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본 정부·라인야후 이어 삼각 압박 가세
총무성 '분노', 자민당 "일본 인프라여야"
"7월 지분 조정 목표… 협상 난도 높아"
미야카와 준이치 일본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가 9일 2024회계연도 3월 결산 설명회에서 실적을 발표하고 있다. 소프트뱅크 유튜브 캡처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LINE)' 운영사 라인야후의 대주주 소프트뱅크가 9일 라인 사태와 관련해 "네이버가 지금처럼 라인야후의 모기업이 아니었다면 소송까지 갈 수도 있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일본 총무성의 '자본 관계 재검토' 행정지도를 정당화하며 네이버와 지분을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것이다. 라인야후가 전날 '네이버와의 결별'을 공식화한 데 이어 소프트뱅크, 일본 정부, 라인야후가 삼각 편대로 네이버 압박을 강화하는 모양새다.

"소프트뱅크·네이버, 지분 조정 합의 못해"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2023 회계연도 실적 발표 결산 설명회에서 "네이버와 지분 조정에 대해 협의하고 있지만, 현시점에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네이버가 대주주라서 생긴 문제라고 주장했다. 미야카와 CEO는 '네이버와의 기술 위탁 관계를 정리하면 지분 비율까지 조정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에 "
만약 (위탁업체와의) 자본 관계가 지금과 다른 상황에서 같은 이슈가 발생하면 소송까지 갈 수 있는 사안"이라며 "(네이버와 라인야후가) 모기업과 자회사 관계인 점이 행정지도의 시작이었다"
고 말했다.

일본 도쿄의 한 시민이 9일 도쿄 미나토구에 있는 소프트뱅크 본사 앞을 지나가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는 일본 총무성 입장과 일치한다. 총무성은 지난 3월 5일과 지난달 16일 두 차례 행정지도를 내렸는데, 라인야후가 위탁업체이자 대주주인 네이버에 대한 관리·감독을 할 수 없다고 판단해서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총무성은 위탁업체가 대주주인 경우 정보 관리 강화를 요구하기 어렵다고 봤다"며 "네이버와 라인야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은 물론,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고 압박한 이유"라고 전했다.

라인야후의 대주주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50%씩 출자해 설립한 'A홀딩스'로, 사실상 네이버, 소프트뱅크가 대주주다. 총무성은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라인야후에서 약 52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한 뒤 라인야후의 안전 관리 대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네이버의 대주주 지위 변경 필요성을 제기했다. 아사히는 "
안전 관리 대책에 대한 구체성이 없어 (라인야후가) 총무성을 분노하게 했다
"고 보도했다.

"기술 격차에 네이버 의존도 줄이기 어려워"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네이버 본사 모습. 연합뉴스


소프트뱅크의 압박은 일본 정부, 라인야후의 지원을 발판 삼아 네이버와의 지분 조정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야카와 CEO는 "(총무성이 라인야후에 개선책을 제출하라고 정한 시한인) 7월 1일을 (협상 타결) 목표로 한다"면서도 "협상 난도가 높아 생각보다 오래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소프트뱅크와 네이버 CEO 선에서 1 대 1 협상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야카와 CEO는 "
두 회사의 CEO 간 논의에서는 '어떻게든 해결하자'는 같은 인식을 갖고 있다"며 "네이버가 협상에 소극적이지 않다"
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일본 정부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라인야후를 '완전한 일본 기업'으로 만들려고 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아사히는 집권 자민당 일부 의원의 발언을 인용해 "'(라인야후는) 명실공히 일본 인프라가 아니면 안 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지분 조정을 해도 네이버 의존도를 줄이는 것은 쉽지 않다고 분석한다. 일본의 디지털 정책 전문가인 사토 이치로 국립정보학연구소 교수는 아사히에 "라인야후가 기술 혁신을 추진하고 있지만, 네이버와의 기술력 격차가 커 1, 2년 안에 (격차를) 메울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970 미 LA서 경찰 총격에 한인 사망‥과잉 진압 논란 랭크뉴스 2024.05.05
21969 목숨 잃을 때마다 대책 나왔지만…스쿨존 지금은? [현장K] 랭크뉴스 2024.05.05
21968 장발에 광선검 든 이정재…"춤추듯 액션" 스타워즈 동료 극찬 랭크뉴스 2024.05.05
21967 “배우해도 되겠네”… 임영웅, 신곡 뮤비 ‘온기’ 선공개 랭크뉴스 2024.05.05
21966 김의장, '중립 불필요' 野 주장에 "공부해보면 부끄러울 것" 랭크뉴스 2024.05.05
21965 미성년 자녀 권리 강화하는 ‘정인이법’, 정쟁 속 또 폐기 위기 랭크뉴스 2024.05.05
21964 영국 언론 "가부장제와 싸우는 '민희진'… 한국 젊은 여성 사로잡다" 랭크뉴스 2024.05.05
21963 러, 우크라 동부서 확장…오체레티네도 장악 랭크뉴스 2024.05.05
21962 정부 전산망, 이번엔 개인정보 유출…‘정부24’서 1200건 문서 오발급 랭크뉴스 2024.05.05
21961 여 원내대표 경선 ‘3파전’…민주 4파전 구도 속 ‘변수’ 촉각 랭크뉴스 2024.05.05
21960 "민희진, 韓 젊은여성의 영웅 됐다" 외신이 꼬집은 하이브 논쟁 랭크뉴스 2024.05.05
21959 메마른 땅에 '인공 단비' 가능할까?‥"선진 기술로 재난에 맞선다" 랭크뉴스 2024.05.05
21958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 3파전‥윤심은 어디로? 랭크뉴스 2024.05.05
21957 이스라엘, 자국 내 알자지라 방송 폐쇄… 네타냐후 “만장일치 결정” 랭크뉴스 2024.05.05
21956 “어린이날에 아동 성착취 판넬이”…경찰, 킨텍스 전시 수사 랭크뉴스 2024.05.05
21955 KF-21 핵심기술 빼간 인니 "6000억만 내겠다"…韓 "검토 중" 랭크뉴스 2024.05.05
21954 [단독] "사이버상 허위조작 정보 대응, 정부 주도 아닌 민간이 우선" 랭크뉴스 2024.05.05
21953 영국 FT가 본 '민희진 현상'…"한국 여성들에게 민희진은 K팝 가부장제와 싸우는 젊은 여성" 랭크뉴스 2024.05.05
21952 협상장 나온 하마스에 네타냐후 "종전은 수용 못해" 랭크뉴스 2024.05.05
21951 영국 FT까지 조명한 '민희진 현상'…"K팝 가부장제와 싸우는 젊은 여성" 랭크뉴스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