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마포구 내부순환로 성산 진입로에 9일 내부순환로 시작 지점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붙어 있다. 강한들 기자


서울 동대문구는 최근 관보인 ‘구보’를 통해 오는 10일까지 ‘내부순환로’의 새 도로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마포구·서대문구·종로구·성북구·동대문구·성동구를 지나는 ‘내부순환로’를 ‘내부순환고가도로’로 바꾼다는 내용입니다. 서울시민이라면 대부분 들어봤을 내부순환로에 굳이 이름을 다시 붙여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혹시 멀쩡한 보도블록을 교체하듯, 표지판도 바꾸며 예산 낭비를 하지는 않을까요? 경향신문이 따져봤습니다.

‘이름’보단 ‘주소’ 부여에 초점

지도에서 내부순환로를 검색해보면 23㎞가 넘는 도로가 모두 한 덩어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특정 지점의 주소도 알기 어려워요. 이러면 화재·교통사고 같은 긴급사고가 났을 때 소방·경찰이 현장에 출동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소방·경찰은 출동할 때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데, 주소가 있는 고가도로 아래 지점으로 도착지점이 설정된다면 혼란이 커질 수 있어요.

이런 이유로 2020년 12월 개정돼 2021년 6월부터 시행된 도로명주소법에는 고가도로, 지하도로와 같은 ‘입체 도로’에도 주소를 정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기존에는 주소가 지상 도로에만 있었어요. 한국국토정보공사(LX)에서 길이 250m 이상 입체 도로의 길이, 폭 등 기본 정보를 측량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면, 이를 넘겨받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새 도로명과 주소를 부여하는 식입니다. 이름만 들어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고가도로’ ‘지하도로’라는 말을 도로명에 꼭 포함하도록 했어요. 20m 간격으로 기초번호도 붙입니다.

기자가 탄 택시가 9일 서울 성북구 인근에서 내부순환도로를 빠져나오고 있다. 택시 운전사 A씨는 “내비게이션 오류로 길을 잘못 들면 15분 이상 지체되는 경우도 많아 불편하다”고 말했다. 강한들 기자


정부는 입체 도로에 도로명 주소를 붙이는 게 안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도로의 시설물 등에도 주소를 붙여서 특정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하기 편할 거라는 겁니다. 박재호 행정안전부 사무관은 기자와 통화하며 “기초 번호, 시설물 주소 등을 이용하면 소방·경찰·보험사 등이 내비게이션에 입력하기 편해서 접근하기 편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작업은 미래에 자율주행차가 많아질 때를 대비하는 측면도 있어요. 행정안전부가 지난 4월 만든 주소정책 설명자료를 보면 ‘주소 기반 신산업모델 개발’ 사업이 있어요. 여기에는 드론 배송, 자율주행 로봇 배송, 자율주행차 등이 포함됐습니다. 박 사무관은 “자율 주행은 내비게이션을 기본으로 하고, 향후 무인 택배·로봇 등도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끔 만들자는 취지”라고 말했습니다.

서울 내부순환로 정릉천 고가도로 구간의 일부 교량에 안전 결함이 발견돼 2016년 2월 22일 0시부터 성북구 길음IC에서 성동구 성동분기점까지 7.5km 구간이 약 한달 동안 전면 폐쇄됐다. 김창길 기자


그러면 표지판도 바꾸는 겁니까?

그렇다면 앞으로는 ‘내부순환로’를 ‘내부순환고가도로’로 바꿔서 불러야 할까요? 표지판도 교체할까요? 그렇지는 않다고 해요. 서울시 관계자는 “지금 붙어 있는 시설물의 명칭을 바꾸는 절차는 아니”라며 “내비게이션, 자율주행에 활용되기 시작하면 시민들이 인지할 수 있게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어요.

서울시는 오는 29일 시 주소정보위원회를 열고 내부순환로 도로명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내부순환로 말고도 지하철 충정로역과 시청역 인근을 잇는 서소문 고가, 노원지하차도 등에도 도로명 주소를 붙이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때마다 각 기초지자체, 서울시는 도로명 부여에 대한 의견 수렴을 하는데, 혹시나 지금보다 더 좋은 도로명 제안이 있다면 도로명이 바뀔 가능성도 있어요.

하지만 서울시는 도로의 이름 자체가 바뀔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하고 있어요. 서울시 관계자는 “의견 수렴후 서울시 주소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칠 때 시민들이 익숙한 기존 명칭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도로명이 선택된 사례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075 ‘명품백 의혹’ 위법성 인식 없이 ‘사과’만…특검엔 “정치 공세”[윤 대통령 2주년 회견] 랭크뉴스 2024.05.10
21074 "3만원 밀프렙, 1주 버텨"…코로나 때보다 문닫는 식당 늘었다 랭크뉴스 2024.05.10
21073 국내 반도체 웨이퍼 핵심기술 中업체 넘긴 산업스파이들 징역형 랭크뉴스 2024.05.10
21072 '살인 의대생'으로 주목받는 의사 되기 조건... 복역 5년 후면 시험 응시 랭크뉴스 2024.05.10
21071 '명품백' 첫 사과‥'여사 특검'엔 선 그어 랭크뉴스 2024.05.10
21070 올여름 코로나 재유행? 변종 'FLiRT' 확산 공포…증상은 랭크뉴스 2024.05.10
21069 지뢰로 다리 잃은 15세 미얀마 소녀의 절규…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아세안 속으로] 랭크뉴스 2024.05.10
21068 17개 뼈 골절에도 살아남은 그녀…남편이 절벽 밑으로 밀었다는데 왜? 랭크뉴스 2024.05.10
21067 아이브 뜨자 고성∙욕설 터졌다…난장판 된 대학 축제,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10
21066 11개월 아기 아파트 24층 추락사…친고모, 현행범 체포 랭크뉴스 2024.05.10
21065 美 221년만에 매미 1조 마리 몰려온다…매미 김치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4.05.10
21064 코끼리만한 느림보 동물은 왜 100미터 땅굴을 팠을까[멸종열전] 랭크뉴스 2024.05.10
21063 美국방부 "우크라이나 지원 품목은 한국이 스스로 밝힐 일" 랭크뉴스 2024.05.10
21062 윤 대통령의 속마음은 무엇일까?[인터랙티브] 랭크뉴스 2024.05.10
21061 ②인원 부족에 이송·처치 주 업무 아닌 ‘진압’ 맡겨…위험천만[영웅들은 왜 돌아오지 못했나] 랭크뉴스 2024.05.10
21060 하이브 ‘민희진 쫓아내기’ 향방은…어도어 이사회 열려 랭크뉴스 2024.05.10
21059 [K-농업외교]② 대관령을 닮은 캄보디아 몬둘끼리에 전해지는 韓 농기술 랭크뉴스 2024.05.10
21058 "라인야후 사태, 소송 갈 수 있는 사안"... 일본 소프트뱅크도 네이버 압박 랭크뉴스 2024.05.10
21057 의대생, 부모 통화 뒤에야 “약 놓고 와”…피해자 80분 만에 발견 랭크뉴스 2024.05.10
» »»»»» 서울시민 다 아는 ‘내부순환로’, 이름을 다시 붙인다고?[설명할경향] 랭크뉴스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