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호영 ‘무산’ 기자회견에 “특위 위원 질책·경고한 것”
여야 합의 이룬 ‘보험료율 13%’에 “연금 역사에 남을 쾌거”

지난달 30일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상균 공론화위원장이 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국민연금을 어떻게 개혁할지 합의하는 데 실패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3대 개혁 중 하나인 연금개혁을 5월 말까지인 21대 국회 임기 내에 완수하기 어려워졌다. 그러나 연금개혁 작업에 깊게 관여한 김상균 공론화위원장은 21대 국회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이 통과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야 이견이 좁힐 수 없는 정도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 김상균 위원장(서울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은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21대 국회 임기가 20일 남았는데 국민연금 개혁안이 통과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된다”고 답했다.

앞서 연금특위 위원장인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야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연금특위는 사실상 21대 활동을 종료하게 되는 상황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보고 성과가 있었지만 최종 소득대체율 2%포인트 차이 때문에 입법이 어렵게 됐다”며 “22대 국회 때 여야 간에 의견 접근을 봐서 조속한 연금개혁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 생애 평균 소득 대비 연금액 비율인 소득대체율은 40%(올해는 42%)다. 여야는 공론화위원회가 선발한 시민대표단 숙의 결과를 기초로 자체적인 연금개혁안을 마련했다. 민주당은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 안을, 국민의힘은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3% 안을 제시했다. 보험료율 인상 수준에는 접점을 찾았지만 소득대체율 2%포인트 차이를 좁히지 못해 여야 협상이 무산됐다.

김 위원장은 “(여야 협상) 불발이라고 단언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남은 기간이 아직 길어서 타결의 여지가 남아 있다”며 “중간보고를 하자면 협상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 기자회견이라고 본다”고 했다. 여야가 공식적으로 협상을 완전히 끝내겠다고 선언한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김 위원장은 “주 위원장이 협상 종결을 선언하려면 여야 간에 합의가 있어야 한다. 그런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며 “법안이라는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해 특위 위원들을 질책하고 경고할 필요가 있었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주호영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장과 여야 간사들이 지난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유럽출장 취소 및 연금개혁특위 활동 종료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간사, 주호영 특위위원장, 유경준 국민의힘 간사. /김성주 의원실 제공

주 위원장이 ‘여야 협상 무산’을 말한 뒤에도 여당 간사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은 “오늘 이후에도 연금개혁에 대한 논의는 계속할 것”(7일)이라고 했고, 야당 간사인 김성주 민주당 의원은 “야당은 무산을 얘기한 적이 없고 22대 국회로 넘기자고 한 적도 없다”(8일)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여야가 합의를 이룬 ‘보험료율 13%’에 대해 “연금 역사에서 길이 남을 쾌거”라고 했다. 이어 “43%에서 45% 사이에서 소득대체율이 타결된다면 두 번째 금자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이 소득대체율 43% 입장을 고수하는 데 대해서는 “협상의 전술이 아닌가”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불충분하더라도 보험료율을 높이는 연금개혁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른 조건이 다 동일하다면 개혁이 1년 늦어질 때마다 추가로 필요한 보험료율 인상분은 대략 0.5%포인트”라며 “(소득대체율은) 43%, 45%가 될 수도 있고 44%가 될 수도 있고 다른 수치가 나올 수도 있고 협상하기 나름”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506 “중국이요? 그냥 가기 싫어요”...관광객 급감에 고민 빠진 中 정부 랭크뉴스 2024.05.11
24505 “아내가 너무 잘나가서 헤어졌어요”...돌싱들이 떠올린 ‘이혼의 이유’ 랭크뉴스 2024.05.11
24504 대형 파라솔 날아가 4세 아이에 퍽…경기 곳곳 강풍 날벼락 랭크뉴스 2024.05.11
24503 “대통령 거부권? 우리는 저항권”…비바람 속 채상병 특검법 수용 요구 랭크뉴스 2024.05.11
24502 완도 해상 선박서 3명 바다 빠져…2명 심정지 랭크뉴스 2024.05.11
24501 '막무가내' 이스라엘 "가자 최남단 라파에 추가 대피령" 랭크뉴스 2024.05.11
24500 100일 동안 기침한다는 '옛날 전염병' 백일해 기승… 고위험군은 DTaP 접종 권고 랭크뉴스 2024.05.11
24499 민주당 "갑작스런 김건희 여사 소환 방침‥'특검 방탄용' 보여주기 수사" 랭크뉴스 2024.05.11
24498 "AI가 거짓말을 한다"…점점 커지는 속임수 능력에 경고등 랭크뉴스 2024.05.11
24497 강남서 SUV 8차로 가로질러 방음벽에 충돌 랭크뉴스 2024.05.11
24496 北해킹조직 '라자루스' 법원 해킹 확인‥개인정보 줄줄이 탈취 랭크뉴스 2024.05.11
24495 [영상]"갤럭시S24 몇달치 월급 털어서 사준다"…'이 나라' 난리치더니 결국…[연승기자의 인도 탐구생활](14) 랭크뉴스 2024.05.11
24494 "부처 미소 봤다"…문수보살 없는데 '문수산'이라 부른 까닭 랭크뉴스 2024.05.11
24493 서울 도심 ‘부처님 오신 날’ 연등 행사…5만 명 행렬 펼쳐져 랭크뉴스 2024.05.11
24492 CJ ENM, 日방송사 TBS와 드라마·영화 제작한다 랭크뉴스 2024.05.11
24491 '부동산 멈추나'…지난달 아파트 입주율 63.4% 역대 최저 랭크뉴스 2024.05.11
24490 설마 내가 고위험 임신? 자가진단 해보세요 랭크뉴스 2024.05.11
24489 ‘여친 살해’ 의대생 이틀째 면담…사이코패스 검사는 아직 랭크뉴스 2024.05.11
24488 유튜버 살해 후 유튜브에 “검거됐습니다” 방송한 50대 구속 랭크뉴스 2024.05.11
24487 콧대높던 에르메스가 웬일?…韓 진출 27년 만에 첫 팝업행사 랭크뉴스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