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체적 가격 거론…“금액 차 커서 불투명”
소프트뱅크 내부선 “매입 실익없다” 기류도
일 정부 ‘행정지도’로 헐값 거래 가능성도
양국 외교 문제로 확대 가능성 낮게 전망
일본 신주쿠에 위치한 라인 사무실 모습. 일본어판 라인-에이치알(HR) 블로그 갈무리

일본 정부의 압박으로 소프트뱅크가 네이버와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Line) 서비스를 운영하는 라인야후의 지분매각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구체적인 금액까지 거론되는 단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위탁 종료, 한국인 이사 배제에 이어 지분매각 협상이 본격화되는 등 라인야후의 ‘탈 네이버’는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9일 관계자를 인용해 “(협상에서) 소프트뱅크가 네이버로부터 일정 수의 (라인야후의 중간 지주회사인) 에이(A)홀딩스 주식을 추가로 취득하는 등의 안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며 “다만 금액에서 차이가 커 (협상)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

소프트뱅크가 최대 주주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한 이번 협상에서 매입 주식 비중과 금액까지 논의 테이블에 올라온 것으로 보인다. 라인야후 주식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설립한 합작법인인 에이홀딩스가 약 65%를 보유하고 있다. 소프트뱅크와 네이버는 라인야후의 중간 지주회사인 에이홀딩스에 각각 50%씩 출자하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네이버로부터 주식을 인수해 독자적인 대주주가 되면, ‘공동 경영권’ 체제가 무너지면서 네이버의 영향력은 상당히 저하된다.

다만 협상에 나선 소프트뱅크에서도 네이버로부터 지분을 매입하는 것이 크게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는 등 부정적인 기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사히신문은 관계자를 인용해 “소프트뱅크 쪽에선 (지분) 추가 매입에 메리트가 보이지 않는다”, “기술적인 재발 방지책을 만들 수 있다면, 자본 관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분위기가 있다고 전했다. 에이홀딩스의 지분을 네이버와 절반씩 보유하고 있긴 하지만, 일본에서 하는 사업인 만큼 이사회 구성 등 경영권은 사실상 소프트뱅크가 주도하고 있다. 또 지분을 사려면 상당한 자본이 필요한 것도 부담이다. 소프트뱅크가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를 활용해 싼 값에 네이버 지분을 매입하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

네이버의 지분매각은 일본 정부와 정치권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을 대표하는 ‘국민 메신저’인 만큼, 지분을 정리해 완벽하게 일본 기업화시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아사히신문은 “라인 앱은 약 9600만명의 이용자가 있다. 자민당 일부 의원들은 명실상부한 일본의 인프라로 삼아야 한다”며 “경제안보상 중요성 때문에 엄중한 조처를 요구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총무성이 소프트뱅크에도 자본 관계의 재검토를 요청했다. 소프트뱅크가 자본적 관여를 강화하면 네이버 의존 관계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즉 일본 정부가 행정 지도 대상인 라인야후뿐만 아니라 소프트뱅크를 상대로 네이버의 지분을 매입하라고 사실상 압박했다는 뜻이 된다.

일본 매체인 ‘비지니스 인사이더’는 “국민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이용하는 메시지 서비스에 해외 자본이 들어와 기술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총무성은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총무성이 (개인정보유출에 따른) ‘보완 대책’을 요구한다는 명목으로 ‘네이버 자본과의 분리’를 소프트뱅크가 이행하도록 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에 대한 두 번의 행정 지도(3월5일, 4월16일)에서 ‘네이버와 자본 관계 재검토’라는 표현이 “지분매각 강요가 아니다”라고 밝힌 것은 눈속임에 불과했던 셈이다.

문제는 윤석열 정부의 안일한 태도다. 일본에선 라인야후 사태가 한-일 외교 문제로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 외교부가 ‘한국 기업에 대한 차별적 조치가 있어서는 안 된다’는 확고한 입장을 표명했다”면서도 “한-일 간에 소통이 잘 되고 있다고 밝히는 등 양국 간 외교 문제로 발전하는 사태는 피하겠다는 뜻도 내비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530 하마스, 이스라엘군의 라파 압박 속 51세 인질 영상 공개 랭크뉴스 2024.05.11
24529 가로수가 택시 덮치고 파라솔에 행인 다쳐…강풍 피해 속출(종합) 랭크뉴스 2024.05.11
24528 ‘합의 불발’ 국민연금 개혁…22대 국회로 넘어가나 랭크뉴스 2024.05.11
24527 새벽까지 강한 비 내린다...전국 황사·미세먼지 영향권 랭크뉴스 2024.05.11
24526 “대통령 거부권? 우리에겐 저항권”…채상병 특검법을 원한다 랭크뉴스 2024.05.11
24525 입원 중인 이재명 “이토 히로부미 손자 ‘라인’ 침탈…정부는 멍” 랭크뉴스 2024.05.11
24524 북 해킹조직, 국내 법원 전산망 침투…“2년간 1천GB 빼갔다” 랭크뉴스 2024.05.11
24523 강풍이 몰고온 비, 일요일 오전 그쳐…수도권 미세먼지 ‘나쁨' 랭크뉴스 2024.05.11
24522 "당황해서 핸들 꺾었다"…강남 아파트 덥친 외제차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5.11
24521 사실혼 관계 여성 집에 불 지르고 도주한 남성 구속 랭크뉴스 2024.05.11
24520 이스라엘군 내부고발자의 폭로 "팔레스타인 주민 고문" 랭크뉴스 2024.05.11
24519 중국서 먹은 음식 '중독성'있더니…내가 먹은 것도 '이것' 들어갔나? 랭크뉴스 2024.05.11
24518 “베컴도 단골”…美 뉴욕서 대박 났다는 한국식당 랭크뉴스 2024.05.11
24517 "자전거 피하려다" 가게 안으로 차량 돌진‥강풍 사고도 잇따라 랭크뉴스 2024.05.11
24516 ‘부정 청탁·조세 포탈’ 의혹 현직 검사장 “사실무근” 랭크뉴스 2024.05.11
24515 산케이 "사도광산 세계유산, 한국 정부 우호적 변화 조짐" 랭크뉴스 2024.05.11
24514 외교부 “‘사도광산에 강제동원 사실 반영’ 요구 일관”…산케이 보도 반박 랭크뉴스 2024.05.11
24513 신임 병무청장에 김종철 대통령경호차장 내정…이르면 내일 발표 랭크뉴스 2024.05.11
24512 車보험 손해율 상승세… 보험료 인상 가능성 커진다 랭크뉴스 2024.05.11
24511 "술? 입에도 안 대는데요"…2030도 위험하다는 '이 암' 뭐길래 랭크뉴스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