 “우리집 댕댕이와 함께”…편도 800만원 비행기 타볼까 랭크뉴스 2024.05.25
39154 최재형 “채 상병 특검법 당당히 받아야”···여당 내 4번째 공개 찬성 랭크뉴스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