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④ 소통 이렇게 해달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이틀 앞둔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외벽에 윤 대통령 취임 당시의 슬로건이 걸려 있다. 조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대국민담화나 사과 대해

대다수 “인색했다” 평가


“문제 본질에 사과 않고

듣기보다 본인 말만 해

‘바이든-날리면’ 사태도

언론 비난 부적절했다”


경향신문이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을 맞아 시민 53명에게 ‘대통령의 말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표현’을 물은 결과 ‘바이든-날리면’ 발언을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시민들은 지난 2년간 윤 대통령의 소통과 관련해 일방적으로 자기 할 말만 했다고 지적했다. 시민들은 정치적 성향을 가리지 않고 윤 대통령이 비판적인 의견을 경청해야 하고, 주기적으로 쌍방향 소통의 기자회견을 열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의 말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표현으로는 지난 2월 KBS 신년 대담에서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 수수 의혹과 관련해 말한 “박절하게 끊지 못했다”, 지난 3월 한 마트에서 말한 “대파 875원이면 합리적인 가격” 등 표현을 꼽은 시민도 많았다.

‘바이든-날리면’과 ‘대파 875원’을 꼽은 의대교수 김모씨(41)는 “잘못된 표현 자체보다는 그 말들이 나온 다음에 수습하는 과정이 문제”라며 “매번 언론들이 이걸 과장하고 왜곡했다는 식으로 비난하고 뒤집어씌우니까”라고 했다. 대선 때 윤 대통령을 찍었던 40대 자영업자 정모씨는 ‘바이든-날리면’을 꼽으며 “차라리 (발언을) 인정했다면 대미관계에는 안 좋았겠지만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더 나았을 것 같다”고 했다.

윤 대통령의 광복절 축사에 등장한 “일본은 파트너” 발언을 꼽은 시민들도 있었다. 30대 직장인 정모씨는 “굳이 광복절에 그런 얘기를 했다는 점에서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대선 후보 시절 구호인 ‘공정과 상식’을 꼽은 시민들도 있었다. 대선 때 윤 대통령을 찍었지만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을 선택한 자영업자 최병태씨(75)는 “그런데 (구호와) 완전히 반대로 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지난 2년간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나 대국민 사과가 충분했냐는 질문에 많은 시민이 “인색했다”고 답했다. 대선 때 윤 대통령을 찍었지만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에 표를 던진 전남 화순 거주 주부 김명옥씨(50)는 “아예 안 하지 않았어요? 하긴 했어요?”라고 반문했다.

본인 할 말만 한다는 비판도 많았다. 윤 대통령을 대선 때 지지한 전문직 김모씨(35)는 “소통 방식을 모르는 것 같다”며 “너무 자기 말만 하며 일방적이고 강압적으로 소통한다고 느낀다”고 했다. 직장인 염모씨(51)는 “민생토론회에서 주로 듣기보다 말하는 식이었다. 대통령은 들어야 하는 자리”라고 했다.

윤 대통령의 진솔한 사과를 촉구하는 응답도 많았다. 경기 파주에 사는 취업준비생 조모씨(25)는 “이태원 참사, ‘바이든-날리면’ 때 언론을 탄압한 것도 그렇고, (발생한 문제의) 본질에 대해서 사과한 적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부산에 사는 직장인 전모씨(34)는 “무슨 일이 있어도 내가 잘못했다 하면서 책임지는 꼴을 못 봤다”고 했다.

남은 임기 동안 대국민 소통을 위해 제안하고 싶은 방식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비판하는 사람들의 쓴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대선 때 윤 대통령을 찍었던 대학생 방모씨(23)는 “자기한테 비판적인 인사들 위주로 얘기를 많이 들어봤으면 좋겠다”고 했다.

기자회견 등 소통 빈도를 늘리라는 지적도 많았다. 윤 대통령을 지지했지만 총선에서 민주당에 표를 던진 한 주부(67)는 “한 달에 한 번이든 기자간담회를 해야 한다. 지금까지 거의 안 했잖아. 그러니까 자기 정책이 옳았다고 그러지”라고 했다.

각본 없는 소통을 주문하는 시민도 많았다. 자영업자 최모씨는 “대통령은 현장에 가도 다 듣기 좋은 얘기만 듣게 돼 있다”며 “자기들이 지정하지 말고 민주노총이나 한국노총 등 대표를 뽑으라 해서 그분들이 물어보고 싶은 거 다 물어보고 답변하라”고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직장인(46)은 “야당과도 안 하는 대화를 국민과 하는 게 의미가 있을까”라며 야당과의 소통이 먼저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598 생일선물로 까르보불닭 받고 감격의 눈물 흘린 소녀에게···삼양 ‘불닭차’가 갔다 랭크뉴스 2024.05.14
25597 구글, 68만원 AI 스마트폰 '픽셀 8a' 출시 랭크뉴스 2024.05.14
25596 혼자 죽어가는 일본인들... ‘고독사’ 한 해 6만8000명, 한국의 20배 랭크뉴스 2024.05.14
25595 라디오 생방 중 "이재명 대통령" 말실수한 앵커, 그 뒤 한 말 랭크뉴스 2024.05.14
25594 미술품에 체납재산 '파킹'…국세청, 641명 강제징수 착수 랭크뉴스 2024.05.14
25593 ‘기술특례상장’ 코셈도 상장하자마자 적자 랭크뉴스 2024.05.14
25592 [속보] 한미 송영숙 회장, 공동대표 해임…임종훈 단독체제로 랭크뉴스 2024.05.14
25591 하다하다 제주도도 일본땅?…캐나다 교과서 지도 논란 랭크뉴스 2024.05.14
25590 모두 잠든 사이 사라진 80대 치매 노인…하루 넘게 떠돌다 가족 품으로 랭크뉴스 2024.05.14
25589 대법 "軍 상관명예훼손죄, 진실하고 공익성 있으면 처벌 말아야" 랭크뉴스 2024.05.14
25588 [주식 초고수는 지금] 차세대 전력반도체 개발 '코스텍시스' 순매수 1위 랭크뉴스 2024.05.14
25587 "아저씨 안돼요, 제발 제발" 여고생이 난간 서있던 40대 살렸다 랭크뉴스 2024.05.14
25586 [속보]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 대표직 해임... 장·차남 모친 경영 배제 단행 랭크뉴스 2024.05.14
25585 ‘미술품으로 재산 은닉’ 체납자 641명 추적…가상자산도 첫 매각 랭크뉴스 2024.05.14
25584 [단독]“나는 성령의 종 다윗”···‘그루밍 성범죄’ 혐의 목사, 복종 교리 강요 랭크뉴스 2024.05.14
25583 [속보]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 대표직 해임...장·차남 모친 경영 배제 단행 랭크뉴스 2024.05.14
25582 尹대통령 "노동약자보호법 제정…국가가 책임지고 보호하겠다"(종합) 랭크뉴스 2024.05.14
25581 “어제 검사장 인사는…” 이원석 ‘7초 침묵’ 의미는 랭크뉴스 2024.05.14
25580 한국 사랑하는 외국인 50명 누가 뽑힐까?…선정되면 치맥 실컷 먹고 '이것'까지 '로또' 랭크뉴스 2024.05.14
25579 이원석 “인사는 인사, 수사는 수사”…검사장 물갈이 인사에 불편한 심기 드러내 랭크뉴스 2024.05.14