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초선들, 5월30일 국회 개원 앞 의지 표명
다른 야당·시민사회와 원외투쟁도 이어갈 듯
더불어민주당 소속 22대 총선 초선 당선자들이 10일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채상병 특검 관철을 위한 비상행동 선포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22대 총선 초선 당선자들이 10일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특검법’(채 상병 특검법) 수용을 요구하며 천막 농성을 시작했다. 여당 일각에서도 전날 채 상병 특검법에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뜻을 밝힌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전향적인 태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민주당 초선 당선자 60여명은 이날 오전 국회 본청 앞에서 ‘채 해병 특검 관철을 위한 비상행동 선포식’을 열었다. 발언에 나선 박희승 당선자(전북 남원·장수·임실·순창)는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채 해병을 둘러싼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국민에 대한 도전”이라며 “국민은 회초리를 넘어 윤 정권을 뿌리째 뽑아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채 해병 특검법은 국민의 명령’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든 초선 당선자들은 결의문에서 “(윤 대통령이) 셀프 면죄부를 통해 진실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제라도 책임 있는 태도로 채 상병 특검을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22대 국회의원 당선자들의 공식 임기는 오는 30일부터다. 임기 시작 전인데도 이들이 천막 농성까지 벌인 것은 정부·여당에 채 상병 특검법 수용을 강하게 요구한다는 의미와 함께, 국회 개원 뒤에도 쟁점 사안에선 대여 강경 노선이 이어질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은 윤 대통령이 특검법 수용 여부를 결정할 때까지 국회 본청 옆에서 10여명씩 조를 이뤄 천막 농성을 이어갈 예정이다. 오는 13일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을 찾아 특검법 수용 촉구 기자회견도 연다.

민주당은 채 상병 특검법 관철을 위해 다른 야당, 시민사회와 대규모 원외 투쟁에도 나선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의당·조국혁신당·개혁신당 원내대표와 각각 만나, 오는 25일 시민사회와 함께 채 상병 특검법 재의결을 위한 범국민 대규모 집회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채 상병 특검 수용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 대규모 여론전을 통해 정부·여당을 압박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이 이날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를 보면, 응답자의 57%가 특검을 ‘도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대 의견은 29%였다. 보수층에서도 43%가 특검 도입에 찬성 의사를 보였다.

여당 내에서도 윤 대통령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에스비에스(SBS) 라디오에서 “(채 상병 사건이) 점점 장기화되고 있으니, (윤 대통령이) 더 전향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국방안보는 보수의 가장 핵심적인 가치”라며 “정면 돌파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조금의 불리함이 있다고 하더라도 당당하게 돌파하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 재표결 시 찬성표를 던질 것을 시사한 것이다. 그는 ‘당론으로 부결이 결정되어도 찬성표를 던지겠느냐’는 물음에는 “(국회의원은) 헌법기관으로 각자의 소신대로 행동할 수밖에 없다”며 “당론보다 더 중요한 (것이) 보수의 가치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용태 당선자(경기 포천·가평)는 문화방송(MBC) 라디오에서 “특검에 반대한다”면서도 “(수사단장이었던) 박정훈 대령이 하려던 행동들이 (억울한 죽음을 질책하고, 재발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한) 대통령의 초심과 어긋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한다. 여당 국회의원들도 박 대령 건에 대해 입장을 내고 다시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791 스무살 넘는 고양이 흔하다? 기대수명은 훨씬 짧은 ‘11.7년’ 랭크뉴스 2024.05.10
21790 '전기료 3차례 인상' 한전, 3개 분기 연속 흑자 랭크뉴스 2024.05.10
21789 불난 전기차 문 안 열려 일가족 사망했는데…中 업체의 '황당 해명' 랭크뉴스 2024.05.10
21788 "부끄럽다" '역풍'맞더니 "재표결하면 당당하게‥" 랭크뉴스 2024.05.10
21787 현대엔지니어링, 무안군 아파트 대규모 하자에 “깊은 사과” 랭크뉴스 2024.05.10
21786 또 무분별하게 퍼진 ‘유튜브 살인 영상’···모방범죄, 피해자 인권침해 우려 랭크뉴스 2024.05.10
21785 ‘취임 2주년’ 尹, 청계천·시장골목 찾아 “물가 잡겠다” 랭크뉴스 2024.05.10
21784 강남역 '교제살인' 의대생 프로파일러 면담…'사이코패스' 검사는 안 해 랭크뉴스 2024.05.10
21783 ①내말대로 해 ②너 때문이야 ③나 버리지마... 교제폭력엔 '전조증상' 있다 랭크뉴스 2024.05.10
21782 네이버 ‘라인 로그아웃’ 직전에야…정부, 일본에 ‘뒷북’ 유감 표명 랭크뉴스 2024.05.10
21781 ‘라인야후’ 사태 한·일 외교전으로… 韓 정부 “경영권 이미 소프트뱅크에 넘어가… 日 정부에 유감”(종합) 랭크뉴스 2024.05.10
21780 "할아버지가‥" CCTV에 경악, 7살 딸 엄마의 호소 "제발‥" 랭크뉴스 2024.05.10
21779 입 연 류준열 “사생활” 배성우 “죄송”…논란으로 뜨거웠던 ‘더 에이트 쇼’ 현장 랭크뉴스 2024.05.10
21778 尹 '취임 2주년' 지지율 24%… 박근혜·노태우보다 낮은 역대 최하위[한국갤럽] 랭크뉴스 2024.05.10
21777 홍준표 "윤 대통령은 부득이 모시지만, 한동훈 용서 어려워" 랭크뉴스 2024.05.10
21776 제주4·3 ‘총살 거부’ 문형순 서장 호국원 안장…94살 생존자 참석 랭크뉴스 2024.05.10
21775 [메아리] 월 700만원도 중산층이 아닌 이유 랭크뉴스 2024.05.10
21774 현장행보 재개한 尹대통령, 일성은 "장바구니 물가 잡기"(종합) 랭크뉴스 2024.05.10
21773 "24시간 폰 켜두고, 주말 쉴 생각마" 희생 강요 부사장의 최후 랭크뉴스 2024.05.10
21772 전두광 이어 또 욕망캐 맡았다…황정민, 2년만에 연극 복귀 랭크뉴스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