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질문 충분히 받겠다”…2명 질문 추가로 받아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자주 만나니까 좋지요, 오랜만에 하는 거니까 오늘은 질문 충분히 받도록 하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2주년(5월10일)을 맞아 9일 연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문을 연 뒤 질문을 받았다. 2022년 8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 뒤 631일만의 회견에서 윤 대통령은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이려 힘을 쏟았다. 그러나 이날 윤 대통령이 드러낸 인식은 4·10 총선 여당 패배 뒤 ‘국정 운영 기조는 옳다’고 한 데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대통령은 오전 10시 집무실에서 ‘윤석열정부 2년 국민보고’라는 이름으로 약 22분간 생중계 담화를 진행하고, 기자회견장으로 이동해 약 73분간 20명의 기자들의 질문에 답했다. 취임 100일 회견 때 20분간 머리발언을 하고 34분 동안 12개의 질문을 받았던 것과 견줘 문답 분량이 늘었다.

기자회견은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이 사회를 보고 손을 든 기자들을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사전에 질문 조율 없이 정치 현안, 외교·안보, 경제, 사회 분야로 나눠 관련 질문을 받았다. 18명이 질문한 뒤 김 대변인이 기자회견을 마무리하려 하자 윤 대통령은 “한 분만 더 하자”고 해 2명의 질문을 추가로 받았다. 외교·안보 관련 질문은 4명 모두 외신 기자들만 지목됐고, 경제 분야 역시 경제지 기자만 질문 기회를 받았다. 윤 대통령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김건희 여사 의혹 관련 질문 등에는 굳은 표정을 짓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봄은 깊어 가는데, 민생의 어려움은 쉬 풀리지 않아 마음이 무겁고 송구스럽다” “제가 부족한 부분이 뭐였는지 좀 고민을 많이 했다” 등의 발언을 하며 자세를 낮추고 ‘불통 이미지’를 불식시키려 했다. 윤 대통령은 총선 패배의 원인을 묻는 첫 질문에도 “총선은 먼저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동안 제가 국정운영해온 것에 대해 국민들의 평가가 ‘많이 부족했다’는 것이 담긴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민생에 있어서 아무리 노력했더라도 국민들께서 체감하는 변화가 많이 부족했다”고 답하며, 지난달 16일 국무회의에서 밝힌 ‘최선을 다했지만 모자랐다’는 입장과 유사한 인식을 드러냈다. ‘국정기조를 전환할 것이냐’는 질문에도 윤 대통령은 “시장경제와 민간 주도 시스템으로 우리의 경제 기조를 잡는 것은 헌법 원칙에 충실한 것이라고 저는 생각한다. 고칠 것은 고치고 또 일관성을 지킬 것은 지키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야당과의 협치에 대해 “제가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만났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분위기가 확 바뀌고 협치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협치라는 것이 한술밥에 배부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협치를 위해서 노력하는 자세, 또 절대 이 협치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자세, 이런 것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방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014 '포스트 한동훈' 뽑는 與전대에 韓등판론?…복귀설 시나리오 셋 랭크뉴스 2024.05.06
22013 보성 267.5㎜…전남 곳곳서 5월 강수기록 경신 랭크뉴스 2024.05.06
22012 女心 공략 나선 보험사... 여성 전용 상품 쏟아진다 랭크뉴스 2024.05.06
22011 [단독] “월 4만원에 해외여행 가능”… 적립식 여행사 먹튀에 800명 뒤통수 랭크뉴스 2024.05.06
22010 "의대 못 간 낙오자 취급 마세요"… 이공계 인재 등 떠미는 대한민국 랭크뉴스 2024.05.06
22009 시진핑, 프랑스·세르비아·헝가리 방문…미국·유럽 견제에 활로 찾기 랭크뉴스 2024.05.06
22008 인도네시아 소롱 남쪽 바다서 규모 6.2 지진 발생 랭크뉴스 2024.05.06
22007 "페루 국민 자부심 1위는 음식문화, 수치 1위는 국회" 랭크뉴스 2024.05.06
22006 [삶을 삼킨 전세사기] 가해자 처벌했지만… 보증금과 함께 사라진 미래 랭크뉴스 2024.05.06
22005 챗GPT 개발사 오픈AI 최고경영진 2명 한꺼번에 사임 랭크뉴스 2024.05.06
22004 아르헨 밀레이, 밀컨 포럼 참석차 취임 5개월만에 4번째 방미 랭크뉴스 2024.05.06
22003 “민희진, 가부장제와 싸우는 영웅돼”…외신이 본 하이브 사태 랭크뉴스 2024.05.06
22002 日 라인-소뱅, 이번주 실적발표… 애타는 네이버 ‘쫑긋’ 랭크뉴스 2024.05.06
22001 ‘체포영장’ 젤렌스키, 부활절 맞아 “신은 어깨에 우크라 국기 달아” 랭크뉴스 2024.05.06
22000 “범죄도시 해도해도 너무하다”…영화계서 터진 쓴소리 랭크뉴스 2024.05.06
21999 "밀레이 약물", "산체스 경제파탄"…스페인·아르헨 설전 랭크뉴스 2024.05.06
21998 공수처, ‘VIP 격노’ 발언 김계환 조사 랭크뉴스 2024.05.06
21997 "내 남편과 바람폈지" 양손에 흉기 든 50대女…테이저건 제압 랭크뉴스 2024.05.06
21996 중국 광둥성, 연휴에 물폭탄…3,300명 긴급대피 랭크뉴스 2024.05.06
21995 2029년엔 비로 산불 막는다…인공강우 어디까지 왔나? 랭크뉴스 202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