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3일 총선 때 자신을 도운 당직자들과 만찬을 하며 찍은 기념사진. 유튜브 어벤저스전략회의 캡처


“특정 정치인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는 나경원 당선인의 추후 정치 행보와 무관합니다.”

차기 당대표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나경원 서울 동작을 당선인 측이 10일 언론에 공지한 글이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출마할 경우 나 당선인도 등판할 것이란 언론 보도에 반박하는 차원이다.

‘한동훈 등판설’이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거를 앞두고 태풍의 눈이 됐다. 한 전 위원장 본인은 가타부타 말이 없는데 주변에서 출마 여부와 그에 따른 여파까지 셈을 하고 있다. 나 당선인의 반박도 그 연장선에서 나왔다. 당내에선 한 전 위원장이 출마할 경우 나 당선인이 당대표 선거를 포기할 것이란 얘기가 돌았다.

한동훈 등판설이 힘을 얻은 건 당초 ‘6말7초’로 예상됐던 국민의힘 전당대회 시기가 늦춰지면서다. 황우여 신임 비대위원장이 한 달 가량 전대가 미뤄질 수 있다고 발언한 것이 계기다.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로 나서기 어려운 건 총선 패배 책임론 탓인데, 전당대회 시점이 총선과 멀어지면 패배자·책임자 이미지가 희석된다는 분석이 당내에선 나왔다. 한 전 위원장 책임론이 명시될 ‘총선 백서’ 역시 출간 시기가 6월 말로 예정돼 있어 ‘7말8초’ 전당대회까지는 영향을 주기 어렵단 진단이다.

전당대회 룰(규칙) 개정 가능성도 한 전 위원장에게 유리한 여건이란 분석이 많다. 현행 ‘당원 투표 100%’ 적용 방식인 전대 룰이 적용된 건 지난해 3월 전당대회를 앞둔 시점으로, 당시 당대표 선거는 ‘윤심’(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후보로 거론되며 친윤석열계의 전폭적 지지를 받은 김기현 의원의 승리로 끝났다. 반면 인지도 높은 한 전 위원장은 민심(일반 여론조사) 반영 비율이 높을수록 유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전 위원장 본인의 최근 행보도 대표 출마 전망에 힘을 싣는 근거가 되고 있다. 4·10 총선 이후인 지난달 16일엔 ‘한동훈 비대위’ 비대위원들과 만찬을 함께 했고, 지난 3일엔 당직자들과 만찬 하며 “정기적으로 보고 교류하자”고 말한 사실이 알려졌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오찬 제안은 건강상 이유를 들며 거절했고, 이후 따로 만날 계획도 잡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차기 권력으로서 패배한 현 권력과 선 긋기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반면 한 전 위원장이 여전히 각종 여론조사에서 보수 진영 차기 지도자 1위로 거론되는 만큼 전당대회를 빨리 치르는 게 오히려 유리하다는 의견도 있다. 민심 반영 비율을 높이는 전대 룰 개정도 한 전 위원장보다는 유승민 전 의원, 안철수 의원 등 비윤석열(비윤)계 당권 주자에게 유리할 거란 분석이 있다.

친윤석열(친윤)계는 전대 시기가 미뤄지는 걸 원치 않는 분위기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이철규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TV 인터뷰에서 “황우여 위원장을 모실 때 이번 비대위는 빨리 당원 뜻에 따르는 지도부를 선출하는 것으로 관리하는 비대위 성격이었다”며 “빨리 정상화하는 것이 좋겠다”고 답했다. 전대 룰 개정과 관련해서도 그는 “바꿀 필요가 있다면 바꿔야겠지만 바꾸는 주체는 관리형 비대위가 아니라 당 총의로 선출된 지도부가 당원 뜻을 물어 바꾸는 것이 옳지 않겠느냐”며 이번 선거를 앞두고 변경하는 데 반대 의사를 표했다.

이 의원은 총선 전 비례대표 후보 인선과 관련해 한 전 위원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윤재옥 전 원내대표도 퇴임 기자간담회에서 황 위원장을 향해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압박했다.

총선 전후로 한 전 위원장을 거듭 비판해 온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선출되지 않고 임명직에 불과한 전당대회 관리 위원장인 비대위원장이 (전대룰이 규정된) 당헌·당규에 손대는 건 월권”이라고 말했다. 황 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누구 특정인을 뭐 한다, 이런 건 아니다”라며 한 전 위원장 출마 여부와 전대 시기 조정은 무관하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7031 IAEA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승인된 계획 따라 진행 중" 랭크뉴스 2024.04.28
27030 2018년 태풍 광양 비닐하우스 침수피해 농어촌공사도 20% 책임 랭크뉴스 2024.04.28
27029 전국 대체로 맑음…낮 최고 30도 안팎으로 올라 더워 랭크뉴스 2024.04.28
27028 "악취 진동" 신고에 출동하니 고양이 사체 수십마리에 벼룩·기생충 '바글바글' 랭크뉴스 2024.04.28
27027 돼지만도 못한 '청룡'…2월 출생아도 2만명 붕괴[송종호의 쏙쏙통계] 랭크뉴스 2024.04.28
27026 바이든표 가져갈 줄 알았는데…트럼프, 무소속 출마 케네디 견제 랭크뉴스 2024.04.28
27025 부자들은 올해 '이것' 투자 고려한다…예금·채권도 '인기' 랭크뉴스 2024.04.28
27024 "6선 주호영 임시 의사봉?"…野 걱정하는 의장 선출 시나리오 랭크뉴스 2024.04.28
27023 21대 국회 마지막 한달까지 강대강 대치…22대 예고편 되나 랭크뉴스 2024.04.28
27022 타이태닉호 탑승객 중 최고 부자 금시계 경매 나온다 랭크뉴스 2024.04.28
27021 한반도 절반이 물에 잠긴다면···롯데타워·강원도가 ‘강자’ 됐다[오늘도 툰툰한 하루] 랭크뉴스 2024.04.28
27020 尹대통령 만나는 이재명, 민생·정치 현안 '선명성' 부각할까 랭크뉴스 2024.04.28
27019 타이태닉호 탑승객 중 최고 부자 금시계 경매 나온다…예상가는 랭크뉴스 2024.04.28
27018 천연기념물 목숨 앗아간 ‘번쩍번쩍 유리창’···충돌방지 조치는 ‘미완성’ 랭크뉴스 2024.04.28
27017 ‘릴스·숏츠’ 끊고 책읽고 명상하는 사람들···‘도파민 디톡스’ 시대가 왔다 랭크뉴스 2024.04.28
27016 11년 전 푸틴 인천 방문한 이유…한반도에 반복되는 바랴크史 [Focus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4.04.28
27015 "월 324만 원 준비됐나요"... 은퇴 후 부부 생활비 지금 계산해야[부자될 결심] 랭크뉴스 2024.04.28
27014 맥도날드 탐낸 맘스터치의 전략…일본에 가선 '가성비' 택했다 [비크닉 영상] 랭크뉴스 2024.04.28
27013 이 얼굴이 60세? 충격의 미인대회 우승자…"변호사∙기자로 활동" 랭크뉴스 2024.04.28
27012 지하철에서 유튜브만 보나요... "책 읽는 인구, 이러다 멸종" 랭크뉴스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